• 제목/요약/키워드: pencil-and-paper task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21초

EEG Asymmetry Changes by the Left and the Right SMR Brainwave of the Computer Learning Versus the Paper and Pencil Learning

  • Kwon, Hyung-Kyu;Cho, Jang-Sik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8권4호
    • /
    • pp.1073-107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uter learning and the paper and pencil learning through the math learning (simple computation and complex computation) and the cartoon learning and text learning. The canonical correlation and pairwise t-test of the SMR asymmetry brainwaves of the left and the right brain show the brainwaves with the respect to the manner in which they process information during the specified task by identifying the relative activity of the brainwaves of the left and the right brain. SMR brainwave which known as the scientific measure tool for the activity and the function of the neuronal cell were found to predict the level of the awakening to check the readiness of study preparation. Computer education as a medium of the individualized and the repetitive education shows the difference from the paper and the pencil test in the respect of the differences and the relationship of the SMR brainwave of the learning process.

  • PDF

Misunderstandings and Difficulties in Learning Sequence and Series: A Case Study

  • Akgun, Levent;Duru, Adem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1권1호
    • /
    • pp.75-85
    • /
    • 2007
  • This paper analyzes the difficulties with the learning of sequence and series of the second-year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year long whole class at the university level.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at the end of students' third semester. These students were randomly selected. They were applied to one paper and pencil test containing eight task items on sequence and series. In this study, qualitative method (case study design) was used to explore students' difficulties and misunderstandings in learning sequence and series. Students' responses to the questions wer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se were "correct", "partial correct" and "false or no responses". Students' responses to the paper and pencil test were evaluated. The results show that students had difficulties and misunderstandings in series and sequence.

  • PDF

그림책에 의한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icture Book Based Mathematical Activities on Mathematical Problem-Solving Performance in children)

  • 박석년;최경숙
    • 아동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27-241
    • /
    • 2000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mathematical activities based on picture books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problem-solving performance. Subjects were 72 children divided in two groups of 36 each; one group had mathematical activities based on picture books and the other group had of pencil-and-paper tasks. The problem-solving performance was measured in terms of the test by Ward(1993) with a few modification for pretest and posttest. Mathematical activities were performed 12 times over a 6 week period. The data was analyzed by Analysis of Covariance(ANCOVA). The group taught by picture books significantly improved mathematical problem-solving performance.

  • PDF

가성무시가 시지각과 운전수행에 미치는 영향 : 드라이빙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The Effect of Pseudoneglect on Visual Perception and Driving : Using a Driving Simulator)

  • 장성리;구본대;나덕렬;이장한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1233-1238
    • /
    • 2009
  • 가성무시(pseudoneglect)란, 신경학적 손상이 없는 정상인들이 무시증후군(visuospatial neglect)을 탐지하는데에 가장 많이 사용하는 선 이등분(line bisection)검사에서 좌측으로 치우쳐서 중심점을 표시하는 현상으로써, 우반구 손상을 입은 환자들이 공간의 좌측을 무시하고 중심점 우측으로 선을 이등분하는 것과는 반대된다. 본 연구는 시각적 주의에 영향을 미치는 가성무시현상에 대해 선 이등분과 선 사등분 전략을 적용한 도로에서의 모의운전(driving simulation)과 지필검사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지필검사에서 선 이등분점과 좌측 사등분점이 유의미하게 좌측으로 치우친 반면, 우측 사등분 점은 유의미한 좌측 치우침을 보이지 않았다. 모의운전에서는 차량의 우측 치우침이 도로 조건과 관계없이 나타났으나 각 도로에 대한 상대적 치우침을 분석한 결과, 선 이등분 조건의 도로 1이 가장 많은 좌측 치우침을, 우측 선 사등분 조건의 도로 2가 가장 적은 좌측 치우침을 나타내어 지필검사와 모의운전의 결과가 유사하며 모두 좌측 치우침 현상이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우측 치우침에 대한 원인으로 중앙선 회피효과를 분석한 결과, 중앙선 우측에서 주행한 도로 2와 4에서 회피경향이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가성무시가 운전 중에 유의미하게 나타남으로써 일상생활에서도 이와 같은 현상이 존재함을 나타냈다.

  • PDF

중등학교 과학 수행평가의 평가 유형과 채점 방식 및 신뢰도 분석 (Analysis of Assessment Types, Scoring Methods and Reliability of Science Performance Assessment in Middle and High School)

  • 이기영;안희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73-183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중등학교 과학 수행평가가 어떤 평가 유형과 채점 방식을 사용하고 있는지 분석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이용하여 과학 수행평가 점수가 얼마나 신뢰로운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수행평가의 유형은 크게 지필형과 과제형으로 나눌 수 있었다. 지필형으로는 중등학교 모두 응답제한형 서술형검사만을 실시하고 있었다. 과제형은 과정 평가와 결과물 평가로 나눌 수 있었다. 채점 방식은 1명의 교사가 모든 서술형문항과 수행과제를 채점하거나, 2명의 교사가 수행과제를 나누어 채점하고 있었다. 그러나 2명 이상의 교사가 서술형문항을 나누거나 교차하여 채점하는 경우는 없었다. 표집된 7개 중등학교 과학 수행평가의 신뢰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갇다: (1) 서술형 문항의 특성이 수행과제의 특성보다 학생들의 수행평가 점수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것으로 나타났다. (2) 수행과제 채점에서 채점자가 피험자를 다르게 채점하는 정도는 학교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었다. (3) 7개 중등학교 과학 수행평가의 일반화가능도(신뢰도)는 대부분 적정 수준인 0.80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정 수준의 일반화가능도를 얻기 위해서는 지금보다 더 많은 수의 서술형 문항과 수행과제 그리고 채점자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CAS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xn-1의 인수분해 일반화 과정에 대한 질적 분석 (A Qualitative analysis of students' factorization of xn-1 using a CAS application)

  • 조영주;김경미;황우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2권3호
    • /
    • pp.271-301
    • /
    • 2013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students generalize and prove the factoring of $x^n-1$ using a Computer Algebra System application and the role of CAS in this process. The theoretical framework consists of the anthropological and the instrumental approach. In particular, the basis of the Task-Technique-Theorization(T-T-T) frame adapted form Chevallard's anthropological approach of Didactics is utilized. We found that Technique-Theorization emerges in mutual interaction between paper-and-pencil techniques and computer algebra techniques. And this interaction led to the students' theoretical reflection and conceptual understanding. In this process, we could identify three epistemic role of CAS : the role of checking the result, the role of cognitive stimulation and the role of extending thinking. Therefore CAS plays on a epistemic role of checking the result of a task, stimulating the student' cognition and extending their thinking as well as pragmatic role of producing the result of a input.

알고리즘 분석을 통한 컴퓨터교육에서의 알고리즘 교육의 방향 (A study on the direction of teaching algorithms with analysis of algorithms)

  • 홍순조;한선관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교육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236-241
    • /
    • 2004
  • 문제해결을 위한 절차로 정의되는 알고리즘은 교육적으로 많은 가치를 갖는다. 이 알고리즘은 지필 알고리즘과 컴퓨터 알고리즘으로 나된다. 수학교과에서는 이미 컴퓨터를 이용한 지필 알고리즘 지도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반면 컴퓨터 교과에서는 알고리즘 지도를 위한 연구가 미진한 실정이다. 따라서 컴퓨터 교과에서 알고리즘을 효과적으로 지도하기 위한 방향 정립이 필요하다. 이에 알고리즘을 분석한 후 컴퓨터 교과에서 알고리즘교육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수행평가를 활용한 영재 판별 (An Applicaton of Performance Assessment for the Identification of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 오영주
    • 영재교육연구
    • /
    • 제7권1호
    • /
    • pp.77-116
    • /
    • 1997
  • The paper-and-pencil multiplce choise test has been widely used to identify gifted and talented student in Korea. Such test have several drawbacks; such~a s not being able to assess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high level thinking abilities which ar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gifted students. The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EDI) developed a performance assessment which challenged traditional methods of identification. The 5-day summer camp was held to select gifted students for the Korean Minjok Leadership Academy. 211 students were evaluated in the aspects of creative problem solving abilities, high level thinking abilities, task commitments, and cooperativeness with various performance tasks, such as essay tests, conversations, oral examinations, computer simulations, puzzles, experiments, group discussions, debates, research reports, and game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everal limitations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in terms of low reliability, requiring high costs and many professionals, and taking long times and large spaces. Expanding and continuing research should follow in order for a performance assessment to use widely as an identification methods because it assesses 'true' abilities of each individual student. follow in order for a performance assessment to use widely as an identification methods because it assesses 'true' abilities of each individual student.

  • PDF

초등수학 학습에 있어서 표상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Elementary Mathematics Learning)

  • 최창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8권1호
    • /
    • pp.23-32
    • /
    • 2004
  • It is not too much to say that problem solving is still the focus of school mathematics though the trend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ten year from the one of 1980 is problem solving and the one of mathematics education for ten year from the one of 1990 is standards and constructivism. There are so many crucial clues or methods in good problem solving but I think that one of them is a representation.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is the meaning of representation in general and why representation is so important in elementary mathematics learning, Moreover, I have analyzed the gifted children's thinking of representation which is appeared in the previous internet home task of 40 gifted children who are select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1st, 2nd with paper and pencil and 3rd with practical skill and interview and finally I have presented some examples of children's representation how they use representation to model, investigate and understand special concept more easily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class.

  • PDF

CPS 모형으로 개발된 동물 발생 실험수업에서 나타난 과학영재의 특성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The Analysis of The Science Gifted's Characteristics Present in Linguistic Interactions in The Animal Development Inquiry Activity Program Based on Creative Problem Solving(CPS) Model)

  • 안주현;전미란;박기석;전상학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1호
    • /
    • pp.107-130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 학생들을 대상으로 생물 영역의 동물 발생 실험수업을 통해 나타나는 언어적 상호작용을 분석하여 과학영재성을 보여주는 특성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대학교 과학영재센터의 중학교 1학년 학생 20명이었으며, Creative Problem Solving (CPS) 모형을 기반으로 개발된 동물 발생 실험 프로그램으로 소집단 토의 중심의 실험 수업을 총 4회 진행하면서 학생들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녹음 및 녹화, 관찰하였다. 전사된 내용으로부터 질문-응답 유형과 과학영재의 특성을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질문-응답의 유형 분석에서는 보다 높은 사고력을 요하는 사고형 질문이 기본정보형 질문보다 3~6배나 높게 나타났다. 특히, 탐구실험 I은 다른 세 탐구실험보다 기본정보형 및 사고형 질문이 40% 이상 높게 나타났다. 언어적 상호작용의 분석 결과 창의적 지필검사에서 보기 어려웠던 창의성의 세부 요인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문제발견력 및 문제해결력, 고도의 언어능력 등을 확인하였고, 정의적 특성인 과제 집착력과 리더십도 드러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지필고사를 대신하는 영재의 판별 및 선발에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