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er tutoring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4초

피어 튜터링을 적용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의 학습 효과 분석 (An Analysis of Learning Efficiency of Computer Programming Classes with Peer Tutoring)

  • 안유정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2년도 제45차 동계학술발표논문집 20권1호
    • /
    • pp.243-244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단계별 학습이 필요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에 피어 튜터링 제도를 적용하여 정규 수업과 병행하여 운영하고 피어 튜터링에 참여한 학습자들의 참여 전과 후의 성적 변화를 비교해봄으로써 피어 튜터링 제도가 단계별 학습에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분석해본다.

  • PDF

미래학습에서의 Learning by Teaching 적용가능성 (Reconsidering the Concept and Potential of Learning by Teaching)

  • 최효선
    • 의학교육논단
    • /
    • 제23권1호
    • /
    • pp.3-10
    • /
    • 2021
  • Learning by teaching (LbT) has long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learning behavior that constructs meaning based on interactions between learner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meaning of LbT as an important learning activity for future implementation in education. LbT is based on the cultural historical activity theory and sociocultural learning theory, as developed by scholars including Vygotsky. These frameworks value the construction of meaning based on language, and LbT is reported to be effective in constructing meaning. In addition, within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posited by Vygotsky, learning through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improves academic achievement, higher-order thinking, deep learning, and reflective learning. LbT also promotes students' learning presence, and strengthens various competencies such as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on skills. Interactive behavior between learners in the form of LbT has been explored as an approach to teaching and learning, with methods including peer learning, peer tutoring, peer teaching, peer mentoring, Lernen durch Lehren, and peer-assisted learning. LbT has also been applied as a learning method. In the future, LbT has boundless potential to improve learning through activities such as flipped learning or online learning based on interactions between learners.

피코크리켓을 활용한 프로그래밍교육에서 동료지도학습이 학업성취와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f Peer Tutoring on Academic Achievement and Peer Relationship in Programming Education using Pico Cricket)

  • 남동수;이태욱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0년도 제42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8권2호
    • /
    • pp.475-478
    • /
    • 2010
  • 본 연구는 프로그래밍 학습에서 교육용 로봇인 피코크리켓을 활용하여 동료지도학습을 실시하고 학업성취와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효과를 검증하는 실험연구이다. 프로그래밍 학습은 다양한 학습효과에도 불구하고 문법의 어려움과 학습내용의 어려움 때문에 그 효과를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용 로봇에서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언어는 입문자를 배려한 프로그래밍 방법을 사용하여 학습자가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요소가 있다. 한편 프로그래밍 교육은 타 학습내용에 비해 수준별 학습이 더욱 요구되는 학습내용으로서 일제식 수업방법으로는 지도의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육용 로봇을 활용하여 프로그래밍 교육을 동료지도학습법으로 실시하고 이의 학업성취와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해 보는 연구를 설계하였다.

  • PDF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한 학생 주도형 학습공동체(피어 튜터링) 활동 (A Case Study on the Activity of Student Initiated Learning Community(Peer Tutoring))

  • 선복근;김병삼;정준오
    • 공학교육연구
    • /
    • 제12권4호
    • /
    • pp.126-134
    • /
    • 2009
  • 공학계열 신입생의 기초학력 저하가 점차 심화되고 있으며 이는 대학의 정상적인 교육과정 운영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호서대학교 공과대 신입생을 대상으로 학습향상프로그램으로 운영되었던 피어 튜터링 제도의 사례를 제시하고 피어 튜터링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피어 튜터링 제도는 학생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였으며 제도 참여자의 유기적인 네트워크 형성, 역할 분담과, 업무 검증을 통한 개선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피어튜터링 제도는 튜터와 튜티 모두에 교과에 대한 흥미 증대, 학업능력의 향상과 더불어 선후배간의 유대감, 리더십, 책임감 증대에 도움이 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의 구조화된 상호작용을 유도하기 위한 상호동료교수 전략의 효과 (The Effect of Reciprocal Peer Tutoring Strategy for Inducing Structured Students' Interaction in Middle School Science Instruction)

  • 노태희;김소연;김경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65-471
    • /
    • 2005
  • 이 연구에서는 과학 성취도, 과학 학습 동기, 자아존중감의 측면에서 상호동료교수 전략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남녀 공학 중학교에서 2학년 3학급(94명)을 비교 집단, 협동학습 집단, 상호동료교수 집단으로 배치하였다. '혼합물의 분리' 반원에 대하여 13차시 동안 수업을 실시하였다. 이원 공변량 분석 결과, 과학 성취도 검사에서 상호동료교수 집단의 점수가 비교 집단에 비해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세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과학 학습 동기의 모든 하위 영역에서는 상호동료교수 집단의 점수가 비교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특히, 과학 학습 동기의 자신감 영역에서는 상호동료교수 집단의 점수가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자아 존중감에서는 상호동료교수 집단 하위 학생들의 점수가 협동학습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협동동료교수학습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융합적 효과 (Convergence effects of collaborative peer tutoring on communication ability and self-leadership of nursing students)

  • 정인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533-540
    • /
    • 2018
  • 본 연구는 협동동료교수학습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융합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10회의 협동동료교수학습 전후 의사소통능력과 셀프리더십 조사 결과를 SPSS/WIN 19.0으로 시행한 Mann-Whitney U와 Kruskal-Wallis 검정 결과, 의사소통능력은 실험 전후 성격유형, 토론선호 및 리더역량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셀프리더십은 간호학과 입학동기, 리더역량 및 학교성적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처치 전후 의사소통능력과 셀프리더십 간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Wilcoxon 부호순위검정 결과, 협동동료교수학습은 의사소통능력과 셀프리더십을 각각 유의하게 증가시켰다(p=.008, p<.001). 본 연구 결과 협동동료교수학습은 간호대학생들의 의사소통능력과 셀프리더십 향상을 위한 중재프로그램을 개발을 위해 적용가능한 효과적인 학습법으로 볼 수 있고, 대상자 수를 확대하고 대조군을 둔 실험연구를 제언한다.

동료 교수학습이 핵심기본간호술 수행자신감, 숙련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elf-directed Practice using Peer-tutoring on Confidence, Performa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Practicing Core Nursing Skills)

  • 유명란;강명숙;김혜원;한혜리;최주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7-36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study was to test the effects of self-directed nursing practice using peer-tutoring, on the level of confidence, performance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practicing core nursing skills.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80 junior nursing students at a nursing college in Daejeon before and after 3 weeks of intervention on practicing six core nursing skills, according to the highest order of priorit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e peer-tutoring practice group (PTPG, n=40) and the lecturer-guided practice group (LGPG, n=40).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mean, frequency, and t-test. Results: The PTPG scored statistically higher than the LGPG on the performance of 'indwelling urinary catheterization' and 'wearing protection equipment while entering quarantine room & disposing waste'. The PTPG scored statistically higher than the LGPG on the confidence of 'indwelling urinary catheterization' and 'inserting intravenous catheterization'. The PTPG scored statistically higher on learning satisfaction than LGPG.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self-directed nursing practice using peer-tutoring could be effective for nursing students in improving proficiency in core nursing skills and might be applied to core nursing skills training.

간호대학생의 전학급동료교수학습이 학업성취, 셀프리더십 및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lasswide peer tutoring on academic achievement, self-leadership and interpersonal ability of nursing students)

  • 정인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55-62
    • /
    • 2018
  • 본 연구는 10회의 전학급동료교수학습이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와 셀프리더십 및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효과 확인을 위한 원시실험연구로, 수집된 자료를 SPSS/WIN 19.0으로 Mann-Whitney U와 Kruskal-Wallis 검정 결과, 변수의 평균 순위값의 영향요인은 입학동기였다. Wilcoxon Signed Ranked Test 결과, 실험처치 전후 전학급동료교수학습은 학업성취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고(p<.001), 셀프리더십의 하위영역 중 인지적 전략과, 대인관계능력의 하위영역 중 관계촉진의 평균순위값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20; p=.040), 셀프리더십과 대인관계능력 간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296, p=.041). 본 연구 결과 전학급동료교수학습은 간호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켰고, 셀프리더십과 대인관계능력에 효과가 있는 중재로 볼 수 있으나, 대상자 수를 확대하고, 대조군을 설정한 유사실험연구로 실험결과를 재확인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동료 교수학습 기반 자율실습이 핵심기본간호술 숙련도, 수행자신감 및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융합연구 (A Convergence Study on the Effect of Self-directed Practice based Peer-tutoring on Performance, Confidence and Self-efficacy of Core Nursing Skills in Nursing Students)

  • 구희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453-463
    • /
    • 2019
  • 본 연구는 동 학년 동료 교수학습 기반 자율실습이 간호대학생의 핵심기본간호술 숙련도, 수행자신감 및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연구이다. 자료수집은 K시 소재 일개 전문대학 간호학과 2학년에 재학 중인 실험군 34명, 대조군 34명의 총 68명을 대상으로 2019년 5월 1일부터 6월 12일까지 시행되었다. 연구결과 동료 교수학습 기반 자율실습을 적용한 실험군과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 간 유치 도뇨의 숙련도(t=11.60, p<.001), 수행자신감(t=4.12, p<.001), 보호장구 착용과 폐기물 관리의 숙련도(t=5.91, p<.001), 수행자신감(t=4.24, p<.001), 배출 관장의 숙련도(t=2.82, p=.008), 수행자신감(t=2.09, p=.044) 및 자아효능감(t=4.52, p<.001)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결과적으로 동료 교수학습 기반 자율실습은 핵심기본간호술 숙련도와 수행자신감 및 자아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기존 자율실습을 보완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으로의 활용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향후 동료 교수학습을 다양한 전공과목에 확대 적용하여 효과를 검정하는 연구를 제언한다.

주단위 보고서를 활용한 질문 촉진 수업에서 상호동료교수 전략 및 장독립성-장의존성의 영향 (The Influences of Reciprocal Peer Tutoring Strategy and Field Independence-Dependence in Instruction Enhancing Student Questions by Using Weekly Reports)

  • 강훈식;권은경;노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82-92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주단위 보고서를 활용한 질문 촉진 수업에서 상호동료교수 전략 및 장독립성-장의 존성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중학교 1학년 152명을 주단위 보고서(WR) 집단과 주단위 보고서-상호동료교수 전략(WR-RPT) 집단으로 배치한 후, ‘물질의 세 가지 상태', ‘분자의 운동', ‘상태 변화와 에너지' 단원에 대해 총 18차시 동안 수업을 실시하였다. 이 기간 동안 두 집단의 학생들은 주단위 보고서를 총 6회 작성하였으며, WR-RPT 집단의 학생들은 주단위 보고서에서 만든 질문들을 상호동료교수 활동을 통해 해결하는 활동도 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장독립성-장의존성에 관계없이 개념 이해도 검사에서 WR-RPT 집단의 점수가 WR 집단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높았다. 학업 성취도 검사에서는 장의존적인 학생들의 경우 WR-RPT 집단의 점수가 WR 집단의 점수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높았으나, 장독립적인 학생들의 경우에는 두 집단 간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또한, 두 집단에서 모두 장의존적인 학생들보다 장독립적인 학생들의 개념 이해도 및 학업 성취도 검사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로 높았다. 많은 학생들, 특히 장의존적인 학생들보다 장독립적인 학생들이 WR-RPT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