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er tutoring

검색결과 74건 처리시간 0.026초

컴퓨터 소양능력의 신장을 위한 동료교수법의 활용 (The Application of Peer Tutoring for Computer Literacy Education)

  • 김철;마대성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57-66
    • /
    • 2005
  • 초등학생의 컴퓨터 소양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동료 교수법은 학습자가 교사가 구안한 컴퓨터소양교육내용을 다른 학습자에게 돕고 가르치면서 학습하는 방법으로, 학습자들이 서로 결과를 공유할 뿐만 아니라, 그 결과를 얻기 위한 과정도 함께 진행하며 협력한다. 본 연구에서 동료교수법을 적용한 결과 컴퓨터 소양능력이 신장됨을 알 수 있었다. 부차적으로 컴퓨터 소양에 대한 흥미가 높아져 학습 이후에 발전적으로 학습하였고, 상호간의 신뢰가 두터우며, 조력하는 학습 분위기가 전 교과에 확산되었다. 꾸준한 연구가 지속되어 전 학년 컴퓨터 소양교육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PDF

상호또래교수에서의 반성적 저널쓰기 활동이 수학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flective journal writing to mathematics self-efficacy in reciprocal peer tutoring)

  • 최계현;황우형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3권1호
    • /
    • pp.1-24
    • /
    • 2014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reflective journal writing on the mathematics self-efficacy in reciprocal peer tutoring. Participants were 38 high school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who attended at a summer intensive mathematics course for 4 weeks. This study used a mixed method. SPSS 21.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quantitative data, and the interviews, observational journals and reflective journals of 6 students were used to analyze qualitative data. According to the results, all the subcategories of mathematics self-efficacy, - mathematics problem-efficacy, mathematics success-efficacy, mathematics learning-efficacy, and mathematics subject-efficacy - improved except mathematics occupation-efficacy. In case of mathematics success-efficacy and mathematics problem-efficacy, students revealed the greatest improvement. In conclusion, reflective journal writing in reciprocal peer tutoring could be suggested as a treatment program to improve students' mathematics self-efficacy.

자율실습에서의 상호동료 교수법 적용경험에 대한 융합적 연구: 핵심기본간호술 투약간호를 중심으로 (A convergence study on the experience of applying the self-directed practice reciprocal peer tutoring: Focusing on medication nursing of fundamental core nursing skills)

  • 김경화;임종미;장양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229-23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상호동료 교수법을 적용한 핵심기본간호술 자율실습(투약단원을 중심으로)이 간호대학생의 학습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함이다. 연구참여자는 간호학과 4학년 학생 15명이었으며,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학습동기 유발', '자기주도 학습', '성취도 향상', '학습요구 불충족'의 4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상호동료 교수법을 적용한 핵심기본간호술 자율실습은 참여자들에게 편안한 환경과 자신감 향상으로 학습동기를 유발하고, 주도적인 사전학습 및 학습자의 언어로 학습할 기회를 얻는 긍정적인 경험이 있었다. 하지만, 추가적인 지식확장이 어렵고 충분하지 않은 학습요구로 불안감을 느끼는 경험도 있었다. 이에 상호동료 교수법을 자율실습에 적용할 때, 교수자는 학습자의 학습요구를 충분히 만족시키는 방안을 적용하면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동료교수학습이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긍정심리자본 및 학습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예비연구 (Effects of Nursing Students' Peer Tutoring on Self-leadership,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Learning Satisfaction : A Pilot Study)

  • 정인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48-56
    • /
    • 2019
  • 본 연구는 동료교수학습이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긍정심리자본 및 학습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연구설계상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후속 연구의 실행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한 예비연구이다. 실험처치 전, 실험군 10명, 대조군 8명으로 구성된 두 군의 일반적 특성이 동질하였고, Mann-Whitney U test에서 집단 간 변수들의 평균순위값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Z=-1.40~-.31, p=.160~.754). 실험처치인 10회의 동료교수학습 전후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영역 중 '희망'의 집단 간 순위값에 차이가 있었고(Z=-2.27, p=.023), 실험 전후, 셀프리더십과 자신감 간 및 희망과 학습만족 간 각각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r=49, p=.03), (r=65, p=.01). 이상의 연구결과로 동료교수학습을 활용한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긍정심리자본 및 학습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본 실험설계를 적용하는 실험연구의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Coopera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through Reciprocal Peer Tutoring in EFL University Reading Instruction

  • Jeong, Kyeong-Ouk
    • 영어어문교육
    • /
    • 제17권4호
    • /
    • pp.75-95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 group activity, reciprocal peer tutoring (RPT), in order to investigate advantages and challenges of RPT in promoting coopera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environment for EFL University reading instruction.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89 students taking an English reading course at a Korean university. RPT is a learning strategy whereby learners help each other and learn by teaching. This program was supported by a Vygotskyan perspective which assumes that learners gain mastery and develop cognitive skills through social interaction with more proficient others and their environment. This study relied particularly on participant perceptions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and Anonymous Online class Report of the course. This study showed various advantages for tutors such as learning through teaching and becoming more autonomous and responsible for their own learning. Non-threatening and highly motivating learning atmosphere are parts of benefits for tutees. Other advantages for tutees included improved level of academic self-confidence, and motivation. This study also revealed several drawbacks associated with the problem of inaccuracy in students' production and students' demand for more direct teacher role. (182 words).

  • PDF

Effects of On-Line Community Assisted Small Group Peer Tutoring on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 JUN, Myongnam;EOM, Wooyong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6권2호
    • /
    • pp.101-111
    • /
    • 2005
  • This study was to examine effects of On-Line Community Assisted Small Group Peer Tutoring(OCSPT) on university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To achieve the purpose, twenty-eight university students were randomly selected. Fourteen students participated in OCSPT and they were divided into small groups consisted of 2 to 5.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OCSPT for total thirty-four hours during sixteen weeks. There is no treatment for the other fourteen students in control group. To measure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 (MSLQ) shorts has been used. The result revealed that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possession than control group in resource-management strategy(p<.05).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in cognitive and motivative strategies.

게임프로그래밍 수업을 위한 플립드 러닝 환경에서 피어튜터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TGF(Tutoring Game in Flipped Learning) for Game Programming Course)

  • 최영미;김성중
    •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25-134
    • /
    • 2015
  • 본 논문은 학습자가 효과적인 게임프로그래밍을 학습하도록 피어튜터모형(TGF: Tutoring Game program in Flipped learning)을 설계하고, 수업에 적용한 학습경험을 교수와 피어튜터 및 학습자의 관점에서 제시하고, 학습 성과를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하여 플립드 러닝 환경에서의 TGF가 전통적인 수업방식에 비해 게임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학습목표를 달성하는데 더욱 효과적임을 보였다.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웹기반 학습과 동료 교수법의 혼합 모델 (A Blended Model of Web-based learning and Peer tutoring for improving the Scholastic achievements)

  • 이윤경;김주균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1-27
    • /
    • 2008
  • 컴퓨터 실습수업에서 웹기반 학습을 도입하여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많이 있지만 웹기반 학습은 교수자와의 정의적 교류를 통한 인간적 피드백의 부족과 웹기반 학습에 적응하지 못하는 학습자가 발생할 수 있다는 문제점들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준별 학습을 위해 웹기반 학습을 도입하고, 웹기반 학습의 문제점 보완과 학자자간 학업성취도 격차를 좁히기 위해 동료교수법을 결합한 혼합학습의 효과를 밝혔다. 실험적인 목적을 위해 고등학교 학습자를 두 그룹으로 나누고, 엑셀 교수-학습 시스템을 개발하여 이를 두 그룹 모두에 적용해 웹기반 수준별 기본학습을 선행하도록 하였다. 선행학습 후 실습문제 해결을 위해 웹기반 학습과 동료교수법을 비교집단과 실험집단에 각각 적용하였다. SPSS에 의해 분석된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는 웹기반 선행학습과 동료교수법을 결합한 혼합학습이 하업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혼합학습을 적용한 실험집단의 중 하위권 학습자들이 학업성취도에 있어 많은 향상을 보이며 상위권 학습자들과 격차를 좁힌 것이 실험집단의 전체 학업성취도 향상에 주요원인으로 분석되었다.

  • PDF

Peer tutoring experiences of neonatal nursing simulations among Korean nursing students: a qualitative study

  • An, Hyeran;Koo, Hyun Young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8권4호
    • /
    • pp.280-290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of neonatal nursing simulations using peer tutoring. Methods: In this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study, data were collected using a narrative survey and focus group interviews with 27 third-year nursing students and six fourth-year nursing students from April to May 2022. Content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was conducted. Results: Four categories-"stabilizing emotionally through each other", "advancing together", "difficulties in relationships", and "hoping to continue"-and nine sub-categories were extracted. The sub-categories "reduced burden" and "gaining confidence" were grouped into the first category, "stabilizing emotionally through each other". The sub-categories "being motivated to learn," "increased learning ability", and "preparation as a process" were grouped under "advancing together", and "attitudes affecting study environment" and "depending on help" were grouped into the third category of "difficulties in relationships". The fourth category of "hoping to continue" had "wanting to supplement for development" and "wanting to participate in different roles" as sub-categorie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expect pediatric nursing practicum education to improve through the active use of neonatal nursing simulation education incorporating peer tutoring.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에서 피어 튜터링 학습자의 학습 유형에 따른 학업성취도 분석 (An Analysis of Study Achievement based on Learning Types for Peer Tutoring Learners in Computer Programming Class)

  • 안유정;김경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3년도 제48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21권2호
    • /
    • pp.339-340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프로그래밍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들이 수업과 병행되어 운영된 피어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을 때, 참여한 튜터링 팀의 구성원들의 학습 수준 차이 정도와 튜터링 운영 방법 및 자신의 역할에 따라 수업에서 학습한 내용에 대한 학업성취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