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destrian facilities

검색결과 200건 처리시간 0.026초

일반인과 교통약자의 도시철도 역사의 보행시설 이용에 관한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he Use of a Pedestrian Facility for Non-Mobility Handicapped and Mobility Handicapped in Urban Rail Station)

  • 황보현;정헌영;김현웅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757-762
    • /
    • 2011
  • As our society is becoming an aging society, there is an increasing number of the elderly. Recently, mobility handicapped like the elderly and the disable take part in many social activities. It is required public transportation systems for them. Already, the traffic policy for mobility handicapped including pregnant woman and child, has been established in many cities. Particularly, the convenience of mobility for the handicapped in the urban rail stations is depend on a pedestrian facilities like escalators and elevators. The pedestrian facilities have been built in urban rail stations without rules for mobility handicapped. To make the more convenient and more safe stations, the more study about mobility handicapped and non-mobility handicapped is needed. This paper preferentially discusses the pedestrian facilities with other convenience facilities in urban rail stations. This paper explains also their preference, relative satisfaction and importance for the convenience facilities including the a pedestrian facilities in urban rail stations and makes clear the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 PDF

보행신호를 대기하는 보행자의 안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for Pedestrians Waiting for Signal)

  • 김한솔;백세룡;최용순;윤준규;임종한
    • 자동차안전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1-46
    • /
    • 2021
  • The number of big traffic accident cases of pedestrian death appeared to be minor, however compared to death rate in car to car accidents is very high and quite a few of the pedestrian death rates among all traffic accidents are counted to be almost 40%. Previous pedestrian safety studies were mostly aimed at reducing the degree of pedestrian injuries from a vehicle to pedestrian collision, and less at preventing a collision itself.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a method of using road facilities to prevent vehicles from rushing into the sidewalk. This research used one of the collision analyzing programs, called PC-Crash to simulate the vehicle rushing into the sidewalk. Based on the program, it could derive an optimal safe zone location where the pedestrian can wait for the pedestrian light safely. Also, changing road facilities such as pedestrian light pillars or signal controllers can widen 440% compared to the present safe zone. Accordingly, researchers have to consider a method to analyze and apply pedestrian safe zones along with road facilities location when designing a road.

도심 복합상업시설 공용공간의 보행자 지원적 환경계획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nvironmental Plan To Support Pedestrians in Public Space of Urban Mixed-use Commercial Facilities)

  • 하미경;김아현;김숙하;이효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181-192
    • /
    • 2014
  • Recently, urban mixed-use commercial facilities have been required to raise a safe environment in public areas. So, this study focuses on analyze planning factors selected through the precedent research for Pedestrian safety and environment of urban mixed-use commercial facilities.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applicative estimation of environmental plan to support pedestrians in public space of urban mixed-use commercial facilities in Seoul. And the second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irections of environmental planning for creating a pedestrian-friendly environment in public space of urban mixed-use commercial facilitie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environmental planning factors for supporting pedestrians and guidelines for disabled shown in the precedent studies are drawn. A survey of research subjects are 4 urban mixed-use commercial facilities located in downtown Seoul. And then a questionnaire survey is performed on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students to evaluate the importanc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are drawn. The pedestrian-friendly environment in urban mixed-use commercial facilities requires planning to strengthen accessibility, supporting and safety of public space.

대학과 지역사회의 연계성 강화를 위한 보행전용가로 조성방안 연구 -서울산업대학교앞 철도폐선부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edestrian Mall Planning and its Design in Campus Surroundings -in the Case of the Regenerated Block of Kyungchun-railroad Track-)

  • 윤용기
    • 교육시설
    • /
    • 제14권4호
    • /
    • pp.75-85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physical planning elements in the pedestrian malls when cultural events for young ages proved; the planning strategies for the regeneration of the block of Kyungchun-railroad track, which is removing planned in campus surroundings. Local Government' initiation makes possible to make improvement and giv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which is sensitive to the existing conditions of railroad for the better living environment. Thus, this research suggests how the block of Kyungchun-railroad track, which is removing planned, as a newly organized pedestrian mall design system can cope with collaborating a board and community, which has in campus surroundings related. This study consists of following four parts; 1. six-case pedestrian mall in campus surroundings in Seoul were analyzed in terms of physical and cultural factors for young ages between university and community. 2. we focused on the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the physical planning factors and the spatial requirements for cultural event when the pedestrian mall in campus surroundings is designed. The paper's significance lies in that it shows a new direction in urban renewal planning and design which has been made into a pedestrian mall plan through in support of the application to the pilot project compared with previous physical environment.

대중교통중심개발(TOD) 개선효과 진단을 위한 변동부등식기반 보행네트워크 평가모형 (A Variational Inequality-based Walkability Assessment Model for Measuring Improvement Effect of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TOD))

  • 손지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6권2호
    • /
    • pp.259-268
    • /
    • 2016
  • 대중교통중심개발(TOD)을 위한 핵심전략은 철도역을 중심으로 보행권내에서 고밀도의 복합토지이용을 유도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해외에서는 이미 역세권을 중심으로 보행시설의 통합정비를 위한 제도를 마련하고, TOD를 효과적으로 추진해왔다. 그러나 국내는 종합적인 보행정비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역세권 중심의 통합보행인프라 구축에 대한 방향설정이 부족하다. 따라서 우선 역세권 주변의 보행시설의 통합정비에 대한 평가기준을 마련하여 TOD 개선에 대한 판단근거로 활용하는 것이 시급하다. 본 연구는 TOD의 효과 평가를 위해 역사 건물내부와 주변지역을 통합하여 보행의 원활한 정도를 평가하는 네트워크 모형을 제안한다. 모형은 철도 역사와 주변지역을 일체화된 보행 네트워크 상의 흐름으로 간주한다. 보행자가 선택한 경로는 최소시간 경로라고 정의하여 Wardrop의 이용자 균형(1952) 개념을 확대 적용하였다. 보행통로의 혼잡상황, 엘리베이터의 용량한계, 횡단보도의 대기와 같이 보행시설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행태를 고려하기 위해서 변동부등식기반의 보행자 균형배정모형을 제안한다.

보행자 점유공간 현행화 및 대기공간 서비스수준 산정을 위한 개선 연구 (Study on the Enhancement of the Level of Service for the Pedestrian Queuing Area)

  • 윤정은;이경진;진형석;유희천;윤일수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1-12
    • /
    • 2024
  • 보행자시설은 자동차의 통행이 배제된 상태에서 보행자만의 통행을 위한 시설로서 보행자 도로, 계단, 대기공간 등이 있다. 보행자시설별 보행자 특성과 용량은 보행 통행체계의 설계 및 운영에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도로용량편람에서 보행자시설에 대한 용량과 서비스수준 분석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자동차 위주의 교통정책으로 인해 보행자시설에 대한 분석 방법은 상대적으로 발전이 더디며, 그 결과 현실적인 평가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변화된 도로교통 여건을 반영하고 보행자시설 중 대기공간에 대한 서비스수준 평가의 기준이 되는 인체타원에 한국인 인체 치수 변화를 반영함으로써 현행화된 점유공간을 제시하였다. 또한 새롭게 정의된 점유공간을 바탕으로 대기공간의 서비스수준에 대한 기준값을 새롭게 제시하였다. 현장조사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서비스수준 기준값은 실제 보행 현황을 현실적으로 반영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어린이보호구역 내 도로 및 교통안전시설이 보행자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 분석: 공간포아송모형을 이용하여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Road and Transportation Safety Facilities Affecting Pedestrian Traffic Accidents around School Zones: Using Spatial Poisson Model)

  • 고동원;박승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213-223
    • /
    • 2021
  • 어린이는 행동적, 신체적 특성상 성인보다 교통사고에 노출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안전한 보행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에서 제공하는 2016-2018년 서울시 보행자 교통사고 자료로 공간포아송 모형을 활용하여 어린이보호구역 주변 보행자 교통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도로 및 교통안전시설의 특성을 분석했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보호구역 내 교차로가 많고 근린도로 비율이 높을수록 보행자 교통사고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 둘째, 보행자 작동신호기는 보행자 교통사고 발생을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 연구에서 고려한 교통안전시설 중 보행자 작동신호기를 제외하고는 어떠한 교통안전시설도 보행자 교통사고 위험을 줄이는 데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물리적 시설의 개선뿐만 아니라 교통안전교육 등 비물리적 요인이 뒷받침 된다면 어린이보호구역 내 보행자 교통사고 감소 효과는 더욱 극대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택지개발지구에서 보행자도로 공급수준 평가지표 개발 (Evaluation Index for the Supply Levels of Pedestrian Facilities in Residential Area Planning)

  • 최재성;황경성;김상엽;장영수;박신원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35-46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주민 쾌적성, 보행자 안전성, 그리고 택지개발의 효율성을 제고시킬 수 있는 보행자 도로 공급 수준 평가지표를 제시한다. 이를 위한 연구에서 다각적인 분석이 시행되었는데, 첫째, 이미 입주가 끝난 8개 택지개발 사업지에서 보행수요에 미치는 영향요소를 찾았고, 영향 요소 간 관계를 정립하기 위해 Space Syntax 분석을 통한 국부통합도, 활동인구(인/일), 택지개발지구 면적 등을 선택하여 보행수요 예측모형을 정립하였다. 그 후 기존 연구에서 제시한 보행점유공간과 본 연구에서 개발한 보행수요 예측모형을 상호 비교하여 최초 계획단계에서 보행자 도로 공급수준을 산정할 수 있도록 했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정립한 평가지표가 합리적인 공급수준을 평가하는 지표인지 확인하기 위해 주민 만족도 설문조사를 실시했는데, 그 결과 본 연구에서 정립한 평가지표는 기존 지표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본 연구 결과는 택지개발 사업지에서 보행공간을 계획할 때 많은 도움을 제공할 것이다.

대학 캠퍼스 보행자 이동패턴과 보행네트워크간의 상호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destrian Movement Pattern and the Pedestrian Network at a University Campus)

  • 이유미;신행우
    • 교육시설 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25-32
    • /
    • 2014
  • Many Korean university campuses are located on hilly terrain where the hierarchy of the path system is unclear.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analyze the pedestrian network through space syntax, in which only horizontal direction changes are considered as depths of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pedestrian movement patterns and space syntax analysis in order to find their relevance to each other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We conducted a survey regarding the most-visited buildings and pathways at S-University, which is located on a hilly area in Seoul. The survey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Space Syntax integration map by regression analysis. For the segments w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pedestrian volume and integration was weak, field observations were conducted. As a result, topographical aspects, functional aspects, and location aspects were observed as the main influential factors. In addition, the research proposes that adding an extra axial line per vertical directional change can potentially compensate for the low relevance of stairs.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ility and the necessity of three-dimensional space syntax programs and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ampus planning for the pedestrian environment.

중요도-만족도분석을 통한 보행자시설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edestrian Facilities by the Use of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 이창희;김명수;조경남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628-637
    • /
    • 2014
  • 본 연구는 보행자의 이동편의시설에 대한 실태 및 의식조사를 바탕으로 향후 이동편의시설의 개선 전략 수립시 기초자료를 제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 부여군을 대상으로 "교통약자 이동편의 실태조사 보고서"와 선행연구에서 이동편의시설 관련 평가항목을 검토하여 선정하고, 설문조사 및 중요도-만족도 분석(IPA)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로 개선의 집중지향항목은 보도로 나타났으며, 이에 대한 세부지표를 살펴보면 보도에서의 보행안전성, 장애인 편의시설, 보도포장이 보도에 대한 부분 중에서도 가장 시급히 개선해야 할 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속유지항목으로는 버스, 횡단보도로 나타났으며, 셋째, 저순위 항목으로 지하도 육교, 마지막 과잉지양항목은 여객터미널, 버스정류장에 대한 부분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인 측면의 IPA 결과를 바탕으로 부여군의 이동편의시설 이용 실태를 판단해 보면, 보도에서의 직접적인 보행환경에 대한 개선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으므로 이에 투자우선순위를 두어 개선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