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destrian accessibility

검색결과 66건 처리시간 0.027초

Cities in the Sky: Elevating Singapore's Urban Spaces

  • Samant, Swinal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137-154
    • /
    • 2019
  • Singapore has seen a phenomenal and an unprecedented transformation from a swampland to a high density urban environment since its independence in 1965, made possible largely and single-handedly by the sustained efforts of its government. Indeed, urban space is a key vehicle for achieving urban social, environmental, economic, and cultural sustainability. The dense urban context in Singapore has seen an emergence and increase in elevated spaces in the form of sky-gardens, sky-bridges and sky-courts in a range of building types, seemingly seeking to tie together the different horizontal and vertical components of the city. This paper, therefore,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elevated urban spaces and pedestrian networks in Singapore and their ability to contribute to the horizontal to vertical transitions, and consequently to the urban vitality and accessibility. It does this through the analysis of two key developments: Marina Bay Sands and the Jurong Gateway. In particular, it considers the implications of certain constraints placed on urban spaces by their inherent location at height, in addition to the familiar privatization of public spaces, over-management of spaces, and their somewhat utilitarian characteristics. The paper argues that some of these issues may pose detrimental effects on the publicness of these spaces that in turn may lead to such spaces being underused and therefore adding redundancies and further stress to Singapore's urban land. Finally, the paper outlines key strategies that may help overcome the aforementioned issues, including the disjuncture associated with elevated spaces such that they may become a seamless extension of the urban spaces on ground.

공개공지 주요 설계요소 제어에 의한 보행자의 심리적 평가 (부산광역시 센텀지역 및 서면지역 공개공지를 중심으로) (A Study on Pedestrian's Psychological Estimation by Control of Main Design Factors in the Public Open Space (Focused on the Public Open Space of Centum and Seomyeon in Pusan))

  • 김종구;왕상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5-62
    • /
    • 2010
  • 도시의 쾌적한 공간조성을 통하여 도시공간의 질과 공공성을 높이기 위해 도입된 공개공지는 건축법, 지구단위계획에 의해 법제화되었다. 그러나 현행 제도는 공개공지 조성에 있어 필요한 최소한의 규정에 지나치지 않아 공개공지 본연의 기능을 다하지 못하고 공공성의결여, 설치 및 유지 관리상의 문제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나타내었고 이용자 만족도와 활용도를 높여 도시공간의 공공성을 높이는 공개공지 조성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자분석을 통하여 공개공지 주요 설계요소 어떤 인자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여 현 공개공지의 개선방안 제시 및 향후 공개공지 설치기준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 공개공지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개선된 공개공지 조성을 위하여 설문조사를 통하여 선별된 주요 설계요소를 제어 시뮬레이션하고. 심리적 평가와 인자분석을 실시한 결과 편의성, 친근성, 쾌적성, 접근성, 개방성의 5개 인자가 추출되었다. 이 중 제1인자인 편의성의 설명력이 기여율 25.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편의성 측면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공개공지의 대지 내 위치, 편의시설의 설치 및 적절한 배치, 공개공지 접도유형이 주요 설계요소임을 인식하고 계획 및 설계시 반영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앞으로 이런 요인을 들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건축법의 상세한 법적 기준 설정과 지구단위계획에서 세부지침 등이 상세하게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최근 공개공지와 관련된 연구와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공개공지를 설계하고, 유지 관리한다면 공개공지 활용도를 높이고 도시공간의 공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거주지 주변 환경에 대한 인식이 건강증진 목적의 공원이용에 미치는 영향 - 대구광역시 수성구를 대상으로 - (The Effect of Neighborhood Environmental Perception on Park Use for Health Improvement - The Case of Suseong-gu in Daegu City -)

  • 이우성;정성관;박영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98-108
    • /
    • 2015
  • 본 연구는 건강증진 목적의 공원이용 유무에 따른 거주지 주변 환경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고 거주지 환경인식특성이 공원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는 대구광역시 수성구의 근린공원 및 유원지로 설정하였으며, 총 303명의 설문응답 분석을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총 16개의 물리적 환경인식 지표들 중 시장 및 상가시설의 접근성, 대중교통의 이용성, 공원 등 녹지공간의 접근성, 충분한 보도, 횡단해야 하는 도로의 수, 운동인구를 포함한 6개의 지표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원을 이용할 확률은 공원 등 녹지공간의 접근성에 대한 만족도가 증가할수록 2.326배, 주변에 운동하는 인구가 많을수록 1.701배, 횡단해야 하는 도로의 수가 적을수록 1.617배, 충분한 보도가 설치되어 있다고 인식할수록 1.642배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건강증진 목적의 공원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거주지 주변에 이용 가능한 공원녹지를 확대하고 주민들이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운동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또한 주거지와 공원을 연결하는 보행자 전용도로를 계획하는 등 보행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도보권 근린공원의 내·외부 환경을 고려한 이용행태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화랑공원과 관음공원을 대상으로 - (A Study on User Behavior and Satisfaction with Neighborhood Parks within Walking Distance with Consideration for Interior and Exterior Environments - Focusing on the Case Study Hwarang and Gwanum Park, Daegu -)

  • 정성관;이슬기;강동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110-123
    • /
    • 2014
  • 최근 지역주민들의 일상생활 속에서 편리하게 이용 가능한 도보권 근린공원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보권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공원 내부 및 접근환경이 공원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현장조사와 GIS를 활용하여 공원 내 외부 환경을 자료를 구축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된 환경들과 비교를 통해 개선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요인분석을 통해 도출된 환경들이 공원이용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화랑공원 이용자들은 공원시설과 안전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으며, 관음공원은 녹지 공간과 그늘 양 등 자연적인 요소에 대해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관음공원은 시설의 노후화로 시설적인 측면의 만족도가 낮았고, 두 공원 모두 어린이들을 위한 시설과 볼거리 측면의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공원까지의 접근 환경을 평가한 결과, 보행과 관련된 쾌적성 및 접근성과 관련된 환경은 화랑공원이 관음공원에 비해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용자들이 만족도 또한 전반적으로 화랑공원이 높게 평가되었다. 공원까지의 접근에 있어 두 공원 이용자 모두 볼거리 측면의 만족도가 낮아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이용만족도 영향 요인을 분석한 결과, '접근로의 환경', '공원시설', '산책공간'이 도보권 근린공원 이용만족도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랑공원의 경우 내부적 환경보다 접근로의 환경개선이 이용만족도를 높이는데 더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보권 근린공원의 개선에 있어 내부환경뿐만 아니라, 접근환경 측면을 고려함으로써 이용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요인 및 군집분석을 이용한 기초 행정단위별 통행특성 분석: 인천광역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Travel Characteristics of Administrative Unit by Factor and Cluster Analysis: Focused on Incheon Metropolitan City)

  • 이슬기;최은진;김응철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94-104
    • /
    • 2016
  •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의 행정동을 특성에 따라 요인분석과 군집분석을 통하여 유형화 하였다. 그리고 유형별로 통행특성을 분석하여 교통계획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인천광역시의 행정동은 5개의 군집으로 유형화 되었으며 그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업이 발달한 행정동은 승용차를 이용한 출근통행량이 많고 장거리통행이 높게 나타나 출근시차제 및 신호운영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상업이 발달한 행정동은 대중교통 이용율이 높고, 장거리의 출근 및 쇼핑 통행량이 많은 특징이 있어 도로의 인프라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인구가 밀집된 행정동은 출근 및 등교통행의 비율이 높고 통행시간이 긴 특징이 있어 출퇴근 시간의 교통개선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도시의 특성이 복합적인 행정동은 도보를 이용한 행정동 안에서의 통행이 높은 특징이 있어 보행환경개선정책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지막으로 전철역과의 접근성이 높은 행정동은 자전거 이용이 높고 쇼핑 및 등교통행이 많은 특징이 있어 접근성 강화를 위한 계획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도시공원녹지의 구성과 배치 특성에 따른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 일본 타마뉴타운의 사례중심으로 - (Satisfaction Experienced in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according to Their Component and Arrangement - A Case Study on Tama Newtown, Japan -)

  • 염성진;박청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12-20
    • /
    • 2011
  • 도시에 있어서 공원녹지는 도시의 구조적, 사회적 환경을 개선하는 다양한 기능이 있다. 본 연구는 도시의 공원녹지계획이 도시환경의 개선에 관한 연구이다. 지금까지 도시에 있어서 공원녹지계획의 대부분은 녹지의 양의 증대를 목적으로 실시되어 왔다. 그러나 한정된 도시공간에서 공원녹지의 물리적인 확충은 토지의 확보가 어려워 곤란한 것이 현실이다. 그럼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공원녹지와 녹지에 대한 이용자평가를 통해 향후 공원녹지계획상의 학문적 근거이론의 확인과 실무적 사례 구축에 기여한다는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공원녹지의 구성과 배치특성에 균등배치와 집약배치의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진 일본의 타마뉴타운의 두 지구를 선택하여 319명의 주민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t-검정, 요인분석, 중회귀분석의 통계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서 공원녹지의 구성과 배치가 다른 두 지구의 만족도평가요인은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각 지구내의 세부평가요인에 있어서는 차이가 확인되었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공원녹지의 질, 주변녹지의 질, 접근성, 차도분리의 요인이 두 지구의 공통요인인 것이 확인되었다. 공원녹지가 집약배치된 지구에서는 만족도평가요인에 있어서 주변녹지의 질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공원녹지가 균등배치된 지구에서는 만족도평가요인에 있어서 공원녹지를 이용하는 보행공간의 차도분리가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유럽 도시 광장에서 나타나는 공유문화기반의 공간적 구성 특성 및 방향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and Direction of Spatial Composition of Shared Culture in European City Square)

  • 황미영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6권4호
    • /
    • pp.75-83
    • /
    • 2017
  • The cultural tendency based on sharing and cooperation, which has recently been a hot issue, accelerates throughout the world. This study began with a perception that a sharing culture is inherent in urban public spaces.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theoretical study of the sharing culture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ign composition of public spaces. This study selected squares in 16 European cities as cases for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1)To analyze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public spaces in which a sharing culture is inherent, this study drew the shape and type of planes and sharing elements such as accessibility, symbolism and activity with the squares in the cases. 2)The shape of planes in the squares in the cases has been formed in close relations with the historic meaning and events of the area and the process of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surrounding the square. The squares in the cases were classified into seven plane types, and these squares have developmentally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a sharing culture as a place for free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concerning social issues. 3)In the squares in the cases, the weight of road-centered access appears high, and in terms of the construction of human-friendly / environment-friendly infrastructure in the city or judging from the trend of the recent increase of pedestrian-centered plans for public space, it is judged that approaches with a high utilization rate of sidewalk or public transportation would be desirable. 4)Symbolic elements of the square become a device by which citizens can share the historic symbolism, along with artistic inspiration. In addition, by serving as an observatory from which people can take a view of the landscape of the city, it allows visual sharing of the entire city as well as the square. 5)A square is common pool resources in the community, and it is necessary to vitalize that in a direction of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sharing, through the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the composition of public design.

서울시 업종별 점포의 속성이 가로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Influence Factors Analysis of Revitalization in The Streets of Seoul City by Attributes of Small Retail Businesses' Classification)

  • 원유호;이주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6676-6684
    • /
    • 2014
  •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중요하게 도출되었던 기본적인 가로의 물리적 환경, 접근성, 밀도, 다양성 등의 보행증진요인을 기본 모형으로 가로차원의 변수를 종합적으로 포함하여 보행량 증진에 영향을 미치는지 도출해보았다. 또한 Jacobs(1961)가 가로의 보행량 활성화를 위해 중요하다고 언급했던 다양한 시설과의 연관성이 있으며, 리처드 맥코맥(1983)이 주장했던 업종별로 보행활성화에 대한 정도 차이가 존재할 수 있음을 실증 분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변수들간의 영향요인의 차이를 설명하기 위해 유형별 업종의 엔터방식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이러한 실증연구는 Jacobs(1961)가 가로의 보행량 활성화를 위해 중요하다고 언급했던 다양한 시설과의 연관성이 있으며, 리처드 맥코맥(1983)이 주장했던 업종별로 보행활성화에 대한 정도 차이가 존재할 수 있음을 실증 분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아파트 외부 공간 특성에 따른 어린이놀이터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Playgroun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Outdoor Space in Apartment Housing)

  • 신은주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9권2호
    • /
    • pp.5-16
    • /
    • 2009
  • The importance of playground, which is a central place in the outdoor space scheme for apartment and in children's outdoor activity, is increasing. The stature and availability in playground may be varied according to connection between playground and outdoor space and to characteristics of outdoor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rrange basic data in guidelines of a planning for supporting children's development and for activating its use in the apartment housing. This study conducted the field survey and questionnaire research after selecting 4-case apartment complexes based on the relevant preceding research. The survey results are as follows. Children were recognizing and preferring the playground as the central space in outdoor play activity. Mothers were preferring outdoor space adjacent to playground. There were the most responses with saying that a mother takes to play with a child. Children responded that the use of playground and the rides are the outdoor activity that they do the most. And, it was surveyed that there is difference in dweller's using playground by apartment complex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a planning for outdoor space. Given being connected with square with segregation of pedestrian and vehicle and with the resting space, the availability in playground was the highest. The availability in playground, which has high connection with diversely outdoor space elements while having good accessibility to the apartment building, was surveyed to be high. Playground had high preference in case of being connected with waterfront and resting space, rather than green zone. Diverse environmental artifacts and decorative fence may become a visually stimulus source that can activate the use of playground.

  • PDF

창원시 재해위험지구 대피 적합성 분석 (Evacuation Suitability Assessment of Shelters in Disaster Risk Districts of Changwon City)

  • 손세련;유환희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7-3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과거 태풍 루사와 매미로 침수피해가 발생해 재해위험지구로 지정된 창원시 마산합포구 신포지구와 해운지구를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여 대피자 특성에 따른 대피소의 접근성을 분석하였다. 대피속도는 신체조건을 고려하여 어린이, 일반성인, 노약자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해운지구의 경우 현재 지정된 대피소가 적절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신포지구에서 노약자의 경우 재해위험지구의 50%이상이 대피 취약지역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추가적으로 3개의 대피소가 지정되었고, 그 결과 기존의 대피소에서 발생되었던 대피취약지역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대피 위험도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보완 대책을 수립하는데 이용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