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atisfaction Experienced in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according to Their Component and Arrangement - A Case Study on Tama Newtown, Japan -

도시공원녹지의 구성과 배치 특성에 따른 이용만족도에 관한 연구 - 일본 타마뉴타운의 사례중심으로 -

  • Yeom, Sung-Jin (Graduate School of Horticulture, Chiba University) ;
  • Park, Chung-I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염성진 (치바대학교 원예학연구과) ;
  • 박청인 (한경대학교 조경학과)
  • Received : 2011.08.08
  • Accepted : 2011.10.19
  • Published : 2011.10.31

Abstract

Parks and green spaces have various functions for improving urban physical and social environments. Urban parks and green space planning have been applied in this study for the purpose of enhancing the urban environment. The most popular method for urban parks and green space planning is incrementing the quantity of parks and green spaces. However, it may not be possible to designate new parks and green spaces in a large city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obtaining land. This study explores how urban parks and green space planning produces better quality urban environments without having to designate new parks and green spaces. The study evaluates existing parks and green spaces according to the satisfaction of the users. This evaluation could be a useful tool for those planning urban parks and green space systems. The study was performed in Tama Newtown, Japan, within two districts with two distinct characteristics of park systems: concentration and equality arrangement forms. For comparison, on-site questionnaires were used, with 319 residents in the area responding to the study. The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test,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methods. The study fou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satisfaction factors be tween the two districts. However, differences were found within each of the districts, depending on parks and green space components. For example, the quality of green spac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district with a planned concentration arrangement form of parks and green spaces, but, separation of the pedestrian and vehicular systems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district with a planned equality arrangement form of park system.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of parks and green spaces that were common between the two sites were: accessibility, quality of park, quality of green space, and separation of pedestrian and vehicular traffics.

도시에 있어서 공원녹지는 도시의 구조적, 사회적 환경을 개선하는 다양한 기능이 있다. 본 연구는 도시의 공원녹지계획이 도시환경의 개선에 관한 연구이다. 지금까지 도시에 있어서 공원녹지계획의 대부분은 녹지의 양의 증대를 목적으로 실시되어 왔다. 그러나 한정된 도시공간에서 공원녹지의 물리적인 확충은 토지의 확보가 어려워 곤란한 것이 현실이다. 그럼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공원녹지와 녹지에 대한 이용자평가를 통해 향후 공원녹지계획상의 학문적 근거이론의 확인과 실무적 사례 구축에 기여한다는 의의를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공원녹지의 구성과 배치특성에 균등배치와 집약배치의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진 일본의 타마뉴타운의 두 지구를 선택하여 319명의 주민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t-검정, 요인분석, 중회귀분석의 통계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로서 공원녹지의 구성과 배치가 다른 두 지구의 만족도평가요인은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각 지구내의 세부평가요인에 있어서는 차이가 확인되었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공원녹지의 질, 주변녹지의 질, 접근성, 차도분리의 요인이 두 지구의 공통요인인 것이 확인되었다. 공원녹지가 집약배치된 지구에서는 만족도평가요인에 있어서 주변녹지의 질이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공원녹지가 균등배치된 지구에서는 만족도평가요인에 있어서 공원녹지를 이용하는 보행공간의 차도분리가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기개발연구원(2000) 신도시 공원기능 향상에 관한 연구.
  2. 김귀곤(1994) 생태도시로 전환을 위한 서울시 공원녹지정책의 역할. 한국조경학회지 22(3):192-20
  3. 김수봉, 김용수(1992) 대도시 공원녹지의 역할에 관한 연구(1). 한국조경학회지 19(4):1-1
  4. 김수봉(1997) 진해시 환경녹지 계획정책에 관한 연구. 환경정책 5(1):155-168
  5. 김승환(2000) 도시공원입지특성에 따른 그린네트워크 활성화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8(2):75-93
  6. 김용수(1989) 대구시 도시공원의 성격에 따른 이용자 만족요인 및 행태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17(1):34-17
  7. 김유일(1989) 도시 근린공원의 평가, 이용자와 지역주민(비이용자)의 행태 비교. 성균관대학교 논문집 40(1)
  8. 김유일(2011) 도시공원녹지에 대한 도시민의 인식과 만족도. 국토계획 46(1):157-170
  9. 김희우(2007) 광주광역시 근린공원의 이용실태 및 만족도 평가연구. 한 국조경학회지 35(4):16-31.
  10. 박기조(1997) 신도시계획에 있어서 공간구상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2(1):27-5
  11. 박대흥(1993) 생활과 기후. 영남일보
  12. 박청인(2005) 택지개발지구 환경개선을 위한 근린공원 이용 후 평가. 한국정책연구 5(1):1-13
  13. 박청인(2010) 주민의 공원녹지의식에 따른 도시공원녹지확충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4(3):29-3
  14. 서주환(1990) 도시녹지와 생활환경. 도시문제
  15. 석인수(1998) 도시공원실태와 효율적인 조성 및 관리방안 연구. 도시문제.pp.109-11
  16. 성현찬(1999) 도시녹지정책수립을 위한 주민의식조사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4(1):145-154
  17. 손상락, 윤병구(2002) 도시민의 공원녹지의식에 의거한 공원녹지정책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37(4):59-81
  18. 심준영, 김유일, 이시영(2010) 공공서비스로서 도시공원녹지평가. 한국조경학회지 37(6):19-27
  19. 오구균, 이규완(1995) 광주광역시 도시림의 현존식생과 식생구조. 한국조경학회지 23(2):148-156
  20. 이경재(1990) 서울시 녹지현황과 구조적 성장. 도시문제.
  21. 이영대(1997) 도시경관평가에 있어서 녹지의 역할과 계획지표 설정. 한국조경학회지 25(1):18-35.
  22. 임승빈(1998) 국립공원 및 인접지역 경관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6(2):283-29
  23. 한국토지공사(2004) 이용자중심의 공원설계를 위한 근린공원 이용후 평가.
  24. 飯沼一省(1969) 都市の理念. 都市計画協会.
  25. 武居高四郎(1924) 都市計画図譜. 広陸社.
  26. 田代順孝(1998) 緑のパッチワーク-緑域計画のための「9+1」章-. 技術書院.
  27. 柳井重人, 小谷幸司, 松下佳広, 丸田頼一(2004) 小学校における環境教 育を目的とした公園緑地利用の実態に関する研究. ランドスケ-プ研究 67(4);293-296
  28. 鈴木渉(1999) 環境学習と公園緑地. 公園緑地 60(1): 6-10.
  29. 山本聡, 増田昇, 下村泰彦, 安部大就, 坂田健太郎(1993) 居住環境形成 に係わる緑地の存在効果に関する研究. 造園雑誌 56(5): 259-264
  30. 住宅.都市整備公団南多摩開発局(1996) OPENMINAMITAMA SP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