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ectin content

검색결과 146건 처리시간 0.02초

Bacillus subtilis IFO 12113 유래 Protopectinase 를 이용산 사과박의 펙틴 추출 (Extraction of Pectin from Apple Pomace with Protopectinase produced by Bacillus subtilis IFO 12113)

  • 육현균;황용일;최정선;조용진;이승철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1호
    • /
    • pp.1-5
    • /
    • 1999
  • Protopectinase는 불용성의 프로토펙틴을 수용화시켜 펙틴을 생산하는 효소로서, 사과박으로부터 펙틴추출을 위한 최적 pH, 반응시간, 반응온도를 조사하였다. 효소 작용 최적조건은 pH 7.8, $60^{\circ}C$에서 48시간의 반응시간이었으며, 펙틴 추출률은 34.3%이었다. 최적조건에서 protopectinase에 의해 추출된 펙틴의 순도는 52.9%이었으며, methoxyl 함량은 2.75%로서 저 methoxyl 함량의 펙틴이었다. 효소 반응 온도와 시간은 펙틴의 추출률과 methoxyl 함량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반응 pH는 사과박의 펙틴 추출률과 methoxyl함량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최적조건에서 추출된 펙틴의 고유점도와 분자량은 각각 0.178 ml/g과 4,900이었다.

  • PDF

매실의 성숙중 경도, 무기성분 및 펙틴질의 변화 (Changes in Firmness, Mineral Composition and Pectic Substances of Mume(Prunus mume Sieb. et Zucc) Fruits during Maturation)

  • 차환수;박용곤;박정선;박미원;조재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488-494
    • /
    • 1999
  • 매실의 성숙중 경도, 무기성분 및 펙틴질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과실중량은 성숙과 더불어 증가되어 개화 후 92일이 경과한 과실의 평균 중량은 64일 것에 비하여 212∼232% 정도로 증가되었다. 그리고 과실중핵 중량 비율은 감소한 반면, 횡경은 성숙과 함께 증가하였다. 과실의 경도는 '소매'의 경우 개화 78일 이후 급격히 감소한 반면 나머지 3가지 품종(남고, 백가하, 앵숙)은 유사한 경도의 감소를 보였다. 무기성분은 K이 전체의 85%를 차지하고 있으며, 과육의 비대와 함께 Ca와 Mg함량이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매실의 총펙틴 함량은 개화 후 71일까지 증가하다가 성숙이 진행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과실의 연화와 함께 수용성펙틴 함량은 증가하고 염산 가용성펙틴은 감소하였다. 총펙틴에 대한 가용성펙틴의 구성비는 염산 가용성펙틴이 66∼76%로 가장 높았고, 수용성펙틴 8.4∼19.7%, 염가용성펙틴 5.4∼7.5%, 알칼리 가용성펙틴 7.1∼8.3%등이었다.

  • PDF

밀감 가공부산물에서 추출한 펙틴의 특성 (Properties of Pectin Extracted from By-product in Citrus Processing)

  • 박용곤;강윤한;차환수;김흥만;석호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659-664
    • /
    • 1996
  • 밀감 가공부산물에서 추출한 펙틴의 특성을 조사한 결과 알콜불용성 고형물(ASS)의 함량은 albedo층이 18.1%로 가장 높고, pulp가 5.7%로 가장 낮았다. AIS 구성 다당류 중 펙틴은 pulp와 albedo층이 각각 40.5% 및 35.2%로 구성되어 있어 펙틴 추출용으로서 좋은 소재인 것으로 나타났다. 총 펙틴 함량은 부위에 따른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대체로 AIS에 대해 30% 내외 이었으나, 가용성 펙틴 중 염산 가용성 펙틴의 경우에는 flavedo층이 14.0%로 가장 높고, pulp가 4.4%로 가장 낮았으며, 염류 가용성 펙틴의 경우에는 pulp부위가 15%임 에 비해 과피는 7% 정도로서 부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났다. 0.05N-HCI을 사용하여 $85^{\circ}C의$ 열탕에서 펙틴을 추출한 결과 60분의 가열처리로 90%이상의 펙틴이 용출되었으며, microwave의 경우 5분간 2회 조사시킴에 의해 90% 정도 추출되었으나 부위별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았고, 이들 펙틴의 에스테르화도에 있어서는 microwave 처리구의 것이 다소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추출 펙틴의 중성 당 조성을 조사한 결과 rhamnose, arabinose, galactose, glucose 및 xylose로 구성되고 있고, 이중 galactose가 60~78% 정도를 차지한 반면 xylose는 5% 이하이었다. 펙틴의 분자량 분포를 Sepharose CL-4B를 이용,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조사한 결과 부위별에 따른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나 pulp의 경우 분리 피크가 2개로 나타나 pulp를 구성하는 펙틴은 분자량이 높은 것과 이보다 낮은 두 group으로 구성되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The Effects of Cellulose, Pectin and Starch on Standardized Ileal and Apparent Total Tract Amino Acid Digestibilities and Bacterial Contribution of Amino Acids in Feces of Growing Pigs

  • Ma, Q.G.;Metzler, B.U.;Eklund, M.;Ji, C.;Mosenthin, R.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1권6호
    • /
    • pp.873-882
    • /
    • 2008
  • Eight ileally cannulated pigs (BW $35.9{\pm}0.9kg$) were randomly allotted according to a $4{\times}3$ Latin square design to determine the effects of cellulose, pectin and starch on standardized ileal digestibility (SID) and apparent total tract digestibility (ATTD) of crude protein (CP) and amino acids (AA) as well as on the bacterial AA contribution in feces. The pigs were fed the control diet (20.2% CP, % dry matter (DM)) or one of the three experimental diets in which 25% of the control diet was substituted by cellulose, starch or pectin. Due to this substitution, dietary CP levels were lower in the cellulose (15.5% CP, % DM), pectin (15.4% CP, % DM) and starch diet (15.2% CP, % DM). Following a 15-d adaptation period, feces were collected for 5 d and ileal digesta for a total of 24 h. Starch increased SID of CP, while cellulose and pectin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digestibility of CP. Overall, starch supplementation resulted in higher (p<0.05) SID values of histidine, isoleucine, threonine, alanine, aspartic acid, cysteine, glycine and serine compared with cellulose, while pectin decreased (p<0.05) SID of valine and proline compared with the starch and control diet. Both cellulose and pectin reduced (p<0.05) the ATTD of CP and AA, while starch decreased (p<0.05) ATTD of phenylalanine, alanine, proline and serine compared with the control. With regard to bacterial AA composition of the fecal mixed bacterial mass (MBM), cellulose supplementation increased (p<0.05) its content of N and almost all AA, except for valine, while pectin caused higher contents of arginine, histidine and proline compared with the control (p<0.05). The bacterial contribution of arginine in feces was higher (p<0.05) in the cellulose treatment, while pectin reduced (p<0.05) the bacterial contribution of leucine, alanine, glutamic acid and proline in feces compared with the control. In conclusion, the effects of cellulose, starch and pectin on SID were rather small. Bacterial activity in the large intestine can only explain the reduced ATTD values for arginine in the cellulose treatment, but not for the other AA in the cellulose and pectin treatments, suggesting higher endogenous losses of these AA in the large intestine.

유자펙틴 추출물을 첨가한 요구르트의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유변학적 및 관능적 품질 특성 (Physicochemical, Microbial, Rheological, and Sensory Properties of Yogurt Added with Yuza Pectin Extract)

  • 윤미라;서정윤;유가은;김연호;서문초;장윤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562-568
    • /
    • 2016
  • 유자의 이용성을 높이기 위해 유자펙틴 추출물을 첨가한 요구르트를 제조하여 이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추출된 유자펙틴 추출물의 uronic acid 함량은 53.93%였다. 유자펙틴 추출물 첨가 요구르트의 이화학적 특성 실험에 따르면 실험군의 pH는 4.3으로 나타났으며 실험군의 유산균 수는 식품공전에 명시된 요구르트 제조 기준에 적합하였다. 정상유동 특성의 경우 유자펙틴 추출물 첨가 요구르트의 n값은 1보다 낮은 범위(n=0.33~0.44)에 있어 shearthinning 유체 특성이 있었다. 점조도 지수, 겉보기 점도의 경우 대조군보다 모든 유자펙틴 추출물 첨가 요구르트가 유의적으로 높았다. 동적 점탄성의 경우 저장탄성률(G')과 손실탄성률(G'')은 주파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G'의 수치가 G''보다 뚜렷하게 높았다. 유자펙틴 추출물 첨가 요구르트의 복소점도 값은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점성적 성질에 비해 탄성적 성질이 더욱 우세하였다. 또한 유자펙틴 추출물 첨가 요구르트는 약한 겔과 같은 구조적 성질을 가지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유자펙틴 추출물 첨가가 요구르트의 점탄성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소비자검사에서도 실험군의 기호도가 더 높은 것으로 보아 우수한 품질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유자를 이용한 후 버려지는 유자껍질에서 펙틴을 추출하여 요구르트 제조에 첨가함으로써 향후 친환경적이며 고부가가치 요구르트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한다.

Exo-polygalacturonase를 이용한 사과박의 펙틴 추출 (Extraction of Pectin with Exo-polygalacturonase from Apple Pomace)

  • 이승철;육현균;배성문;황용일;최정선;조용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8-73
    • /
    • 1999
  • 사과박에서 WAIP의 함량은 32.5%로 추출되었으며, 산처리를 통한 펙틴 추출수율은 약 8%로 나타났다. EPG는 불용성의 프로토펙틴을 수용화시켜 펙틴을 생산하는 효소로 최적조건시 높은 수율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EPG를 이용하여 펙틴추출 조건을 pH, 시간, 온도, 효소 첨가량 등을 조사하였다. 먼저 최적조건을 조사한 결과 pH 7, 60시간, $45^{\circ}C$로 그 추출률은 27.1%로 측정되었다. 펙틴의 순도를 측정한 결과 산 추출 펙틴은 75.7%이었고, 효소를 이용하여 추출한 펙틴은 80.1%로 나타났다. 또한 methoxyl 함량을 측정한 결과 산 추출 펙틴은 2.44%, 효소 추출 펙틴은 6.36%로 저 methoxyl 펙틴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효소 추출물의 경우 저 methoxyl 펙틴으로 설탕을 전혀 첨가하지 않아도 2가 이상의 금속이 존재하면 겔의 망상구조를 만들 수 있으므로 저 칼로리 식품에 대한 겔화제로서 이용이 기대된다.

  • PDF

Verticillium sp.가 생산하는 Protopectin 용해효소에 관한 연구 (제 1 보) Protopectin 용해효소의 생산조건 및 이용 (Studies on the Protopectinase Produced by Verticillium sp. (Part 1) Optimum Conditions for the Protopectinase Production and Utilization)

  • 유주현;진효상;이봉기;오두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5-52
    • /
    • 1982
  • A fungus with the highest protopectinase productivity was selected among 205 strains isolated from the soil and identified as a Verticillium sp. The Verticillium sp. was cultivated on wheat bran and the crude extruct of its culture medium showed the highest protopectinase activity on the following conditions: 3 days of cultivation time, 27$^{\circ}C$ of cultivation temperature, 1.2 $m\ell$/g wheat bran of water content, and reinforcement of ammonium nitrate and calcium chloride at the concentration of 0.5 and 0.02%, respectively. The optimum conditions for pectin production from Citrus peel pulp by the protopectinase were consequently obtained as follows: 20$m\ell$/g of liquid volume-to-pulp weight ratio, 4$0^{\circ}C$ of reaction temperature, and 4 of reaction pH. The higher the enzyme concentration, the better the yield of pectin and the shorter the reaction time. Total 45.6mg of pectin/g peel was produced by 1 hour reaction at the enzyme concentration of 10.5 units/$m\ell$. Molecular weight of the pectin produced by the enzyme was estimated to be about 62,000 by Smit and Bryant's method.

  • PDF

고려인삼의 부위별 세포벽 구성성분 (Structural Components of Cell Wall in Various Parts of Korean Ginseng(Panax ginseng C. A. Meyer))

  • 정영륜;박찬수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7권2호
    • /
    • pp.169-171
    • /
    • 1983
  • The structural components of cell wall in various parts of Korean ginseng were analysed. Pectin was abundant in the cortex and epidermis of root, and leaf. Hemicellulose in root was more than in other parts of ginseng. Cellulose content of stem and seed coat was much higher compared to other parts and lignin content was highest in seed coat.

  • PDF

단호박과 늙은 호박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활성 비교 (Comparison of Nutritional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Activity for Kabocha Squash and Pumpkin)

  • 김성란;하태열;송효남;김윤숙;박용곤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71-177
    • /
    • 2005
  • 생과의 저장기간이 짧아 가공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단호박의 이용 확대와 건강기능식품의 소재로의 활용을 위해 국내에서 건강식품으로 널리 사용되어 온 늙은 호박과 단호박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단호박의 당도는 $14-16^{\circ}Brix$로 늙은 호박보다 높았으며 경도는 단호박이 1,602g, 늙은 호박이 788g로 나타났다. 단백질과 지방함량 및 총 아미노산 함량은 단호박이 늙은 호박보다 높았다. 유리당 함량도 단호박이 늙은 호박의 2.1배에 달했고, 당 조성도 sucrose가 83%로 가장 많았다. 단호박의 주요 유기산은 succinic acid인 반면, 늙은 호박의 주요 유기산은 malic acid였다. 단호박은 비타민 $A,\;B_1,\;B_2,\;C$의 함량이 모두 늙은 호박보다 월등히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Ca Na, K, Mg 및 P함량은 유사하였으나, Fe함량은 단호박이 높았다. 펙틴을 분획별로 분리하고 함량을 분석한 결과 단호박 알콜불용성고형물(AIS)의 총 펙틴 함량은 17.00%였으며 염산가용성펙틴(HSP)의 함량이 7.37%로 가장 많았다. 늙은 호박 AIS의 총 펙틴 함량은 25.14%였으며 이중 절반 이상인 16.51%가 수용성펙틴(WSP)이었다. 호박의 대표적인 기능성 성분인 카로틴 함량을 정량한 결과 단호박의 카로틴 함량은 285.91mg%로 늙은 호박의 24.62mg%보다 매우 높은 수준이었으며 HPLC로 정량한 카로티노이드의 조성에도 큰 차이가 있었다. 단호박은 전자공여에 의한 래디칼 소거능이 크고, SOD유사활성과 아질산염 소거작용이 높았으며, 이들의 활성은 늙은 호박보다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Analysis of Extruded Pectin Extraction from Apple Pomace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Shin, Hae-Hun;Kim, Chong-Tai;Cho, Yong-Jin;Hwang, Jae-Kwa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1호
    • /
    • pp.28-31
    • /
    • 2005
  • To extract apple pectins, apple pomace (AP) was extruded under 14 different conditions of screw speed (250-350 rpm), feed rate of 30-40 kg/hr, and 20-30% moisture content using twin-screw extrusion.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 based on three variables by three-level factorial design, was employed to investigate effects of screw speed, feed rate, and moisture on dependent variables of extrudates, soluble dietary fiber (SDF), yield of anhydrogalacturonic acid ($Y_{AGA}$) representing pectin, and intrinsic viscosity ([${\eta}$]). Second order models were used to generate three-dimensional response surface for dependent variables, and their coefficients of determination ($R^2$) ranged from 0.96 to 0.99. Moisture content showed highest effect on solubilization of 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