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vement type

검색결과 245건 처리시간 0.04초

도로 포장방법에 따른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비교 (Characteristics of Stormwater Runoff with respect to Pavement Types)

  • 김철민;최지연;이정민;조혜진;김이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423-429
    • /
    • 2014
  • 도로는 높은 포장율과 자동차 운행으로 인하여 건기시 다양한 오염물질이 축적되며, 강우시 유출되어 수계에 환경수리학적 영향을 끼친다. 특히 도로노면은 아스팔트 또는 콘크리트로 포장되면서 거친 정도에 의한 오염물질의 축적과 유출정도가 다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포장 재료에 따른 강우시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2012년도에 신규 개통한 구간에서 모니터링이 수행되었다. 강우 초기에 비점오염물질이 집중적으로 유출되는 초기강우현상은 포장재료와 관계없이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노면과 자동차 타이어와의 마찰력이 큰 콘크리트 포장에서는 모든 수질오염항목에서 첨두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영향으로 인하여 TSS, 유기물과 영양염류의 유량가중평균농도(EMC, Event Mean Concentration)도 콘크리트 포장에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도로 포장방법이 수문학적 유출특성, 도로의 물리적 디자인 및 자동차의 운행대수 등과 함께 오염물질 유출에 크게 영향을 끼치는 중요한 인자라는 것을 보여준다.

RSBS(Radial type SBS)를 이용한 복층포장구조에 의해 도로교통소음을 저감하는 기술 (Traffic Noise Reducing Technology using RSBS(Radial type SBS) Modifiers Into Double Layer Pavement)

  • 김병채;박진수;황경태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68-572
    • /
    • 2013
  • This is traffic noise reducing technology with higher porosity and durability by using small aggregate in upper layer and big aggregate in lower layer utilizing RSBS modifier. We can reduce average 9dB(A) of traffic noise compare to normal pavement by double layer structure with higher durability using small gap over bigger gap. Also, it increases a porosity more than 22% with more durability by RSBS modifier.

  • PDF

친환경 쉬트형 보강재 및 분산성 섬유를 적용한 복합 섬유 보강 포장 개발 (Development of a Composite Fiber Reinforcement Pavement using Eco-Friendly Grid and Dispersive Fibers)

  • 박주원;김형수;김혁중;김성보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9권6호
    • /
    • pp.57-66
    • /
    • 2017
  • PURPOSES : This study develops eco-friendly asphalt reinforcement materials applicable to bridge deck pavement. The main purpose is to ensure highly reliable quality applicable to structures and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application. The main target of the study is to develop materials that are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capable of improving performance. METHODS : The application of double-reinforcement fiber improves the performance of the road pavement. 1. We use recycled film for application of sheet-typed reinforcement. 2. We use preprocessing fibers to reinforce the properties of composite pavement materials. RESULTS : The developed products may produce materials that fit the purpose of achieving stability and environmental friendliness. Sheet-typed reinforcements use more than 50% recycled resin. The most important type of damage to the asphalt layer is deflection (plastic deformation). These products have a very high deflection resistance of not less than 6,000 cycles/mm. In addition, all performance is excellent. Thus, it will be easier to access the field in the future. CONCLUSIONS : Fiber-reinforced asphalt pavement showed excellent performance. Sheet-typed reinforcements containing 50% recycling resin produced good performance in terms of functionality as well as environmental friendliness. Thus, enhancing the field applicability will enhance the usability of the reinforcements.

국도 아스팔트포장의 특수포장 적용을 위한 교통량 기준 제안 연구 (A Study on Decision Criteria of traffic volumes for Choosing of Modified Asphalt Pavement in Korea National Highway)

  • 권수안;정경영;서영찬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25-33
    • /
    • 2002
  • 국가 기간산업의 중추 역할을 수행하는 일반 국도는 대부분 일반 아스팔트 포장으로 되어 있으며, 최근 들어 고온 및 중차량의 증대로 인해 포장의 수명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이유로 많은 경우 신설포장에 대해서는 SMA. 개질아스팔트 등 특수포장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어떤 경우에 특수 포장을 채택할 것인가에 대한 적용 기준이 명확히 제시되어 있지 않아 설계 실무자들이 포장형식 선정을 위한 의사 결정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부분적인 해결책으로 과거 10여 년 동안 수행된 국도 포장유지관리시스템의 자료를 이용하여 교통량에 따른 일반 아스팔트포장의 수명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신설포장은 9.5년, 덧씌우기 포장은 5.6년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의 포장 수명에 대한 분포 자료를 이용하여 설계 수명인 10년을 공용하기 위한 교통량을 신뢰수준에 따라 제시하였다. 그 결과 90%의 신뢰수준에서는 8.2ton 표준 축하중 2,300 ESAL, 80% 신뢰수준에서는 8.2ton 표준 축하중 1,500 ESAL로 나타났다 즉, 여기서 제시된 교통량보다 많은 구간에 대해서는 특수 포장의 적용을 검토할 것을 제안한다.

  • PDF

아파트 단지 내 블록포장의 종류와 공간유형에 따른 하자분석 (Defect Analysis According to the Types and Spatial Type of Block Pavement in Apartment Complex)

  • 박근혜;정성관;장철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91-104
    • /
    • 202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defects according to the type of block and spatial type by quantitatively examining defects occurring in block pavement in apartment complex.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depending on the type of block, defects have occurred 1,394.3ea/100㎡ in interlocking paver blocks, 464.8ea/100㎡ in clay brick paver blocks, and 235.1ea/100㎡ in shot blasted paver blocks. By space type, the defects were occurred 1,576.0ea/100㎡ on the access road paved by interlocking paver blocks and the defects were found 1,139.6ea/100㎡ in interlocking paver blocks, 235.1ea/100㎡ in shot blasted paver blocks, and 797.1ea/100㎡ in clay brick paver blocks, on the sidewalk. Also the defects are occurred 455.6ea/100㎡ on the resting space and 403.2ea/100㎡ on the gym space paved by clay brick paver blocks. Through the size analysis of the defects in the block paver, in the case 'peeling', the largest volume of 2,539.0㎣ on the sidewalk paved with shot blasted paver blocks, and 'Subsidence' occurred at the widest area of 2,096.0㎠ on the sidewalk where interlocking paver block was constructed. The difference in defect occurrence according to the type of block is considered to be influenced by the block production process, and the space type is considered to be caused the difference in the occurrence of defects according to the cause of construction and the usage pattern of resident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on defects in block and analyzed the defect characteristic according to paver material and space type. Base on this, it is judged that it can be used as an efficient basic data for material replacement, improvement, paver planning and construction in the future.

지불계수를 이용한 시험포장구간의 품질평가와 피로수명 분석 (An Evaluation on Quality of Field Trial Protocol using Pay Factor and Analysis of Fatigue Life)

  • 이재학;이석근;김성민;황상민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1권4호
    • /
    • pp.133-142
    • /
    • 2009
  • 본 연구는 지불계수를 이용하여 시험포장 구간의 품질을 평가하고 이에 따른 피로수명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특히 품질관리가 어려운 아스팔트 함량을 지불규정 기준인자로 선정하여 지불계수를 산출하였다. 먼저 아스팔트 함량이 피로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아스팔트 함량에 따른 피로수명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이후 총 2회에 걸쳐 시험포장 구간에서 시료를 채취해서 지불계수를 산출하여 시험포장 구간의 품질을 평가하였으며, 지불계수에 따라 시험포장 구간의 품질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시험포장 구간에 포설된 아스팔트 혼합물을 이용하여 시편을 제작, 피로수명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불계수가 높은 시험포장의 피로수명이 월등히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통계이론을 이용한 지불계수가 실제 포장의 피로수명을 반영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사료된다. 또한 시험포장 구간에 아스팔트 혼합물을 납품한 플랜트의 배합보고서와 동일한 시편을 제작하여 휨 피로시험을 실시하여 1, 2회차 시험포장의 피로수명들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배합보고서를 기초로 제작한 시편의 피로수명이 시험포장 구간의 피로수명에 비해 월등히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입도나 기타 요인에 따른 공용성 감소현상이 발생 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 사료된다. 따라서 지불규정을 적용중인 미국과 같이 입도, 공극률 등을 지불규정 기준인자로 선정하여 최종적인 지불계수를 산출하는 것이 보다 정확한 도로포장의 품질을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저소음·분진회수형 도로절단기의 친환경성 평가 (Eco-friendliness Evaluation of a Low-Noise and Dust-Recovery Type Pavement Cutter)

  • 김균태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8권4호
    • /
    • pp.194-203
    • /
    • 2021
  • 최근에 상하수관로, 지역난방 열공급관로 등의 유지보수가 증가하면서, 도로절단기에 의한 도로절단 작업도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도로절단 작업은 소음과 함께 분진(절단슬러지)을 많이 발생시키므로, 저소음, 분진회수 등 친환경적인 기술이 적용될 필요가 있다. 기존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분진을 회수하는 장비가 개발된 사례가 있으나, 친환경성이 정량화되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음 및 분진과 같은 환경위해요인의 발생원인을 근본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저소음·분진회수형 도로절단기를 개발하고, 이 절단기로 수행하는 도로절단작업 과정에 대한 친환경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진공장치와 슬러지흡입부로 구성된 수냉-슬러지회수 통합시스템을 개발하고, 개발된 시스템을 도로절단기에 적용하였다. 그리고 개발된 장비를 테스트 베드에 적용하고, 친환경성 관련 데이터를 수집하여, 친환경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개발된 장비의 절단슬러지 회수율은 83% 이상이었으며, 소음도는 82~83 dB, 음향파워레벨은 115 dB 수준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도로절단기를 개선하는 과정에서 절단슬러지 회수성능과 저소음 성능을 향상시키는 데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아스팔트포장 유지보수 적정공사비 산정방안 연구 (A Study on the Estimation of Proper Construction Cost for Road Pavement Maintenance Work)

  • 오재훈;송태석;안방율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16-26
    • /
    • 2020
  • 도로포장 유지보수 공사는 다양한 현장 여건에 의해 작업량이 다양하게 발생되고 있으나, 공사비 예정가격 작성시 세분화된 기준이 없어 적정공사비가 산정되기 어렵다. 도로포장 유지보수는 신설포장과 달리 차량들이 운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시공을 할 수 밖에 없어, 도심지, 작업제한시간, 야간, 시공면적 등에 따라 생산성에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를 보정하기 위해 공사비산정기준 등에서는 차로수, 주택가, 작업가능시간, 야간작업 등의 할증을 제시하고 있으나, 공사관계자들에 따라 상이하게 적용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포장 유지보수 주요 작업공종에 대하여 현장의 여건을 제대로 반영 할 수 있는 공사비산정 기준을 마련하고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조사하였다. 주로 많이 시공되고 있는 '절삭 후 아스팔트 덧씌우기', '표층복구', '포장복구', '도로복구'를 대상으로 현장을 조사·분석 하였으며, 현장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기본적인 번화가, 주택가 등 할증을 포함하여 작업시간과 시공개소 및 면적에 따라 시공량을 구분하여 적용할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하였다. 작업시간은 이동과 준비시간을 제외한 순수작업시간을 3개 type(7시간, 5시간, 3시간)으로 구분하여, 각 type에 따라 시공개소의 면적을 5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 계수를 마련하였으며, 공사비를 비교·분석 하였다. 이에 따라 시공목적, 현장여건에 따른 공사비산정기준 설계방법을 제시하여 설계자가 현장여건을 고려하여 적정한 공사비를 산정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된 것으로 판단된다.

도로 노면표시용 재생 유리의 반사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Retroreflectivity of Road Marking using Recycled Glass)

  • 이명수;전찬기;박정준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68-91
    • /
    • 2008
  • Our country is consuming huge source of revenue to improve geometric structure of road with a view to improve safety of the road. However, it is more efficient to provide high-quality pavement markings to the road users. For this purpose, in this study, it is considered the optical theory related to retroreflectivity of pavement marking along with the our country's study literature and foreign. And also considered ur country standard related to pavement marking, made pavement marking sample and measured retroreflectivety. For the experiment, it is selected colors of normal temperature-type paints, grading and content of glass bead as experiment factors. After it is made the same conditions like construction spot, measured retroreflectivity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factors and analyzed the optimization of factors.

  • PDF

GPR을 이용한 토조의 공동 탐사 (Cavity Detection of Chamber by GPR)

  • 이현호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86-9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토조에 설치한 관의 종류 및 매립 깊이, 공동 깊이 및 포장 조건 등에 대한 GPR(Ground Penetrating Radar) 탐사를 진행하여 매립관의 종류 및 공동 탐사 능력을 실험적으로 규명하였다. 아스팔트 포장 및 비포장의 경우, 콘크리트 포장 및 철근 콘크리트 포장 대비 매립관의 탐사가 용이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공기 공동의 경우, 매립 깊이 1 m에서는 탐지가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