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ttern scanner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6초

Wide-fan-angle Flat-top Linear Laser Beam Generated by Long-pitch Diffraction Gratings

  • Lee, Mu Hyeon;Ryu, Taesu;Kim, Young-Hoon;Yang, Jin-Kyu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5권5호
    • /
    • pp.500-505
    • /
    • 2021
  • We demonstrated a wide-fan-angle flat-top irradiance pattern with a very narrow linewidth by using an aspheric lens and a long-pitch reflective diffraction grating. First, we numerically designed a diffraction-based linear beam homogenizer. The structure of the Al diffraction grating with an isosceles triangular shape was optimized with 0.1-mm pitch, 35.5° slope angle, and 0.02-mm radius of the rounding top. According to the numerical results, the linear uniformity of the irradiance was more sensitive to the working distance than to the shape of the Al grating. The designed Al grating reflector was fabricated by using a conventional mold injection and an Al coating process. A uniform linear irradiance of 405-nm laser diode with a 100-mm flat-top length and 0.176-mm linewidth was experimentally demonstrated at 140-mm working distance. We believe that our proposed linear beam homogenizer can be used in various potential applications at a precise inspection system such as three-dimensional morphology scanner with line lasers.

큐싱(Qshing) 공격 탐지를 위한 시스템 구현 (System implementation for Qshing attack detection)

  • 신현창;이주형;김종민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55-61
    • /
    • 2023
  • QR Code는 사각형 모양의 흑백 격자무늬에 데이터를 넣은 매트릭스 형식의 2차원 코드로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특히, COVID-19 확산방지를 위해 누구나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QR Code를 활용하여 이동경로를 파악함으로써, 사용량이 급증하게 되었다. 이렇게 QR Code의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이를 악용한 큐싱(Qshing) 공격에 대한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큐싱(Qshing) 공격 탐지 시스템을 구현하여 QR Code 스캔 시 유해 사이트로의 이동 및 악성코드 설치를 탐지하여 개인정보유출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였다.

레이다 빔조향 특성 측정 장치 개발 및 보어 사이트 에러 측정 (Development of Radar Beam Steering Measurement System and measurement Boresight Error)

  • 곽용길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546-551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AESA 레이다의 근전계에서 송신/수신 모드에 대한 원전계 빔조향, 근전계 빔집속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빔 조향 특성 측정 장치를 개발하였다. 빔조향 특성 측정장치는 구면형 근접전계 스캐너, 안테나 포지셔너, 근접전계 제어기, 네트워크 측정기, 레이다 제어시스템, 검증용 레이다 및 모의레이돔, AESA 레이다 등으로 구성된다. 개발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AESA 레이다에 대한 레이돔장착전/후의 송/수신패턴특성을 측정하였고, 근접전계 측정 후 원전계로의 변환을 통해 빔패턴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레이다 안테나 장치의 보어사이트에러 를측정하였고, 모의 레이돔 장착 전후 메인로브가 동일하게 형성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3D 인체 스캔 데이터를 활용한 체형별 인대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Development of Bodice Dress Forms by Body Types for Women in Thirties Applying 3D Body Scan Data)

  • 서동애;오설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136-145
    • /
    • 2012
  • 다양한 체형을 지니고 있는 소비자들에게 만족스러운 착용감을 주는 기성복 생산을 위해서는 체형 특성이 반영된 원형 제작이 필요하다. 인체는 체형에 따라 곡면의 형태가 달라지므로, 인체의 곡면 형태를 세분화하여 그 특성을 원형 설계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기성복에서는 개인의 체형별 특징을 일일이 반영하기 힘드므로, 기성복 원형 제작에 활용 가능한 체형별 인대 모형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삼차원 인체스캔 데이터를 활용하여 체형을 분석하고 각 체형에 따른 인대모형 개발 방법을 제시하였다. 30대 성인 여성의 상반신 삼차원 인체 형상 자료를 분석한 결과, 체형 특성은 보통체형, 비만체형, 마른체형으로 분류되었다. 상반신을 기준선을 두어 나누어 계측한 결과, 체형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다. 계측된 각 부위별 삼차원 인체 치수를 기본 원형 설계 시 허리다트 위치 및 분량 설정에 반영하여 체형별 상반신 기본 원형을 제작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입체모형을 제작하여 스캔, 모델링 작업을 거쳐 체형에 맞는 원형 인대 모형을 제시하였다. 인대 모형은 인체의 입체 형상을 만들기 위한 다트선을 포함하고 있어 기본 원형 제작 및 원형 활용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유방 침윤성 관상피암에서 수소핵 자기공명분광상의 특성 분석 (Analysis of $^1H$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Pattern in Invasive Ductal Carcinoma of Breast)

  • 조재환;박철수;이선엽;김보희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21권1호
    • /
    • pp.22-28
    • /
    • 2010
  • 유방암 중에서 가장 발생율이 높은 침윤성 관상피암을 대상으로 생체 국소 수소핵 자기공명분광법(localized in vivo $^1H$ MRS)을 시행하여 조직학적 형태에 따른 자기공명 분광상(MR spectroscopy)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직학적으로 침윤성 관상피암으로 진단 받은 환자 40명을 대상으로 하여 종양이 있는 부위를 실험군으로 정하였고 종양이 없는 반대쪽 부위를 대조군으로 정하여 3.0T MR scanner를 이용한 수소핵 자기공명분광영상으로 검사를 시행하여 영상 및 분광 정보를 얻었다. 유방암 환자 40명 중 34명(85%)에서 3.2 ppm 분광정점을 확인할 수 있었고 MRS상 3.2 ppm에서의 분광정점 발현여부를 유방암의 진단 기준으로 선택하는 경우 민감도는 85% (34/40), 특이도는 92.5% (37/40), 양성예측율은 100% (34/34), 음성 예측율은 86% (37/43)이었다. 정상 조직의 1.3 ppm에서의 분광정점을 진단 기준으로 정할때 민감도는 92.5% (37/40), 특이도는 85% (34/40), 양성 예측율은 100% (37/37), 음성 예측율은 91.8% (34/37)이었다. $^1H$ MRS방법이 유방암의 진단에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고 추후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임상적으로 진단 및 치료 판정에 널리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국 인구집단에서 부정교합 환아의 구개의 크기 및 용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Various Sizes and Volumes of the Palate among the Korean Population in Mixed Dentition)

  • 최지명;신지선;한미란;이준행;김종수;김종빈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29-339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혼합치열기의 골격성 I, II, Ⅲ급 부정교합의 구개용적, 폭경, 장경, 고경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단국대학교 치과대학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여 교정을 목적으로 인상채득한 진단모형 1400개 중 30개를 선별하여 분석하였다. 모형은 Hellman's dental age ⅢA의 골격성 I, II, Ⅲ급 부정교합으로 구성되었다. 3차원 스캐너로 모형을 스캔한 후 여러 구개 수치들을 측정하였다. SPSS에서 Kruskal-Wallis test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고, Mann-Whitney test로 사후검정하였다. 혼합치열기의 II급 부정교합에서 I급, Ⅲ급 부정교합에 비해 구개폭경이 유의하게 작았고, 구개장경이 유의하게 길었다. 혼합치열기의 Ⅲ급 부정교합에서 구개고경이 유의하게 가장 컸으며, 그 다음으로는 II급, I급 순이었다. 구개용적은 Ⅲ급, II급, I급 순으로 컸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할 만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각 교합 양식에 따른 구개 형태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은 임상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이 번 연구를 바탕으로 구개의 형태와 골격 패턴과의 관계에 대해 이해하였고, 이는 교정 치료 계획, 부정교합 조기 진단 및 구개 형태의 통합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다양한 CAD/CAM 방식으로 제작한 금속하부구조물 간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 비교 연구 (Comparative evaluation of marginal and internal fit of metal copings fabricated by various CAD/CAM methods)

  • 정승진;조혜원;정지혜;김정미;김유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211-218
    • /
    • 2019
  • 목적: 본 연구에서는 CAD/CAM 기술로 제작한 4가지 금속하부구조물의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비교하여 정확도 및 임상적 효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상악 중절치 레진모형치아를 삭제한 뒤 복제하여 Ni-Cr 합금 표준 모형을 제작하였다. 이를 공초점 현미경방식의 구강 스캐너를 이용해 12개의 STL 파일을 얻었다. CAD 프로그램 상에서 $50{\mu}m$의 시멘트 공간을 부여한 두께 0.5 mm의 금속하부구조물을 디자인하였다. Co-Cr 금속하부구조물은 다음 4가지 방법으로 제작하였다: Wax pattern milling & Casting (WM), Resin pattern 3D Printing & casting (RP), Milling & Sintering (MS), Selective laser melting (SLM).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측정하기 위해 실리콘 복제법을 이용하였다. 측정한 결과값은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으로 통계처리하고, 사후검정으로 Scheffe test를 시행하였으며, 5% 유의수준으로 평가하였다(${\alpha}=.05$). 결과: 변연 적합도는 WM군($27.66{\pm}9.85{\mu}m$)과 MS군($28.88{\pm}10.13{\mu}m$)이 RP군($38.09{\pm}11.14{\mu}m$)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작았다. 치경부 적합도는 MS군이 RP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작았다. 축면 적합도는 WM군과 MS군이 RP군과 SLM군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작았다. 절단면 적합도는 RP군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작았다. 결론: Wax pattern milling & Casting, Milling & Sintering법으로 제작한 Co-Cr coping의 변연과 축면에서의 적합도가 더 우수하였다. 모든 군의 Co-Cr coping의 변연, 치경부, 축면 적합도는 임상적으로 허용할만한 범위 안에 있었다.

MREIT Conductivity Imaging of Pneumonic Canine Lungs: Preliminary Post-mortem Study

  • Kim, Hyung-Joong;Kim, Young-Tae;Jeong, Woo-Chul;Minhas, Atul S.;Lee, Tae-Hwi;Lim, Chae-Young;Park, Hee-Myung;Kwon, O-Jung;Woo, Eung-Je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94-98
    • /
    • 2010
  • In magnetic resonance electrical impedance tomography (MREIT), a current-injection MR imaging method is adopted to produce a cross-sectional image of an electrical conductivity distribution in addition to MR ima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feasibility of MREIT for differentiating the canine lung parenchyma without and with pneumonia. Three normal healthy beagles and two mixed breed dogs with pneumonia were used. After attaching electrodes around the chest, we placed the dog inside our MR scanner. We injected as much as 30 mA current in a form of short pulses into the chest region. Reconstructed conductivity images of normal canine lungs exhibit a peculiar pattern of a relatively coarse salt and pepper noise. On the contrary, conductivity images of pneumonic canine lungs show significantly enhanced contrast of the lesions while the corresponding MR images show a little bit of contrast in the middle and caudal lung parenchyma due to the accumulation of pleural fluid. This preliminary study indicates that MREIT imaging of the chest may deliver unique new diagnostic information.

A Comparative Study on Virtual Try-on Systems using Body Measurement Input

  • Lim, Ho-Sun;Istook, Cynthia
    •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Culture
    • /
    • 제13권2호
    • /
    • pp.118-129
    • /
    • 2010
  • Digital technology introduced into the clothing and fashion industry is evolving to digital virtual fashions and consumer-centered mass-customized production systems. Today the application of such 3D virtual try-on systems is being expanded gradually in the clothing industry. This study purposed to make virtual avatars and virtual garments using OptiTex and V-stitcher virtual software and compared the appearance of the virtual garments put on the virtual avatars. For this, we created virtual avatars and virtual garments using body measurements obtained from jive subjects of top jive body shapes, respectively, using $[TC]^2$ body scanne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outcomes of the two different virtual software systems, virtual avatar II of V-Stitcher tended to have a more round and lifted hip and the waist line at a higher position. In addition, the body curves and shapes of a virtual avatar affect the appearance of virtual garments. This study applied the same body measurements to virtual avatars and the same pattern to virtual garments, but when different kinds of virtual software were used, the virtual avatars and virtual garments showed different appearance and fit. This result may mean that when customers buy apparel products using different kinds of virtual try-on systems, their evaluation of appearance can vary depending on the virtual try-on system. Therefore, research needs to be made actively for the development and use of linkage programs that can reflect actual body measurements between virtual software systems and 3D body scanning systems.

  • PDF

20대 여성을 위한 재킷패턴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Jacket Patterns for Women in Their 20's)

  • 신장희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13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body type among women in their 20s and the development of prototypes for tailored jackets by body type in order to design clothes in consideration of an imbalance in body type caused by the popularity of portab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and Netbooks. This study aims to create a design of jacket patterns by body type through both actual and virtual wear testing among women in their 20s, who are the major consumer of ready-made clothes and are very sensitive to size fit. This study will provide pattern information for the manufacture of jackets with a goal of securing the latest scientific body type information and establish the grounds for a research method in the manufacture of clothes. According to actual and virtual wear tests of four different body type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armhole circumference in most types because it was scanned with the arms slightly apart to prevent the armhole area from being missed during the 3D scanning. This has resulted in a slight distortion in measurements. To correct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precision of the body scanner and its program. In categories in which a larg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t is necessary to test them against many subjects. In addition, it would be required to perform a further study on the 3D virtual wear system, which could be useful in the clothing industr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