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tent period

검색결과 177건 처리시간 0.031초

특허와 통계학, 그 연결은? (Patent and Statistics, What's the Connection?)

  • 전성해;엄대호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17권2호
    • /
    • pp.205-222
    • /
    • 2010
  • 특허제도는 발명자의 기술을 공개시키고 동시에 일정기간 동안 발명자에게 해당기술의 독점적 사용권을 법으로 보장하는 지식재산권제도이다. 이 제도를 바탕으로 전 세계는 치열한 기술경쟁을 하고 있다. 특허는 물건의 발명뿐만 아니라 방법의 발명도 인정한다. 방법의 발명에는 기업경영을 위한 비즈니스모델뿐만 아니라 다양한 통계적 분석기법도 포함된다.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출원, 등록된 통계적 분석기법과 관련된 전체특허를 조사하여 기술유형별로 분석한다. 또한 특허데이터 자체에 대한 통계분석의 적용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국내와 미국의 특허청으로부터 통계분석 기술관련 전체 등록특허를 검색하여 조사, 분석하였다.

기술예측을 위한 특허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Keyword Network Analysis for Technology Forecasting)

  • 최진호;김희수;임남규
    • 지능정보연구
    • /
    • 제17권4호
    • /
    • pp.227-240
    • /
    • 2011
  • 특허의 중요성이 커짐에 따라 특허분석의 중요성 또한 점점 커지고 있다. 특허분석은 네트워크 기반 방법과 키워드 기반 방법으로 나눠지는데 네트워크 기반은 특허 내부에 존재하는 세부 기술정보에 대한 분석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고 키워드 기반은 기술정보간의 상호관계를 규명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다. 기존에 제시된 네트워크 기반 특허 분석과 키워드 기반 분석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두 방법을 혼합한 방법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특허 키워드 네트워크 기반 분석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LED 분야의 특허들을 대상으로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중요한 기술정보를 추출한 다음, 키워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를 대상으로 커뮤니티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허 키워드 네트워크는 매우 낮은 밀도와 매우 높은 클러스터링 지수를 나타내었다. 밀도가 높다는 것은 LED 분야내 특허 키워드 네트워크 내 노드(키워드)들이 산발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클러스터링 지수가 높다는 것은 해당 키워드 네트워크 내 노드, 즉 키워드들이 각각의 커뮤니티로 매우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둘째, 특허 키워드 네트워크도 다른 지식네트워크와 마찬가지로 명확한 멱함수 분포를 따른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기존에 활발히 연구, 활용되어 많은 연결고리를 갖고 있는 특허개념(키워드)수록 지속적으로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 선택되고 이 키워드를 바탕으로 새로운 키워드들이 연결되어서 이들 키워드간의 조합으로 새로운 기술이 발명된다는 것이다. 셋째, 특허가 개발될 때 특정 분야에 유입된 키워드 중 새로운 링크가 생긴 키워드의 대부분이 기존에 연결되어 있던 커뮤니티 내의 키워드들과 결합되어 새로운 특허 개념을 구성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사실은 단기(4년) 장기(10년) 두 기간 모두 동일하게 나타났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론을 통해 도출된 특허 키워드 조합 정보를 활용하면 미래에 어떤 개념들이 합쳐져서 새로운 특허 단위로 만들어 질지 가늠해볼 수 있고, 새로운 특허를 개발할 때 참고할 수 있는 유용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다.

실용신안 권리보호에 대한 중국 특허권평가보고서제도의 유효성 연구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Protecting Utility Model with China's Patent Evaluation Report)

  • 호효림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27-152
    • /
    • 2017
  • 중국의 실용신안은 발명 특허를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신청기한이 짧고 수권속도가 빠르며 발명 특허와 마찬가지로 독점권이 있어 기업이 빠른 속도로 시장을 선점하는데 유리하다. 그러나 중국에서의 실용신안권은 실질 심사를 하지 않기 때문에 안정성이 낮은 편이고 무효 기각된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발명특허보다 보호에 어려움이 있다. 중국은 국내 중소기업의 발명과 창조 활동을 적극 장려하고 자국의 실용신안을 보호하기 위해 실용신안에 특허권평가보고와 비슷한 특허보호정책을 제정하였고 특히 특허침해소송 시 특허권평가보고를 근거로 삼아 실용신안 특허권자와 특허권 권리분쟁의 당사자를 사법적으로 구제할 수 있는 길을 열어 주었다. 많은 전문가들은 특허권평가보고 제도를 구축함으로서 실용신안 특허권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피고가 답변기한 내에 특허권 무효심판요청 시 특허권평가보고가 실용신안 특허권에 신규성, 진보성의 근거를 제시하지 못하거나 특허권이 안정성이 없다고 기록하지 못할 상황에서 법원은 심판을 중지하지 않고 재심사위원회의 특허권 무효심판 결정의견을 기다리지 않아도 되어 사법 절차의 효율을 높이고 특허권자의 권리유지 시간을 가속화하는 데 유리하다. 그러나 실질적인 특허권 침해 분쟁에서 특허권평가보고서제도와 무효심판제도는 충돌이 일어날 수 있다. 그러므로 본문에서는 현행 중국의 실용신안제도를 분석하고 한국의 실용신안제도와의 비교를 통해 중국의 특허권평가 보고서제도의 본질과 역할을 확인하고 실용신안 특허권 침해 소송의 실제 사례를 통해 특허권평가보고의 결과로 인한 변수를 분석하여 특허권평가보고와 무효심판이 충돌하는 실질적인 원인을 규명하고 특허권 평가보고서제도의 유효성과 권리 보호를 위한 특허권평가보고서제도의 활용에 관해 연구해 보고자 한다.

파킨슨병의 건강검진 및 일상 모니터링, 관리 기술의 특허 동향 분석 (Analysis of Patent Trends for Examination, Monitoring, and Healthcare of Parkinson's Disease)

  • 김근호;서정우;김지원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1141-1161
    • /
    • 2020
  • Objectives: Parkinson's disease (PD) is a neurodegenerative disease of the elderly characterized by impaired behavior from lack of dopamine secretion. However, no accurate quantitative diagnosis method has been establish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atent trends (PTs) of health examination and daily monitoring/healthcare technology for PD. Methods: For analyzing PTs, a search summary for classifying each analysis target technology was set, and a final search formula was constructed by collecting keywords. After constructing a database of related patents through the final search formula, noise was removed to extract valid patents. PTs by major countries were analyzed using the valid patents, and PTs and growth stages were analyzed by the detailed technologies. Results: The survey analysis showed that, despite the existence of unpublished patents between 2018 and 2020, patent activity has increased rapidly in the recent period, and this increasing trend was led by the USA. This technology is considered to be in its early- or mid-stage growth period, which means that the marketability is high and the barriers are low. Korea's market share is only about 25%, but it has a larger number of applications than those of Europe and Japan. Integrated monitoring and diagnosis technologies for PD have a share of 34%. Conclusion: The advances in diagnosis and healthcare technology for PD means that traditional Korean medicine must continue to pay attention to related technologies and to review plans that are applicable to clinical practice.

대형 연구개발사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21세기 프론티어연구개발사업을 중심으로 (Achievement Characteristic Analysis for Large Scale Government R&D Projects Focusing on 21st Century Frontier R&D Program)

  • 권재철;문종범;유왕진;이철규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85-202
    • /
    • 2012
  • 본 연구는 정부의 대표적인 대형연구개발사업인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 사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향후 대형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하는 정부 정책 결정자와 연구단 관계자에게 정책적인 시사점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기존 대형연구개발사업의 프로그램에 대한 성과분석과 평가는 일부 있었지만, 연구주체, 연구유형, 연구기간, 연구 분야에 따른 성과 특성과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를 위해 교육과학기술부가 추진 중인 21세기 프론티어 연구개발 사업단 중 2010년과 2011년 사업단의 연구기간이 종료된 8개 사업단 과제 전체를 대상으로 정책요인별로 가설을 설정하였다. 사업을 수행한 연구주체의 소속(산업체, 대학, 출연연구소)에 따라 연구 성과에 차이가 있는지, 연구유형(기초, 응용, 개발)에 따라 성과에 차이가 있는지, 연구기간에 따라 성과에 차이가 있는지, 연구과제의 기술분야별로 성과에 차이가 있는지 등을 검증하였다. 연구 성과는 대학의 논문 성과가 출연연이나 산업체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업체는 특허의 국외 출원과 등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연구는 국내출원과 등록, 국외출원과 기술이전 계약의 성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기간(6년 이상)의 연구가 단기 연구보다 국내출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 기술 분야(바이오, 나노, 에너지환경기술)별로도 연구 성과의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특허 정보를 활용한 IT 유망기술 도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jection of the IT-based Promising Technologies Utilizing Patent Database)

  • 김방룡;황성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4권10B호
    • /
    • pp.1021-1030
    • /
    • 2009
  • 최근 선진국에서는 미래의 시장을 선점하기 위하여 유망 신기술에 대하여 조기에 지적재산권을 확보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본 연구는 세계 특허시장 중에서 가장 경쟁이 치열한 미국 특허시장을 중심으로 IT 유망기술을 도출하고 그 시사점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IT기반 유망기술에 대한 조작적 정의를 내리고, 이 정의를 토대로 2001년부터 2008년까지의 미국 공개특허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유망기술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IPC main-group 수준에서 총 803개에 이르는 IT기술 중 69개 분야가 유망기술로 나타났다.

질의로그 데이터에 기반한 특허 및 상표검색에 관한 연구 (Analysis of Korean Patent & Trademark Retrieval Query Log to Improve Retrieval and Query Reformulation Efficiency)

  • 이지연;백우진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61-79
    • /
    • 2006
  • 본 연구는 특허 및 상표 검색 개선을 위한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193일간 한국 특허정보원의 특허기술정보서비스를 이용한 17,559명의 이용자가 작성한 100,016개의 질의문에 대한 로그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개별적인 질의로그 분석 이외에, 2,202개의 복수 질의문을 이용한 탐색세션을 분석함으로써 검색 개선을 위한 추가적인 단서를 발견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특허 및 상표검색은 일반적인 웹 검색의 유형과 유사한데, 특히 질의문의 길이가 짧다는 측면에서 매우 흡사하다. 그러나 특히 및 상표검색의 경우, 일반 웹 검색보다 불리언 연산자를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복수 질의문 분석을 통해 이용자들이 질의문을 재작성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탐색기능을 제안할 수 있었다. 복수의 질의문으로 구성된 탐색세션을 분석한 결과, 이용자들은 질의문을 재작성하기 위하여 부연하기, 특정화하기, 일반화하기, 교체하기, 중단하기와 같은 방법을 사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약분야의 특허분쟁사례를 통한 LCM과 에버그리닝의 이론과 논고 (A theory and study on the LCM(Life cycle management) and evergreening according to the cases of patent litigation in the Korean pharmaceutical industry)

  • 정윤택
    • 기술혁신연구
    • /
    • 제20권2호
    • /
    • pp.135-159
    • /
    • 2012
  • 제약분야의 특허전략은 이해관계자의 입장에 따라 LCM 또는 에버그리닝으로 해석하고 있다. 오리지널 의약품 제약사는 특허전략을 기술 혁신의 노력인 LCM이라고 주장하는 반면 제네릭 의약품 제약사와 보건 당국은 오리지널 제약사의 특허전략은 값이 저렴한 제네릭 의약품의 접근성을 낮추어 항구적인 시장 지배의 목적인 에버그리닝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거대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오리지널 의약품의 특허출원과 특허분쟁사례를 통해 LCM과 에버그리닝을 어떻게 개념화하고 논의되어야 하는지 제시하였다. 본 사례 연구 결과 LCM은 신약개발의 새로운 기술 응용을 바탕으로 연구의 성과물을 특허전략과 연계하였다. 반면, 에버그리닝은 의약품 허가 장벽을 높이기 위한 방법중의 하나로 특허권을 활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해에 따라 일방의 주장이 아닌 LCM과 에버그리닝의 개념화를 통해 차별화된 시각으로 논의를 이끌고자 한다.

  • PDF

Patent Technology Trends of Oral Health: Application of Text Mining

  • Hee-Kyeong Bak;Yong-Hwan Kim;Han-Na Kim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9-21
    • /
    • 2024
  •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tilize text network analysis and topic modeling to identify interconnected relationships among keywords present in patent information related to oral health, and subsequently extract latent topics and visualize them. By examining key keywords and specific subjects, this study sought to comprehend the technological trends in oral health-related innovations. Furthermore, it aims to serve as foundational material, suggesting directions for technological advancement in dentistry and dental hygiene. Methods: The data utiliz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information registered over a 20-year period until July 31st, 2023, obtained from the patent information retrieval service, KIPRIS. A total of 6,865 patent titles related to keywords, such as "dentistry," "teeth," and "oral health," were collected through the searches. The research tools included a custom-designed program coded specifically for the research objectives based on Python 3.10. This program was used for keyword frequency analysis, semantic network analysis, and implementation of Latent Dirichlet Allocation for topic modeling. Results: Upon analyzing the centrality of connections among the top 50 frequently occurring words, "method," "tooth," and "manufacturing" displayed the highest centrality, while "active ingredient" had the lowest. Regarding topic modeling outcomes, the "implant" topic constituted the largest share at 22.0%, while topics concerning "devices and materials for oral health" and "toothbrushes and oral care" exhibited the lowest proportions at 5.5% each. Conclusion: Technologies concerning methods and implants are continually being researched in patents related to oral health, while there is comparatively less technological development in devices and materials for oral health.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 valuable resource for uncovering potential themes from a large volume of patent titles and suggesting research directions.

조선매약주식회사를 통해 본 일제강점기 한약의 모습 (Herbal Drugs through Chosun Maiyak Corporation 《朝鮮賣藥株式會社》in Japanese Colonial period)

  • 백규환;박규리;이상재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5-24
    • /
    • 2015
  • Objectives l: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mergence of herbal medicine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by reviewing newspaper advertisements and brochures about patient medicine of Chosun Maiyak Corporation. Methods : 69 kinds of patent medications and 584 newspaper advertisements are throughly reviewed to investigate dosage form, drug effect, sales unit and method, price, and advertisement pattern. Results : Lyungsinwhan represented more than half of the total advertisements, followed by Yungmihwan, Sahyangsohabwon, Yeollyeonggobondan, and Chiljehyangbuhwan. Lyungsinwhan was advertised mostly in spring and summer whereas Yungmihwan and Yeollyeonggobondan were advertised in spring and fall. Dosage form included pill(丸), mixture(膏), powder(散), and liquid(水, 液), while pill and mixture prevailed over other forms. Drug effect included dermatological, pediatric, digestive, and gynecological effects in the increasing order of drug numbers. Sales unit and price were found to vary significantly. Sales method included nationwide network distribution of medicine through postcards and stores. Conclusion : Herbal medicine during the colonial period was distributed in various kinds of forms with different effects and advertisement patterns through diverse sales unit and pr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