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steurization

검색결과 208건 처리시간 0.029초

Pilot scale 연속식(連速式) 김치순간살균장치(瞬間殺菌裝置)를 이용(利用)한 무우김치의 살균(殺菌) (Pasteurization of Chinese radish Kimchi by a Pilot Scale Continuous Kimchi Pasteurizer)

  • 길광훈;김공환;전재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95-98
    • /
    • 1984
  • Pilot scale 연속식(連速式) 김치순간살균장치(瞬間殺菌裝置)를 사용하여 무우김치에 대한 살균효과(殺菌效果)를 분석(分析)하였다. 김치의 저장중(貯藏中)pH, 산도(酸度) 및 흡광도(吸光度)의 변화(變化)를 측정(測定)함으로써 장치가동시기(裝置稼動時間), 살균온도(殺菌溫度) 및 저장온도(貯藏溫度)가 산패방지(酸敗防止)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다. 모든 실험(實驗)을 통해 살균구(殺菌區)는 비살균구(非殺菌區)에 비해 현저하게 높은 산패방지효과(酸敗防止效果)를 보였다. 장치(裝置)를 5, 10, 15, 20분(分)동안 가동(稼動)했을때 그에 따른 김치액(液)의 살균부통과시간(殺菌部通過時間)은 각각(各各) 16. 32, 48, 64초(秒)였고 살균시간(殺菌時間)이 길어질수록 산패방지(酸敗防止) 효과(效果)가 증가(增加)하였다. 살균부(殺菌部)의 온도(溫度)가 60, 65, $70^{\circ}C$일때 저장초기(貯藏初期)에는 살균온도(殺菌溫度)가 높은 수록 산패방지효과(酸敗防止效果)가 증가(增加)하였으나 말기(末期)에는 온도간(溫度間)에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살균후(殺菌後) 저장온도(貯藏溫度)가 5, 15, $25^{\circ}C$로 달리했을때 저장온도(貯藏溫度)가 낮을수록 산패방지효과(酸敗防止效果)가 증가(增加)하였다.

  • PDF

Inactivation Efficiency of Escherichia coli and Listeria monocytogenes in Ground Pork by Combination of Natural Food Ingredients and High Pressure Processing

  • Jung, Samooel;Yun, Hye-Jeong;Kim, Hyun-Joo;Ham, Jun-Sang;Kim, Il-Suk;Lee, Moo-Ha;Jo, Cheoru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5
    • /
    • 2012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combined treatment regarding antimicrobial food ingredients and high pressure processing (HP) on the inactivation efficiency of Escherichia coli and Listeria monocytogenes inoculated into ground pork. Ethanol extracted from garlic, leeks, onions, and ginger powder was prepared. Half of the prepared powder was irradiated at 5 kGy to see the effect of pasteurization before addition. The prepared food ingredients were added into radiation-sterilized ground pork (1%, w/w), and inoculated with E. coli and L. monocytogenes. The samples were vacuum-packed and applied with HP at 0.1 (control), 300, 450, and 600 MPa. Microbial log reduction increased with the increase of pressure up to 600 MPa. With minor exceptions, overall efficiency of HP treatment with regards to inactivation of pathogens increased. Inoculated microorganisms showed approximately 7-8 Log reductions by 600 MPa, except for L. monocytogenes treated with garlic (5.7 Log reductions). The E. coli reduction in ground pork mixed with ethanol extracted garlic showed the highest efficiency (1.86) compared to leeks (1.25-1.31), onions (1.17-1.44), and ginger (1.50-1.82) when treated at an HP of 450 MPa. There was no evidence for the advantage of pasteurization concerning the food ingredients before addition of antimicrobial food ingredients and HP.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combination of antimicrobial food ingredients and HP treatment may help improve the efficiency of sterilization in meat systems.

Establishing Quantitative Standards for Residual Alkaline Phosphatase in Pasteurized Milk

  • Kim, Dong-Hyeon;Chon, Jung-Whan;Lim, Jong-Soo;Kim, Hong-Seok;Kang, Il-Byeong;Jeong, Dana;Song, Kwang-Young;Kim, Hyunsook;Kim, Kwang-Yup;Seo, Kun-H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94-197
    • /
    • 2016
  • The alkaline phosphatase (ALP) assay is a rapid and convenient method for verifying milk pasteurization. Since colorimetric ALP assays rely on subjective visual assessments, their results are especially unreliable near the detection limits. In this study, we attempted to establish quantitative criteria for residual ALP in milk by using a more objective method based on spectrophotometric measurements. Raw milk was heat-treated for 0, 10, 20, 30, and 40 min and then subjected to ALP assays. The quantitative criteria for residual ALP in the milk was determined as 2 μg phenol/mL of milk, which is just above the ALP value of milk samples heat-treated for 30 min. These newly proposed methodology and criteria could facilitate the microbiological quality control of milk.

난지과실을 이용한 식초제조 (Vinegar Production from subtropical Fruits)

  • 김동한;이정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8-75
    • /
    • 2000
  • Optimum processing conditions for vinegar fermentation using fig, pear and persimmon were determined. Alcohol contents in the fermentatio broth of crushed fruits of fig, pear and persimmon were 7.5%, 5.1% and 6.8%, respectively. Alcohol contents increased up to 14.3~15.1% by adding 24% of sugar to the fruit juices. The total acidity of 7.04%, 3.30% and 3.66% were obtained for fig, pear and persimmon, respectively, through acetic acid fermentation of fruit juices containing 8% ethanol. Acetic acid yield increased by shaking during fermentation for pear and persimmon broth. Acetic acid yield increased 1.80~1.92 times by adding 0.5% of yeast extract to the fermentation broth of pear and persimmon. After fermentation, each fruit vinegar was clarified up to 93.1~97.4 of light transmittance by using 0.6% of kaki shibu for 4 days at 1$0^{\circ}C$. After aging for 60 days at 1$0^{\circ}C$, the acidity of fruit vinegar decreased slightly. Tannin content of persimmon vineger was remarkably higher than the other, while light absorbance of pear vinegar was higher than the other vinegars. Acetic acid was identified as the main volatile organic acid in the fruit vinegars, while propionic, isobutyric and isovaleric acids were identified as the minors. The content of non-volatile organic acids in the pear vinegar was higher than that in the persimmon vinegar. Sensory evaluation results indicate that the fig vinegar was preferred to the pear vinegar in the aspects of color,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but the fig vinegar had a strong background taste. Sensory scores of the persimmon vinegar increased significantly by pasteurization, but those of the fig and pear vinegars did not by pasteurization.

  • PDF

온주(溫州)밀감 sac의 저장중(貯藏中) 변화(變化) (Changes of Satsuma Mandarin Sacs during Storage)

  • 최영배;강동섭;강영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1-25
    • /
    • 1987
  • 온주(溫州)밀감 sac을 통조림 저장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sac을 염소수에 침지하여 예비살균하고 밀봉전 살균온도가 저장중 sca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sac의 당도, 산도 및 pH는 처리조건에 따라 큰 변화가 없었으나 염소처리에 의하여 sac의 파괴율은 저장초기에 증가하였으나 저장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평준화 되었다. 총 카로테노이드는 변화가 크지 않았으며, 총 비타민 C는 저장 3개월과 4개월 사이에 감소가 컸다. 환원형 비타민 C는 저장초기에, 산화형 비타민 C는 저장후기에 주로 감소하였다. 또한 비타민 C의 감소는 염소처리보다 살균온도 및 저장온도에 의해 더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였다.

  • PDF

포도과즙(葡萄果汁) 우유(牛乳) 혼합음료(混合飮料)의 시제(試製) (A Note on Preparation of Acid Milk Drink Containing Natural Grape Juice)

  • 하덕모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250-253
    • /
    • 1975
  • 포도과즙(果汁), 산유(酸乳), 설탕을 주원료로하여 포도과즙(果汁) 혼합음료를 제조하고 동(同) 음료의 보존성을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포도과즙(果汁) 산유(酸乳) 혼합음료는 과즙(果汁)중의 colloid와 유(乳)단백질의 결합에 의하여 응집 침전물을 형성하며 가열살균에 의하여 침전물의 형성이 촉진된다. 2) 원료과즙(果汁)의 pectin함량은 제품의 안전성에 직접적으로 관계되며 과즙(果汁)중의 pectin함량은 제품의 안전성에 직접적으로 관계되며 과즙(果汁)중의 pectin함량이 2.5mg% 이하일 때 과즙 $10{\sim}20%$ 혼합시에 있어서도 응집 침전물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다. 3) pectin분해효소로써 처리한 투명과즙(果汁)을 사용하여 제조한 혼합음료는 $85^{\circ}C$ 20분간의 가열살균으로 응집 침전물이 형성되지 않으면 장기간의 저장이 가능하다.

  • PDF

Pulsed electric field 공정을 이용한 감귤 주스와 당근 주스 살균 (Pulsed electric field pasteurization of mandarin and carrot juices)

  • 이승조;최혁준;민세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408-41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PEF 처리 시간과 전기장 세기가 증가할수록 주스 내 토착 미생물 저해 효과가 상승함을 알 수 있었고, 또한 처리 주스의 주입 온도를 높여 $40^{\circ}C$에서 PEF 처리했을 때 살균 효과가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상온 PEF와 중온 PEF 처리 모두 감귤 주스와 당근 주스의 이화학적 영양학적 특성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도 상업적 살균에 적합한 미생물 저해 효과를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파일럿 규모의 PEF 처리 장비를 이용하여 감귤 주스와 당근 주스를 살균하지 않은 주스의 품질을 유지하면서 살균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처리 시간, 전기장 세기, 그리고 주입 온도의 조절을 통해 최소의 에너지 사용으로 품질 보존과 동시에 최대의 미생물 저해 효과를 얻는 PEF 살균 공정 최적화가 다양한 주스 제품에 대하여 이루어 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스팀-에어 레토르트의 온도분포에 미치는 공정 변수 영향 (The Effect of Various Processing Conditions on Temperature Distribution in Steam-air Retort)

  • 이선영;신해헌;인예원;조형용
    • 산업식품공학
    • /
    • 제23권2호
    • /
    • pp.87-93
    • /
    • 2019
  • 공기 주입식 스팀-에어 레토르트 내에서 스팀온도, 내부가압, CUT 등의 공정변수가 레토르트 내부의 온도 균일성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고온살균(121℃)이 저온살균(82℃) 보다 공정구간동안 온도분포가 더 균일하고 안정적이었다. 내부 가압이 클수록 저온살균조건의 공정에서는 온도분포가 안정적이었고, 이와 반대로 고온살균조건의 공정에서 온도분포가 더 불균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승온구간을 조절한 경우에는 레토르트 내의 온도분포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공정구간동안 레토르트 내부에서 냉점은 수직방향 1층의 위로 확인되었고, 수평방향에서는 맨 뒤쪽 중앙 부분이 가장 높은 온도를 유지하여 공정 동안 이 위치들을 주의를 할 필요가 있었다. 또한 레토르트 내부의 양 옆 위치가 다른 위치에 비해 특히 온도분포가 불안정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므로 레토르트 가공 공정에서 주의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Bactericidal Effect of a 275-nm UV-C LED Sterilizer for Escalator Handrails: Optimization of Optical Structure and Evaluation of Sterilization of Six Bacterial Strains

  • Kim, Jong-Oh;Jeong, Geum-Jae;Son, Eun-Ik;Jo, Du-Min;Kim, Myung-Sub;Chun, Dong-Hae;Kim, Young-Mog;Ryu, Uh-Chan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6권2호
    • /
    • pp.202-211
    • /
    • 2022
  • In the pasteurization of escalator handrails using ultraviolet (UV) sterilizers, a combination of light distribution and escalator speed has priority over other important factors. Furthermore, since part of the escalator handrail has a curved structure, proper design is needed to improve the sterilization rate on the surfaces touched by users. In this paper, two types of sterilizers satisfying these conditions are manufactured with 275-nm UV-C LEDs, after modeling the three-dimensional (3D) structure of an escalator handrail and simulating optical distributions of UV-C irradiation on the handrail's surface according to light-emitting diode (LED) positions and reflector variations in the sterilizers. Pasteurization experiments with the UV-C LED sterilizers are conducted on six types of gram-positive and gram-negative bacteria, with exposure times of 0.2, 5, and 15 s at an actual installation distance of 20 mm. The sterilization rates for the gram-positive bacteria are 10.63% to 27.94% at 0.2 s, 89.44% to 96.30% at 5 s, and 99.64% to 99.88% at 15 s. Those for the gram-negative bacteria are 57.70% to 77.63% at 0.2 s, 98.90% to 99.49% at 5 s, and 99.88% to 99.99% at 15 s.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UV-C LED sterilizer is about 8 W, which can be supplied by a self-generation module instead of an external power supply.

자가골 재이식술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 (Limb Salvage Operation with Recycled Autogenous Bone Graft)

  • 이승구;강용구;서유준;유종민;정인호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96-106
    • /
    • 2004
  • 목적: 악성 골, 연부 조직 종양 환자에게 시행한 자가골 재이식술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의 치료 결과를 분석하여 그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2월부터 2003년 1월까지 악성 골, 연부 조직 종양으로 자가골 재이식술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에서 최소 18개월 이상 장기 추시가 가능했던 2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자가 18예, 여자가 11예로 환자의 평균 연령은 33세(범위, 10~65세)였고, 평균 추시 기간은 51.8개월(범위, 18~117개월)이었으며 Enneking의 분류에 따른 병기는 IIA가 10예, IIB가 19예였다. 자가골의 재처리 방법은 동결 처리법(deep freezing)이 6예, 고온-고압 처리법(autoclaving) 11예, 저온 처리법(pasteurization이) 7예였으며, 5예 에서는 고온-고압 처리법과 혈관 부착 비골 이식술을 병행하였다. 단순 방사선 검사를 통하여 골 유합을 평가하였고, 1993년에 국제 사지 보존 회의(International Symposium On Limb Salvage; ISOLS)에서 수정 보완한 방법을 이용하여 기능을 평가하였다. 결과: 골 유합 기간은 평균 7.2개월(범위, 3~15개월)로, 동결 처리법은 5.8개월(범위, 4~8개월), 고온-고압 처리법은 9.7개월(범위, 6~15개월), 저온 처리법은 5.9개월(범위, 4~8개월)이었고, 고온-고압 처리법과 혈관 부착 비골 이식술을 병행한 경우는 5개월(범위, 3~7개월)이었다. 기능 평가 백분율은 평균 76.8% (범위, 40~90%)로, 동결 처리법은 65.8% (범위, 40~85%), 고온-고압 처리법은 76.6%(범위, 40~90%), 저온 처리법은 81.6%(범위, 70~90%)였고, 고온-고압 처리법과 혈관 부착 비골 이식술을 병행한 경우는 83.4%(범위, 75~90%)였다. 6예에서 합병증이 발생하였는데 국소 재발, 폐 전이, 감염, 골절이 각각 1예였고, 절골부의 불유합이 2예였다. 결론: 자가골 재이식술을 이용한 사지 구제술은 악성 골, 연부 조직 종양의 유용한 치료 방법이며, 특히 고온-고압 처리법을 이용한 자가골 재이식술은 국소 재발을 방지할 수 있는 확실한 방법이었으며, 혈관 부착 비골 이식술을 병행하면 재처리된 자가골의 기계적 강도나 골유도 능력이 감소하는 단점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