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ssword

검색결과 890건 처리시간 0.029초

향상된 보안의 닌텐도 스위치 행렬 형태 보안 키패드 제안 (A Proposal for Matrix Shape Security Keypad for the Nintendo Switch)

  • 권혁동;권용빈;최승주;서화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9호
    • /
    • pp.1152-1159
    • /
    • 2019
  • 8세대 게임기로 등장한 닌텐도 스위치는 하이브리드 형 콘솔 게임기로 세계적인 판매 성과를 달성했다. 닌텐도 스위치는 자체적으로 온라인 숍을 내장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자신의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게임을 구매할 수 있다. 이때 사용하는 닌텐도 스위치에 내장된 키패드는 쿼티 자판과 유사하게 생겼다. 패스워드 입력 창에는 입력 정보가 가려지지만 훔쳐보기 공격을 통해 키패드 상에서 어떤 값이 입력되는지 확인이 가능하다. 파티 형 또는 가족 형 게임이 많은 닌텐도 스위치의 특성상 근처에 화면을 보는 다른 사람이 있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계정 보안에 큰 취약점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한 새로운 키패드를 설계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닌텐도 스위치의 보안 키패드가 어떤 문제점을 지녔는지 확인하고 새롭게 제안한 키패드의 구현 및 불특정 다수의 사용 테스트 결과를 제시한다.

개인키 위탁관리 서버를 이용한 전자의무기록 지문인증 모델 (An Fingerprint Authentication Model of ERM System using Private Key Escrow Management Server)

  • 이용준;전태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1-8
    • /
    • 2019
  • 의료정보는 환자에게 중요한 개인정보로써 반드시 보호되어야 하는 중요 정보이다. EMR((Electronic Medical Records) 시스템은 개인정보와 의료정보가 유출될 경우, 환자의 사생활 침해 등 매우 심각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어 EMR 시스템의 의료정보는 사용자 접근에 관한 제어 및 통제 강화 등 높은 보안성이 요구되는 시스템이다. 특히 의료인이 전자의무기록에 접근할 때, 보안이 강화된 신원확인에 대한 인증방식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공인인증서 기반의 인증모델은 개인키 관리, 권한위임 등의 문제로 인해 전자의무기록의 보안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전자의무기록(EMR) 시스템 접근 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보안이 강화된 지문인식 기반 인증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한 인증 모델은 PEMS(Private-key Escrow Management Server)를 이용한 EMR 지문인증 모델로서, 개인키 위탁 프로토콜과 개인키 인출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개인키 관리와 권한위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안한 인증 모델은 성능 실험을 통해 기존의 공인인증서 기반 인증에 비해 수행시간 단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기존 전자서명 비밀번호 방식을 대체 가능하며,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된 장점이 있다.

VR 상에서의 안전한 PIN 입력 방법 제안 (Proposal of Safe PIN Input Method on VR)

  • 김현준;권혁동;권용빈;서화정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5호
    • /
    • pp.622-629
    • /
    • 2019
  • 가상현실 속에서 실제와 같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VR(Virtual Reality)은 Head Mounted Display(HMD) 기기를 이용하여 실제와 유사한 체험을 제공한다. 최근 VR의 시장은 커졌으나 가상현실에서의 보안에 대한 연구는 다른 분야에 비해 미흡하다. 현재 VR을 활용한 많은 개인화된 서비스들이 진행되고 있는 만큼 안전한 사용자 인증이 중요하다. VR의 HMD 기기를 착용을 하면 주변 환경을 인식하지 못하기에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PIN)입력 시에 Shoulder Surfing Attack (SSA)으로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분석이 용이하다.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편의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해커가 입력 패턴을 분석하더라도 사용자의 비밀 번호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제안한다. VR 특성에 맞게 기존 직사각형 모양에서 벗어난 새로운 형태의 가상 키패드와 사용자와 직관적인 상호작용을 위해 자물쇠 오브젝트를 최초로 구현 하였다. 또한 VR의 기존 입력 장치들과 동일한 센서를 사용하는 스마트 글러브와 이에 적합한 회전방식의 PIN입력 방식을 구현하였다. 따라서 총 세 가지의 VR 상에서의 안전한 PIN 입력 방법에 대하여 제안하며 실험을 통해 SSA에 대한 안전성을 검증하였다.

Fraud Detection in E-Commerce

  • Alqethami, Sara;Almutanni, Badriah;AlGhamdi, Manal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6호
    • /
    • pp.312-318
    • /
    • 2021
  • Lack of knowledge and digital skills is a threat to the information security of the state and society, so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organizational culture of information security is extremely important to manage this threat.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assess the state of information security of the state and society. The research methodology is based on a quantitativ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information security culture according to the EU-27 2019.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study is the theory of defense motivation (PMT), which involves predicting the individual negative consequences of certain events and the desire to minimize them, which determines the motive for protection. The results show the passive behavior of EU citizens in ensuring information security, which is confirmed by the low level of participation in trainings for the development of digital skills and mastery of basic or above basic overall digital skills 56% of the EU population with a deviation of 16%. High risks to information security in the context of damage to information assets, including software and databases, have been identified. Passive behavior of the population also involves the use of standard identification procedures when using the Internet (login, password, SMS). At the same time, 69% of EU citizens are aware of methods of tracking Internet activity and access control capabilities (denial of permission to use personal data, access to geographical location, profile or content on social networking sites or shared online storage, site security checks). Phishing and illegal acquisition of personal data are the biggest threats to EU citizens. It have been identified problems related to information security: restrictions on the purchase of products, Internet banking, provision of personal information, communication, etc. The practical value of this research is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results in the development of programs of education, training and public awareness of security issues.

영지식을 활용한 블록체인 기반 개인정보 인증 기법 (Blockchain-based Personal Information Authentication Method using Zero Knowledge Proofs)

  • 이광규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10권3호
    • /
    • pp.48-53
    • /
    • 2021
  • 인증 프로세스는 사용자가 합법적인지 확인하는 데 사용되어야 하는 주요 단계이며, 사용자가 합법적인 사용자인지 확인하고 해당 사용자에게만 액세스 권한을 부여하는 데 사용되어야 한다. 최근에는 로그인 프로세스에 보안 계층을 추가하여 인증에 하나의 요소만 사용하는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부분의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이중인증과 OTP체계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 방법도 허가 없이 사용자 계정에 액세스할 수 있는 방법이 알려져 보안에 취약하다. 본 논문에서는 최소한의 개인정보만을 노출 조건으로 사용자를 인증하는 블록체인의 Smart Contract 기반으로 영지식(ZKP:Zero Knowledge Proofs)개인정보 인증 기법을 제안한다. 이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인증 프로세스에 많은 보안 기술을 제공하고, 개인정보 인증을 기존의 인증방식보다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블록체인 환경에서 화이트박스 암호기반 키 보호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Key Protection Method based on WhiteBox Cipher in Block Chain Environment)

  • 최도현;홍찬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9-15
    • /
    • 2019
  • 최근 차세대 전자상거래 및 금융 분야에서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의 블록체인 기반 기술에 관심이 크다. 블록체인 기술의 보안성은 안전하다고 알려졌지만, 가상화폐 관련 해킹 사건/사고들이 이슈화되고 있다. 가상화폐 지갑에 대한 로그인 세션 탈취, 악성코드 감염으로 인한 개인키 노출, 단순한 암호 사용 등 외부환경의 취약성이 주요 원인이었다. 그러나 개인키 관리는 전용 애플리케이션 활용 또는 로컬 백업, 문서 프린트를 통한 물리적 보관 등 일반적인 방법을 권장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이트박스 암호 기반 개인키 보호 기법을 제안한다. 안전성 및 성능분석 결과 개인키 노출 취약점에 대한 안전성을 강화하고, 암호화키를 알고리즘에 내장하여 기존 프로토콜의 처리 효율성을 증명하였다.

DNS 스푸핑을 이용한 포털 해킹과 파밍의 위험성 (Web Server Hacking and Security Risk using DNS Spoofing and Pharming combined Attack)

  • 최재원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11호
    • /
    • pp.1451-1461
    • /
    • 2019
  • DNS 스푸핑은 공격자가 클라이언트와 DNS 서버 간 통신에 개입하여 실제 IP 주소가 아닌 가짜 IP 주소를 응답하여 DNS 서버를 속이는 공격이다. 웹 서버 초기화면 복제와 간단한 웹 프로그래밍으로 사용자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해킹하는 파밍 사이트 구현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파밍사이트로 유도하는 DNS 스푸핑과 파밍사이트 구현을 결합한 웹 스푸핑 공격에 관해 연구하였다. 본 대학의 포털 서버를 대상으로 DNS 스푸핑 공격 방법과 절차 및 파밍사이트 구현 방법에 관해 연구하였다. 경성포털의 경우 SSL에 의한 암호화와 보안인증이 이루어진 웹 서버임에도 우회 공격과 해킹이 가능하였다. 현재 많은 웹 서버가 보안조치가 이루어져 있지 않고, SSL에 의해 보안이 이루어진 웹 서버라 할지라도 이를 무력화 시킬 수 있으므로 이의 심각한 위험과 대응조치가 꼭 필요함을 알리고자 한다.

델파이와 계층분석기법을 이용한 스마트폰 잠금 알고리즘 선호도 분석 (A Preference of Smartphone Locking Algorithms Using Delphi and AHP (Aanalytic Hierarchy Process))

  • 남수태;신성윤;진찬용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10호
    • /
    • pp.1228-1233
    • /
    • 2019
  • 최근 스마트폰 잠금 해제 방법에 암호화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알고리즘이 채택된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이미 상용화에 성공한 인간의 생체인식 기술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진보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기술에는 지문인식, 얼굴인식, 홍채인식 등이 여기에 속한다. 본 연구의 평가항목에는 지문인식, 얼굴인식, 홍채인식, 패턴인식 그리고 패스워드 입력방식 포함하여 5가지 알고리즘이다. 이렇게 채택된 알고리즘을 기준으로 AHP 기법을 이용하여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선호하는 우선순위를 분석하였다. 스마트폰 사용자가 가장 선호하는 우선순위 1위는 지문인식( .400)이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스마트폰 사용자가 선호하는 우선순위 2위는 패턴인식( .237)이 위치하였다. 따라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한계와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IoT를 이용한 스마트 도어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mart Door Lock using Internet of Things)

  • 김장원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539-544
    • /
    • 2020
  • 최근 홈네트워크에서 IoT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 제공 기술이 표준화되고, 디지털 도어락도 IoT를 이용하여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한편 보안과 안전이 보장되는 방법으로 디지털 도어락이 동작되도록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추세를 반영하여 Raspberry-PI와 웹 서버를 연동하여 홈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여기에 Converter기능을 대신 하는 Arduino를 연결한 후, 도어락을 제어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하였다. 홈네트워크 이더넷은 기존의 오픈소스를 이용하여 유동 IP 주소를 사용하는 Raspberry-PI가 DNS 정보를 쉽게 유지하고 인터넷망에 접속이 가능하도록 하였고, 최종적으로 스마트폰이 인터넷으로 접속한 후 지정 주소로 들어가서 원격으로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홈네트워크와 Arduino 연결은 Raspberry-PI와 블루투스 페어링으로 1:1 연결하여 임의의 사용자 접근이 불가능하도록 하였다. 특히 키패드의 비밀번호를 사용하거나 RFID 카드를 이용해 제어하는 방법이 아닌, 스마트 폰으로 도어락 열림/닫힘이 가능하도록 한 것은 임의 사용자가 출입할 수 없도록 보안성을 높인 방법으로 판단이 되었고, 원거리 제어가 가능하도록 하여 그 유용성을 높였다.

Performance Analysis of Transport Time and Legal Stability through Smart OTP Access System for SMEs in Connected Industrial Parks

  • Kim, Ilgoun;Jeong, Jongpil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1호
    • /
    • pp.224-241
    • /
    • 2021
  • According to data from the National Police Agency, 75.5 percent of dead traffic accidents in Korea are truck accidents. About 1,000 people die in cargo truck accidents in Korea every year, and two to three people die in cargo truck accidents every day. In the survey, Korean cargo workers answer poor working conditions as an important cause of constant truck accidents. COVID 19 is increasing demand for non-face-to-face logistics. The inefficiency of the Korean transportation system is leading to excessive work burden for small logistics The inefficiency of the Korean transportation system is causing excessive work burden for small individual carriers. The inefficiency of the Korean transportation system is also evidenced by the number of deaths from logistics industry disasters that have risen sharply since 2020. Small and medium-sized Korean Enterprises located in CIPs (Connected Industrial Parks) often do not have smart access certification systems. And as a result, a lot of transportation time is wasted at the final destination stage. In the logistics industry, time is the cost and time is the revenue. The logistics industry is the representative industry in which time becomes money. The smart access authentication system architecture proposed in this paper allows small logistics private carriers to improve legal stability, and SMEs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CIPs to reduce logistics transit time. The CIPs smart access system proposed in this paper utilizes the currently active Mobile OTP (One Time Password), which can significantly reduce system design costs, significantly reduce the data capacity burden on individual cell phone terminals, and improve the response speed of individual cell phone terminals. It is also compatible with the OTP system, which was previously used in various ways, and the system reliability through the long period of use of the OTP system is also high. User customers can understand OTP access systems more easily than other smart access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