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ticipant role

검색결과 160건 처리시간 0.027초

여성들의 생애주기별 건강증진행위와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 일개 통합시를 중심으로 - (A Study about Promoting Health Lifestyles and Relating Variables on the Life-cycle of women)

  • 이은희;소애영;최상순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700-710
    • /
    • 1999
  • Promoting women's health lifestyles are important due to their connection to family health.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women's health lifestyles(HPL) and their effects on women's life-cycle, so in order to develop a program in a women's health care center. The subjects included were 1080 women over 18 years old living in Wonju city, and were selected by stratified and purposive sampling.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and interview. The Cronbach $\alpha$, %, mean,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regression in SPSS PC Win. package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sample was sepernted into three groups premarital group 20.2%(premarital women between 18 and 40 years old), delivery and children rearing group 49.9%(marital women between 18 and 40 years old), over middle agedelderly group 29.9%(women over 41 years old). Significant difference were found in the HPL according to group. Also, relating variables, such as self-efficacy, family functions, health locus of control and gender role perception that were considered relating variables to HPL significantly differed among the three groups. HPL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self-efficacy, family functions, HLOC and gender role perception in all participants and at all groups. The regression analysis of HPL was interpreted 40.6% with relating variables, self-efficacy, health attention, family functions, and internal locus of control, health perception, power other locus of control and chance locus of control in all participant. Self-efficacy, family functions, health attention were considered important variables in premarital group, self-efficacy, family functions, internal locus of control, health attention, health perception and power of control were important in delivery-rearing group. Self-efficacy, health attention, internal locus of control, family functions and health perception were important in middle aged-elderly group. As a result, we found the differences HPL scores and relating variables according to life-cycle groups. Therefore, we should prepare health promoting education programs for women according to women's life cycles. Also we suggest that women's health care centers based on communities was needed for proper management of women's health.

  • PDF

부산지역 노령인구의 정보소외 양상과 노년층을 위한 공공 정보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 (The Information World of the Aged and the Role of Public Information Service : with Special Reference to Busan Area)

  • 장덕현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317-334
    • /
    • 2007
  • 이 연구는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노년층의 일상적 정보세계를 그리고자 한 조사연구이다. 자료는 연구대상의 생애사에 대한 기초적인 설문조사와 면담 및 사례 관찰을 통하여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노년층의 일상속에서 정보와 관련된 기본적인 양상과 노년계층의 정보화를 저해하는 요인을 파악하여 분석하고 이를 정보화정책에 연계할 수 있는 모티브를 찾고자 하였다. 궁극적으로 이를 통하여 지역의 유관 기관을 중심으로 하는 공공 정보서비스의 확대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1) 일상적 관심사의 유형과 대처 방식, (2) 정보화의 계기와 현재 정보화수준, (3)일상의 영위를 위해 필요로 하는 정보를 얻기 위하여 그들이 이용하는 매체의 유형과 특성 등의 범주를 다루었다.

다중흐름모델을 적용한 기초과학정책 결정과정 분석 :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사례 (Policy-making Process in Basic Science Adapting Multiple Streams Model : Case Study for International Science Business Belt)

  • 이승현;이찬구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907-937
    • /
    • 2018
  • 본 연구는 Kingdon(2013)과 Howlett et al.(2014)의 모델을 결합한 다중흐름모델의 수정모델을 적용하여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의 정책결정 과정을 분석하였다. 그 과정에서 어떠한 사회 정치적 요인들이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향후 기초과학 정책 결정과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분석은 정책결정 과정을 정책의제, 정책형성, 집행정책의 단계로 구분하고, 문제 과정 정책 정치의 흐름과 정책참여자 및 정책의 창을 변수로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정책결정 과정에서 정치의 흐름과 정책선도자의 역할이 중요하게 작용하였고, 과학자 집단보다는 정치가들과 정부 관료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Decreased GCF DEL-1 and increased GCF neutrophils with increasing probing pocket depth

  • Seong-Ho Jin;Eun-Mi Lee;Jun-Beom Park;Youngkyung Ko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4권2호
    • /
    • pp.85-95
    • /
    • 2024
  • Purpose: Developmental endothelial locus-1 (DEL-1) plays a role in regulating neutrophil migration within the periodontium.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levels of DEL-1 in saliva and gingival crevicular fluid (GCF), as well as the number of neutrophils in patients with periodontitis. Methods: Forty systemically healthy, non-smoking periodontitis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Clinical periodontal parameters, including the plaque index, probing pocket depth (PPD), clinical attachment level, bleeding on probing, modified sulcular bleeding index, and marginal bone level, were measured. Levels of DEL-1, interleukin (IL)-1β, IL-6, and IL-8 in unstimulated saliva samples, as well as DEL-1 in the GCF of 3 teeth from each participant, were assessed. Neutrophil counts in oral rinse and GCF samples were recorded.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s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protein levels, clinical parameters, and neutrophil quantities.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2 age groups (those under 50 years and those 50 years or older) in order to investigate potential age-related differences. Results: DEL-1 levels in the GCF showed a negative relationship with PPD (sum). Neutrophils in oral rinse sampl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PD, IL-8, and IL-1β levels. Neutrophils in GCF exhibit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PPD (sum). Salivary DEL-1 levels showed correlations with IL-8 and IL-1β, but not with the clinical parameters of periodontitis. Conclusions: The negative relationship observed between PPD and GCF DEL-1 levels is consistent with the proposed protective role of DEL-1.

Developing a Model for Autobiography Writing to Promote Mental Health Using an AI Powered Platform

  • Jinsu Chung;Jaewon Lee;Wontaek Oh;Sungmin Kim;Juwon Lee;Sangwoo Kim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14
    • /
    • 2024
  • Purpose: This study aims to make it easier for anyone to write an autobiography by utilizing AI technology, allowing individuals to reflect on their lives and reaffirm their identity, ultimately enhancing their self-esteem. Through this research, the necessity of promoting mental health for the elderly is emphasized, and it seek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contributing to new approaches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Methods: Basic data for program development were collected in April 2024. Subsequently, the AI beta version was used to identify issues, which were then addressed and improved upon.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structuring the autobiography writing program and providing clear guidelines are essential. Second,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conversation companions and the need for their prior training were emphasized. Third, ensuring the accessibility and ease of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was shown to enhance participant engagement. Fourth, further empirical research is necessary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an autobiography writing model utilizing an AI-based platform can contribute to improving older adults' mental health. Older adults who struggle to use digital devices can become more comfortable with them through this program. Additionally, autobiographical writing activities that involve reflecting on their lives and narrating their stories according to various themes provide older adults with the opportunity to achieve a sense of self-integration. Finally, if this program is disseminated in a manner that suits the characteristics of older adults, it can play a significant role in improving their mental health.

프라이드의 유형과 광고유형의 광고제품평가에 대한 상호작용효과 (The Interaction Roles of Ambient Pride Type and Advertisement Type on Product Evaluation)

  • 최낙환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5호
    • /
    • pp.61-70
    • /
    • 2015
  • Purpose -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the effectiveness of self trait-advertisement versus communion-focused advertisement on product evaluations depends on a type of pride felt as ambient emotion. It also explores whether the mediating roles of cognitive and affective response to the effect of the advertisement type on product evaluation are moderated by types of pride such as hubristic pride or authentic prid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research uses a restaurant service as the experimental object and employs a 2 (pride type: hubristic pride vs. authentic pride) × 2 (advertisement type: self trait-focused advertisement versus communion-focused advertisement) between-subjects design, with cognitive response and affective response as within-subject. Each experimental group consisted of 40 undergraduate students assigned to participate in the experiment. One questionnaire from the authentic pride and self-trait focused advertisement group and two questionnaires from the hubristic pride and communion-focused advertisement group were removed due to answer errors, resulting in a participant number of 157. The author conducts a 2 (pride type: hubristic pride vs. authentic pride) × 2 (advertisement type: self trait-focused advertisement versus communion-focused advertisement) ANOVA on advertised product evaluations, and to better understand the interaction effects, also conducts separate analysis of the hubristic and the authentic pride groups. Additionally, the study conducts mediated moderation analysis to check the mediation role difference of the cognitive response and the affective response to each advertisement on the interaction effects on product evaluations between the hubristic and the authentic pride groups. Results - The findings indicate that participants in the hubristic pride group more positively evaluate the product in self-trait focused advertisement, whereas participants in the authentic pride group more positively evaluate the product in communion-focused advertisements. In addition, the mediating role of cognitive response on the positive interaction effect of advertisement type and pride type on product evaluation is partially moderated by the pride type. However, the mediating role of affective response on the positive interaction effect of advertisement type and pride type on the product evaluation is not moderated by the pride type.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advertisement theory development by exploring interaction effects of ambient pride type and advertisement type on product evaluation, as well as to the theory of consumer behavior by exploring how pride type moderates the mediating roles of cognitive response on the positive interaction effect of advertisement type and pride type on product evalu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urrent research, advertisers should research what kinds of events consumers have experience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ir advertisements, and use self-trait advertisements when consumers are grouped under ambient hubristic pride, and use communion-focused advertisements when consumers are grouped under ambient authentic pride. However, future research is necessary to discover the reasons why the mediating role of affective response to advertisements in the interaction effects of pride type and advertisement type on product evaluation is not moderated by pride type.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국내 리빙랩 사례 분석 (A Case Study on Korean Living Labs for Local Problem-Solving)

  • 성지은;한규영;정서화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65-98
    • /
    • 2016
  • 최근 국내에서도 사회 주체(주민, 사용자 등) 주도형 혁신모델이자 지역 현장 기반형 혁신의 장으로서 리빙랩이 도입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실험으로 '리빙랩'을 명시하고 추진된 북촌 리빙랩, 성대골 리빙랩, 건너유 프로젝트 3개 사례를 분석하였다. 각 사례의 지역문제, 문제해결 목표, 참여주체 및 주체별 역할, 리빙랩 추진체계, 의의를 분석하고 리빙랩의 유형 특성을 도출했으며, 향후 발전 방안을 모색하였다. 분석 결과 각 사례는 기술 활용 방식과 사용되는 기술의 특성은 차이가 있으나 과학기술 ICT와 지역문제 해결을 연계하고자 했으며 지역주민이 문제 발굴부터 기술 실험 및 확산 적용까지 리빙랩 전반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또한 공통적으로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이 리빙랩 운영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각 사례는 서로 다른 리빙랩 유형을 보이고 있는데, 북촌 IoT 리빙랩은 정부/지자체가 리빙랩 활동기반 조성 또는 행위자 활동을 지원하고 프로젝트 형태로 운영된 반면, 성대골 에너지전환 리빙랩과 건너유 프로젝트는 시민사회 스스로 지역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제를 정의하고 기술을 탐색하는 형태로 진행되었다.

중등 과학영재 지도교사의 수업 전문성에 관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for Secondary Science-Gifted Students)

  • 배미정;김희백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12-428
    • /
    • 2010
  • 이 연구는 2명의 중등 과학영재 지도 교사의 수업 전문성을 교수지향의 관점에서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두 교사 모두 6년 이상 중등 과학영재의 생물 수업을 담당하였으며, 영재교육 교사연수를 이수하였다. 참여교사 당 2차시의 수업관찰과 녹화, 2차례의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모든 수업자료와 면담자료는 전사된 후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교사들의 수업에서 몇 가지 특징이 나타났다. 두 교사 모두 '개방적 탐구' 지향을 나타냈다. 이것은 탐구력과 창의적 문제 해결력을 신장시켜 과학영재가 과학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는 교사의 교육목표와 신념을 반영한 것이다. 그러나 교사의 전문적 지식의 구체적 내용과 강조점의 차이에 따른 신념은 '학문적 엄격성'과 '발견'의 서로 다른 지향으로 나타나기도 하는데, 이것은 수업에서 다루는 교과 내용 수준이나 범위 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교사들의 과학교수지향은 수업 대상 학생과 과학영재 수업 경험의 증가에 따라 변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교사의 과학영재 교육철학이 교수지향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바탕으로, 교사는 수업에 대한 자기반성을 통해 과학영재교육의 이론적 지식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를 통해 교사의 과학영재 교육철학이 정립되고 내면화될 때, 교사가 의도한 과학교수지향이 수업 실행에서도 일치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

개인의 네트워크 위치가 지식공유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Exploring Impact of Individual Network Position toward Knowledge Sharing Intention)

  • 배순한;백승익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9-5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세 개의 중심성 변수(연결중심성, 근접중심성, 그리고 매개중심성)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내에서의 개별 구성원들의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된 위치가 개별 구성원들의 팀 내 외 지식공유 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팀 내 지식공유 의도에 있어서 연결중심성과 근접중심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나, 매개중심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반면 팀 외 지식공유에 있어서는 연결중심성과 매개중심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근접중심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결중심성이 높은 구성원들은 네트워크 내의 허브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그들은 그 위치를 유지하고자 팀 내 뿐만 아니라 팀 외 지식공유에도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접중심성이 높은 구성원들은 네트워크 내의 다른 구성원들과 폭넓은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팀 외 지식공유보다는 팀 내 지식공유에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는 것으로 입증되었고, 매개중심성이 높은 구성원들은 네트워크 내보다는 네트워크 외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팀 외 지식공유에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네트워크 내에서의 관계를 통하여 자연적으로 형성되어진 위치는 개별 구성원들의 지식공유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유튜브 1인 게임 방송의 집단 스토리텔링 -<대도서관 TV(buzzbean11)> 채널의 시청자 참여형 콘텐츠를 중심으로 (Group storytelling with multi-storyteller in single person media game contents on Youtube - focused on viewer-participating contents in channel)

  • 길혜빈;김소영
    • 대중서사연구
    • /
    • 제27권2호
    • /
    • pp.107-142
    • /
    • 2021
  • 최근 1인 미디어 시대가 도래하면서, '공연자-관객'의 구도를 보였던 방송인과 시청자의 지위가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유튜브의 1인 방송에 나타나는 '스트리머-시청자' 역할의 층위 변화에 주목하고, 이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집단 스토리텔링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이론적 배경으로 발터 벤야민과 레슬리 실코의 '이야기와 이야기꾼', 어빙 고프먼의 '사회적 역할론'을 활용하고, 이를 토대로 1인 미디어 내에서 변화하는 역할을 재규정해 보았다. 분석 대상으로 선정한 유튜브 플랫폼 기반의 1인 게임 방송인 <대도서관 TV(buzzbean11)> 채널은 실시간 스트리밍 방송과 녹화 방송으로 구분된다. 특히 녹화된 방송에서는 - 고프만이 말한 - 관객과 만나는 '앞무대'가 확장되면서, 실시간 방송 시청자가 방송팀 구성원의 일부로 참여한다. '스트리머', '게임 참여자', '실시간 방송의 시청자'는 역할의 층위가 조정되면서 새로운 역할을 부여받아 게임 방송 서사를 집단 창작하는 것이다. 여기서 스트리머는 주요 이야기꾼이자 앞무대 진행자로서, 중심 스토리텔링을 전개하며 방송의 정체성을 정의한다. 다음으로 게임 참여자는 보조 이야기꾼이자 앞무대 공모자로, 게임 서사를 보충하고 방송의 정체성을 실현한다. 마지막으로 실시간 방송 시청자는 간헐적인 보조 이야기꾼이자 앞무대의 간접적 공모자로, 스토리텔링의 틈을 메우고 방송의 정체성을 보존한다. 이처럼 복합적인 층위의 역할 수행자를 통해, 각기 다른 조각의 이야기가 덧붙여져 최종적으로 게임 방송의 서사가 전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스트리머-시청자의 이분법적 구분에서 탈피하여, 1인 게임 방송의 집단 스토리텔링에 참여한 시청자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을 감안할 때, 스트리머-참여자와 집단 스토리텔링의 양상은 더욱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고에서 다룬 연구방법론이 관련 후속연구를 견인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