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ents' rights

검색결과 55건 처리시간 0.028초

개화기 조혼 담론의 가족윤리의식의 함의 (An Implied Meaning of Family Ethics Consciousness of Early Marriage Discourse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of Korea)

  • 전미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9권9호
    • /
    • pp.189-207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n implied meaning of family ethics consciousness from the interpretation of early marriage discourse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of Korea. For the analysis, the estimated time frame of the enlightenment period wile be from 1860 to 1910 that was the time when the Japanese annexed Korea. The discourse of newspapers, Shinsoseols and magazines which are the text of the study have been analysed with the qualitative research technique.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intellects stated that the traditional practice of early marriage should be abolished, and should be replaced by a marriage that the groom and the bride dually agree upon. This argument meant that marriage was not an event for the parents or the family, but a life event for the couples themselves. 2. The practice of early marriage was criticized as it was one of the main reason of making marital relationship miserable. Also it was stated that the children could not follow the role of husband and wife. The importance of marital relationship was emphasized with the recognition that the marital relationship was the basic relationship within family and society. 3. The discourse, criticizing the parents'behavior that enforced the early marriage of children, stated that the children should not be the possession of parents but the public being of society. 4. The discourse also stated that the society and the parents should recognize their children as the human being to be protected from the early marriage which would result in physical damage of their children. Also the discourse asserted the rights of the children including their rights of education. The childhood were being formed in these discourses.

  • PDF

중년기 자녀의 노부모 부양 : 의무에서 성숙의 차원으로 (Middle-aged children's filial responsibility of their aging parents: From filial obligation to filial maturity)

  • 옥경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4권2호
    • /
    • pp.265-276
    • /
    • 1996
  • Due to the increase in life expectancy the family life of recent days has been through significant changes including prolonged relationships among different generations within families and changing roles and relationship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are for elderly parents middle-aged children's filial responsibility habe been examined. Based on balanced reciprocity between middle-aged children and their aging parents each party is able to allow each other to respond needs and to respect rights. It is assumed that middle-aged children's moral development may be useful to discriminate levels of filial responsibility from filial obligation to filial maturity. This assumption challenges previous beliefs that filial obligation and filial maturity are the same,.

  • PDF

초등학교 근린 내 어린이와 학부모의 통행특성과 활동범위, 생활패턴 비교 분석 - 서울시 강서구 신곡초등학교 일대를 대상으로 - (Comparative Analysis of Travel Behaviors, Activity Range, and Life Patterns of Children and Parents in Elementary School Neighborhood - Focused on the Neighborhood around Sin-gok Elementary School in Gangseo-gu -)

  • 채한희;이경환;고은정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6권2호
    • /
    • pp.87-96
    • /
    • 2020
  • Recently, due to the child-friendly city project being conducted by UNICEF, the movement to create a child-friendly cities has been actively promoted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owever, due to the lack of specific physical plans to improve the basic rights of children in the city, the project has been mainly implemented for educational and institutional projec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ctivities of children and parents living in elementary school neighborhoods. Based on our investigation, we attempted to generate the desired results that can be referred to by physical planners looking to make changes to school neighborhoods by comparing and analyzing children and parents' activity range and life patterns in the neighborhood. The GPS and traffic log surveys were conducted as the primary research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oth children and parents are most likely to walk in their neighborhoods. In addition, the use of private cars and school vehicles was high, but the use of public transportation was low. Second, the longer parents and children stayed together, the wider the range of their activities. Third, children who spent a lot of time with parents were more likely to have diverse life patterns than children who did not spend a lot of time with parents. Fourth, parents who live in elementary school neighborhoods frequently used commercial facilities and cultural centers around the school.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struct facilities around the school for parent-use.

아동·청소년친화도시 평가지표 개발 및 타당화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Assessment Tool for Child Friendly Cities)

  • 홍승애;이재연
    • 아동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83-104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ssessment tools to diagnose the child friendly level in a given community. To develop such assessment tools, the literature related to this issue was reviewed, and in order to reflect Korea specific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198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104 parents were interviewed in depth. The questionnaires were classified as objective tools and subjective tools by means of a content validity test by experts and a verification by preliminary survey. Objective tools are defined as those which are used by professionals to check facts based on laws and institutions. 20 objective questionnaires were created and completed. In contrast, subjective tools were used to check the subjective perceptions of children, adolescents and parents on their community environments. Subjective tools were collected as the basis for the data for construct validity and was calculated to verify the validity. For this purpose, 432 children and adolescents between 11 and 18 and 201 parents living in Seoul, Daejeon and Hwaseong (n=633) were surveyed. Subjective tools, 33 questions in 6 areas were created and completed for parents and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30 questions in 5 areas were created and completed.

가족 내 의사결정 태도가 청소년의 인권의식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Decision-making Attitudes within the Family on the Human Rights Awareness of Adolescents: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김정희;최연선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0호
    • /
    • pp.131-136
    • /
    • 2022
  • 본 연구는 가족 내 의사결정 태도가 청소년의 인권의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2018년 한국청소년정책 연구원에서 조사한 한국아동·청소년 인권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자료의 전체 응답자 중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는 청소년 693명을 추출한 뒤, 결측치 및 이상치, 가중치를 제거하여 총 511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측정 변인 간 영향력과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SPSS WIN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가족 내 의사결정 태도가 청소년의 인권의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존중감의 부분 매개 효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유의성 확인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부모-자녀 간의 바람직한 의사소통과 인권의식 고취 및 자아존중감 증진을 위한 사회복지개입실천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CCTV 의무화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 교사, 학부모, 일반인의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about mandated CCTV among Nursery School Principals, Teachers, Parents, and General Public)

  • 김영희;김두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311-31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CCTV 의무화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 교사, 학부모, 일반인의 인식. 즉 CCTV 의무화의 장점, 문제점, 개선 방안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에 있는 가정 어린이집, 민간 어린이집, 사립유치원, 병설 유치원에 근무하는 원장, 교사, 학부모와 일반인이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연구목적에 적절하게 수정 보완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F-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CCTV 의무화에 대한 장점은 CCTV는 인권사건 발생 시 객관적인 증거자료가 되고, 아동간의 폭력을 알 수 있으며, 대책을 강구할 수 있다. 또한 학대 의도를 줄이거나 예방할 수 있다. 둘째, 어린이집 CCTV 의무화에 대한 주요한 문제점은 사생활 침해 및 기본권 침해, 교육에 무관하게 이용, CCTV는 교사에게 갑갑함, 불편함, 긴장감을 유발하는 스트레스 요인 등이다. 셋째, 어린이집 CCTV 의무화에 대한 주요한 개선방안은 억울한 교직원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과 CCTV에 대한 기존 가이드라인의 보완 등이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어린이집 CCTV 의무화 정책에 대한 장점, 문제점, 개선방안을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아동학대 예방교육이 부모의 긍정정서 반응, 양육 스트레스, 아동학대 잠재성에 미치는 영향: 무작위 대조군 사전·사후 연구 (The effects of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on parents' response to positive emotion, parenting stress, and child abuse potential: A randomized controlled pretest posttest design)

  • 김미현;박부경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9-28
    • /
    • 2024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Furthermore, the aim w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on parents' response to positive emotion, parenting stress, and potential for child abuse. Methods: A randomized controlled pretest posttest design was used. A total of 60 participants, who were parents with children aged 1~5 and attending 8 nurseries and kindergartens located in Daegu, were recruited.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n=30) and a control group (n=3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an independent t-test, paired t-test, and χ2-test along with descriptive statistics using IBM SPSS Statistics 25.0.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for the experimental group included four modules on child rights, understanding child abuse, proper child discipline, and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itive rumination from the control group (t=2.15, p=.036).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dampening from the control group (t=-2.49, p=.016). Additionally,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ing stress from the control group (t=-2.12, p=.038) and also report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 abuse potential from the control group (t=-2.26, p=.028).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child abuse prevention education for parents can improve positive rumination, reduce dampening, and reduce parenting stress and child abuse potential. Therefore, this study is useful in demonstrating how parental susceptibility to child abuse can be decreased. Future studies should pursue long-term programs and counseling programs.

청소년부모의 지원정책 개발을 위한 조사연구 -10대에 첫 자녀를 임신한 미혼한부모를 대상으로- (Exploratory study on developing a support policy for adolescent parents: focusing on single mothers who become pregnant for the first time as teenage years)

  • 이영호;박지윤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5권1호
    • /
    • pp.113-132
    • /
    • 2021
  • 지금까지의 한부모가족에 대한 연구들의 대다수는 미혼 한부모가족의 형성사유를 구분하지 않아, 청소년한부모를 특정하여 직접 자료조사를 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부모의 임신, 출산, 양육이 안전하게 이루어지도록 지원하기 위한 정책 개발의 기초 자료를 청소년부모의 양육과 관련한 실태조사를 통해 얻고자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청소년부모를 대상으로 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르므로 동일한 문제를 내포한 10대에 첫 자녀를 출산한 미혼한부모를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이들의 기본적인 특성은 어떠한가. 둘째, 임신에서 양육 초기의 실태는 어떠한가. 셋째, 자녀 양육의 실태는 어떠한가. 넷째, 자립의 가능성은 어떠한가' 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부모의 지원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10대에 첫 자녀를 출산한 미혼한부모를 대상으로 임신에서 출산, 양육초기까지의 일련의 과정을 직접 조사를 통해 탐색한 연구로서 기존의 연구들과 차별점을 갖고 있으며, 비양육자인 자녀의 생부의 역동을 함께 추측할 수 있는 자료를 제시하였다. 또한 저출산의 극복이라는 중차대한 국가의 과업에서 청소년 산모의 건강권을 바탕으로 아동의 건강한 성장을 함께 논의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자녀를 출산하고 양육하는 일은 개인, 사회가 함께 고민하여야 하며, 그 과정에서 아이 생부에 관한 사회의 무관심을 환기시키고 아이 생부를 양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의 전환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청소년부모와 미혼부의 존재를 인정하고 이들을 다양한 가족의 하나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청소년복지지원법과 저출산고령사회기본법에서 청소년부모에 대한 지원의 근거가 명시되어야 하며, 10대의 청소년으로서 부모역할을 수행하는 부모, 한부모들에 대해서는 가정의 형태에 관계없이 이용가능한 시스템의 도입과 10대 부모를 대상으로 하는 자녀양육과 관련한 정보 및 양육프로그램이 전문가에 의해 개발되어야 하며 이를 포괄하는 가족정책의 수립과 가족자원과 지역자원을 적용할 수 있는 더욱 구체적인 후속 연구들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아동양육정책의 자유선택 쟁점에 관한 연구 - 공보육서비스 vs 가정양육수당을 중심으로 - (The Study on Free Choice in Childcare Policy : Focusing on Public Childcare Service VS Home Childcare Allowance)

  • 이수경;오미옥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129-150
    • /
    • 2013
  • 아동양육은 가족정책에서 중요한 의제 중 하나이다. 아동양육을 사회화함으로써 부모의 노동권과 부모권을 확보할 수 있도록 조건을 형성하는 것은 복지국가를 위한 주요한 관건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아동양육의 자유선택에 대한 상반된 견해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자유선택은 모든 사회구성원 개개인이 노동권과 부모권을 양립하는데 제약 없이 자유롭게 선택하고 누리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현재 우리는 '자유선택'이라고 말할 수 없다. 이 논문에서는 자유선택의 쟁점이 되는 분석 기준 - 자유의 개념, 형평성과 평등, 국가의 역할, 재정효율성, 여성의 노동시장에서의 지위 - 에 바탕을 둔다. 분석 기준에 따른 논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몇 가지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즉, 진정한 자유선택이 되기 위해서는 적절하고 다양한 양육서비스와 보편적인 아동수당제도의 도입, 공공어린이집의 확충이 되어야 할 것이다.

장애자녀 보호자와 공무원의 성년후견제도에 대한 인식비교 융복합 연구 (A Comparative Convergence Study on the Perceptions of Disabled Child Carers and Officials on the Adult Guardianship System)

  • 유수진;윤선희;황문영;백진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6호
    • /
    • pp.275-28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장애자녀 보호자와 공무원의 성년후견제도에 대한 인식을 비교하고, 인권존중과 사회통합을 지향하는 제도로서의 정착 방안을 고찰하고자 한다. 먼저, 성년후견제도에 대해 보호자 68.9%, 공무원 43.9%가 인지하고 있었으며, 보호자(90.2%)와 공무원(94.3%) 모두 성년후견제도가 인권존중을 위해 유용하다고 응답하였다. 후견인으로 선호하는 유형은 보호자는 '부모', 공무원은 '전문가'였다. 개선사항으로는 조사대상 모두 '국가 전담기구 설치'가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성년후견제도가 인권존중과 사회통합에 기여하는 제도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성년후견제도에 관한 대국민 홍보, 질적인 공공후견인 양성, 성년후견제도 전반에 대한 통합적인 지원, 관리, 감독, 홍보를 수행할 수 있는 국가차원의 전담기구 설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