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n Free Choice in Childcare Policy : Focusing on Public Childcare Service VS Home Childcare Allowance

아동양육정책의 자유선택 쟁점에 관한 연구 - 공보육서비스 vs 가정양육수당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3.08.15
  • Accepted : 2013.12.23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he issue of child care in family polic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gendas. It is the primary task for a welfare state to form such conditions as socializing it to ensure labor rights and parental right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y controversies in the agenda of free choice in child care. But real 'free choice' comes true when all community members as individuals are able to enjoy their rights as both workers and parents without any restriction and sexual discrimination in the labor market. But in reality 'free choice' has not been realized in our society. This study i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se issues in free choice - the concepts of liberty, equity and equality, the role of the state, financial efficiency and the status of women in the labor marke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issues in accordance with the criteria, I suggest some policy recommendations: adequate and sufficient child care services, the introduction of univer sal child benefits and the expansion of public child care facilities.

아동양육은 가족정책에서 중요한 의제 중 하나이다. 아동양육을 사회화함으로써 부모의 노동권과 부모권을 확보할 수 있도록 조건을 형성하는 것은 복지국가를 위한 주요한 관건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아동양육의 자유선택에 대한 상반된 견해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자유선택은 모든 사회구성원 개개인이 노동권과 부모권을 양립하는데 제약 없이 자유롭게 선택하고 누리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현재 우리는 '자유선택'이라고 말할 수 없다. 이 논문에서는 자유선택의 쟁점이 되는 분석 기준 - 자유의 개념, 형평성과 평등, 국가의 역할, 재정효율성, 여성의 노동시장에서의 지위 - 에 바탕을 둔다. 분석 기준에 따른 논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자는 몇 가지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즉, 진정한 자유선택이 되기 위해서는 적절하고 다양한 양육서비스와 보편적인 아동수당제도의 도입, 공공어린이집의 확충이 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나연(2010). 노동권과 부모권의 관점에서 본 복지국가 일-가족양립정책의 비교 연구: 영국과 노르웨이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 백선희(2008). 이명박 정부의 보육정책에 관한 비판적 고찰. 이명박 정부의 보육정책, 과연 수요자 중심인가 토론회. KYC/공동육아와공동체교육/참여연대사회복지위원회/한국단체연합.
  3. 보건복지부(2012). 보육사업 안내.
  4. 보건복지부(2013). 보육통계.
  5. 송다영(2008). 일과 가족 양립을 위한 가족지원서비스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34(3), 7-33.
  6. 송다영(2009). 가족정책 내 자유선택 쟁점에 관한 고찰. 페미니즘연구, 9(2), 83-117.
  7. 송다영(2011). 돌봄 정책의 국가별 상이성과 젠더관점 : 아동보육 부문을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4(3), 1-33.
  8. 송다영(2013). 여성주의 관점에서 본 생애주기별 복지와 돌봄 패러다임. 페미니즘 연구, 13(1), 93-129.
  9. 신경아(2011). 가족정책, 일가족 양립정책과 여성의 노동시장 조건. 국내외 가족 정책의 쟁점과 가족환경변화, 한국여성정책연구원.
  10. 신윤정(2012). 프랑스 영유아보육 정책 현황과 시사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보건. 복지 이슈&복지, 151(32), 1-8.
  11. 여성가족부(2007). 여성가족통계연보.
  12. 유해미, 서문희, 한유미, 김문정(2011). 영아 양육비용 지원정책의 효과와 개선방안: 양육수당을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소.
  13. 윤승희(2010). 북유럽 국가들의 돌봄의 가족화 정책: 부모휴가와 아동가정양육수당정책에 나타나는 아버지 상(像)의 상이성. 상황과 복지, 30, 125-162.
  14. 윤홍식(2005). 가족정책의 성 통합적 재구조화 : 노동 주체의 관점에 근거한 일과 가족의 양립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57(4), 291-319.
  15. 윤홍식(2010). 한국 돌봄(가족)정책의 현실과 전망. 인천발전연구원 주최 여성의제토론회 발표문.
  16. 윤홍식, 김인숙, 최은영(2007). 일과 가족생활 양립을 넘어서: 쟁점, 사례, 원칙과 방향. 2007년 진보정치연구소.
  17. 이재인(2006). 노동권과 부모권의 관점에서 본 한국의 보육정책. 가족과 문화, 18(2), 67-88.
  18. 장지연(2011). 돌봄 노동의 사회화 유형과 여성노동권. 페미니즘 연구, 11(2), 1-47.
  19. 조복희, 강희경, 김양은, 한유미(2013). 한국 보육의 역사 및 관련법과 현황. 한국보육지원학회, 9(5), 381-405
  20. 최은영(2005). OECD 주요국의 보육정책 동향과 함의. 한국노동연구원.
  21. 홍승아(2011). 양육수당제도의 젠더효과에 관한 연구: 핀란드 가정양육수당제도를 중심으로. 비판사회정책, 31, 85-119.
  22. Addat, L. (2009). Workplace solutions for childcare. France In C. Hein & N. Cassirer(Eds.), Geneva: International Labour Office.
  23. Daly, M. (2002). Care as a good for social policy. Journal of Social Policy. 31(2), 187-206
  24. Esping-Andersen, G. (1999). Social foundations of postindustrial economics.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25. Esping-Andersen, G. (2002). A new european social model for the 21st century? The new knowledge economy in europe. Cheltenham: Edward Elgar.
  26. Greener, L., & Powell, M. (2010). Broadening the focus of public service consumerism. Public Management Review, 12(3), 323-339. https://doi.org/10.1080/14719030903286615
  27. Hillamo, H., & Kangas, O. (2003). Trap for women or freedom to choose?: Child home care allowance in finnish and swedish political rhetoric. Paper for the inaugural ESPAnet conference "Changing european societies-the role for social policy" Organized by the Danish National Institute of Social Research Copenhagen, 13-15 November.
  28. Hilamo, H. (2004). Changing family policy in sweden and finland during the 1990s. Social Policy and Administration, 38(1), 21-40. https://doi.org/10.1111/j.1467-9515.2004.00374.x
  29. Jenson, J., & M. Sineau. (2001). Citizenship in the era of welfare state redesign. In J. Jenson & M. Sineau(Eds.), Who cares?: Women's work, childcare and welfare state redesign (pp.211-212). Toronto: Toronto UP.
  30. Jenson, J., & M. Sineau. (2003). Who cares?: Women's work, childcare and welfare state redesign. In J. Jenson & M. Sineau(Eds.), France: Reconciling republican equality with 'freedom of choice'(pp. 88-117). 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31. Leira, A. (2002). Working parents and the welfare stat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2. Letablier, M-T. (2004). Fertility and family policies in France, Journal of Population and Social Security, Supplement 1.
  33. Meyer, M., & Gornik, J. C. (2003). Public or private responsibility?: Inequalit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in the welfare state,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ie,. 23(3), 379-411.
  34. Morel, L. (2007). From subsidiarity to 'free choice': Child-and elder-care policy reform in France, Belgium, Germany and the Netherlands, Social Policy and Administration, 41(6), 618-637. https://doi.org/10.1111/j.1467-9515.2007.00575.x
  35. OECD(2006). Starting Strong II: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OEC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