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enting self-efficacy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23초

국내 시설 거주 미혼모의 양육역량 향상을 위한 중재의 통합적 고찰 (An Integrative Review of Interventions to Improve Parenting Competencies of Unmarried Mothers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in Korea)

  • 이금희;정예슬;방경숙;김성재;김미숙;신다애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17권1호
    • /
    • pp.28-39
    • /
    • 2020
  • Purpose: To understand the core elements and the effects of interventions on the improvement of parenting capabilities of unmarried mothers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this study reviewed the literatures related to this concept. Methods: Five electronic databases (KISS, KMbase, KoreaMed, NDSL, and RISS) were searched, and eight studies were ultimately selected for the integrative review. Results: The interventions were categorized into two types: psychological intervention and sociocultural intervention. The core elements of the psychological interventions included cognitive, emotional, behavioral, and relational contents. Sociocultural aspects included raising personal skills for finding social support resources. Various studies showed the effects of intervention on efficacy, attachment, or parenting behavior.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ealth promotion programs to improve maternal parenting competency for unmarried mothers living in residential facilities need to be developed and applied.

신생아 돌봄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the effect on Newborn Care Education Program)

  • 강지원;서문경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3호
    • /
    • pp.247-25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신생아 돌봄 교육 프로그램이 부모의 양육 자신감과 지식,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산출하는 것이다. 문헌검색과정에서 국내 데이터베이스인 국회도서관, KERIS, KISS, 국내 간호 의료 학회지가 사용되었고 그 중 2016년까지의 11개의 연구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융복합적인 결론을 제시하였다. 신생아 돌봄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양육 자신감의 전체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하위그룹 분석에서 1회 이상의 중재 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지식과 자기 효능감에 대한 전체 효과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신생아 돌봄 교육 프로그램의 이해에 대한 도움을 주고 교육 수행 시 효과에 대한 근거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며 관련 변수를 측정한 연구를 반복 시도하여 추후 연구에서 일반화를 도모해야 할 것이다.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Self-Esteem of Young Children)

  • 권화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185-200
    • /
    • 2014
  • 본 연구는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육기관을 이용하고 있는 보호자 296명을 대상으로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즉, 개인 내적요인(유아의 문제행동과 자기조절능력)과 보호자 요인(보호자의 양육효능감과 보호자 양육 스트레스)으로 구분하여 이들 변인이 유아의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유아 자신의 자기평가, 우울, 정서성 및 행동억제 요인이, 보호자 요인에서는 보호자의 자녀양육효능감 및 보호자의 자녀양육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두 요인 모두의 설명력은 50.5%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자녀의 자기평가와 정서성 및 행동억제력 및 보호자의 양육효능감이 높을수록 자녀의 자기존중감은 높으며, 유아의 우울과 보호자의 양육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녀의 자기존중감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유아의 자기존중감을 높이기 위해 유아의 문제행동 감소, 보호자의 양육 스트레스 감소 및 보호자의 양육효능감 및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을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교수 방법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약시아동 어머니의 가림치료 교육의 효과 (Effects of the Mother's about Amblyopia Occlusion Therapy)

  • 한승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369-378
    • /
    • 2016
  • 약시아동의 시력개선을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가림치료는 부모의 협조 하에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는 약시아동 어머니를 대상으로 가림치료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약시아동의 시력을 향상시키고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부모 효능감을 높이고자 실시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실험설계이다. 본 연구는 2010년 3월 5일부터 10월 5일까지 G시 소재 일 대학병원 안과 외래에서 통원 치료하는 약시아동 어머니 60명(실험군 29명, 대조군 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프로그램은 실험군에게 총 24주 동안 가림치료 어머니를 대상으로 실시되었다(면대면 상담, 전화 상담 등). 자료수집에서 시력측정은 유아용 시력표를 이용하였으며, 양육스트레스, 부모효능감은 설문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C+ 20.0을 이용하여 ${\chi}^2-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t-test 및 Repeated Measure ANOVA로 분석하였다. 가림치료 어머니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시력개선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고(우측, F=40.64, p<.001, 좌측, F=10.28, p<.001), 양육 스트레스가 낮았고(F=9.85, p=.003), 부모 효능감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F=22.19, p<.001). 이상의 연구 결과 가림치료 어머니교육 프로그램은 약시아동의 시력개선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낮아지고, 부모효능감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Factors Influencing Physical Activity in Adolescents with Complex Congenital Heart Disease

  • Kwon, Su Jin;Choi, Eun Kyoung;Lee, Kyung Hee;Im, Yu-Mi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5권3호
    • /
    • pp.262-272
    • /
    • 2019
  • Purpose: We aim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physical activity in adolescents with complex congenital heart disease. Methods: We recruited 92 adolescents with complex congenital heart disease from a tertiary medical center in Seoul, measured their levels of physical activity, and identified factors that influenced their physical activity levels using the Global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the New York Heart Association classification, congenital heart disease complexity, the Self-Efficacy Scale, and the Parental Bonding Instrument scale. 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 was used to determine factors influencing physical activity. Results: Total physical activity was higher in males than in females (t=4.46, p<.001).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engaged in more physical activity than those who did not (t=6.77, p<.001). Higher self-efficacy (${\beta}=.41$, p<.001), male gender (${\beta}=.37$, p<.001) and participation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es (${\beta}=.19$, p=.042) were associated with a higher likelihood of engagement in physical activity.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s that enhance self-efficacy in order to promote physical activity in adolescents with complex congenital heart disease. Physical activity should also be promoted in an individualized manner, taking into account gender, disease severity, and parental attitude.

결혼이주여성의 자녀양육 경험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rried Immigrant Women's Parenting Experiences on their Mental Health)

  • 강복정;강기정;박수선;손서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7호
    • /
    • pp.451-459
    • /
    • 2016
  • 본 연구는 방문 자녀생활서비스를 이용하는 유아 및 초등학생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그들의 자녀양육 경험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15년 6월 1일부터 7월 28일까지 전국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제공하는 방문 자녀생활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결혼이주여성 47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혼이주여성의 정신건강은 자아존중감과 우울을 통해 살펴보았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은 부모역할 인식과 양육스트레스, 결혼만족도, 사회적 지지와 관계가 있었으며, 우울은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능력, 월평균 가구소득, 자녀양육 변인인 부모역할 인식, 양육스트레스, 자녀발달에 대한 지식, 가족 및 사회 관련 변인인 결혼만족도와 사회적 지지와 관련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결혼이주여성의 정신건강은 자녀양육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므로 결혼이주여성의 자녀양육에 따른 부담감 감소 및 부모역할 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부모교육 서비스가 결혼이주여성의 정신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양육효능감: 자녀양육행동 매개 모델 (Maternal Self-Efficacy: A Mediational Model of Quality of parenting)

  • Seo, So-Jung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11-27
    • /
    • 2004
  • 본 연구의 일차적 목적은 어머니의 특성과 관련된 요인들이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양육효능감이 어머니의 특성과 관련된 요인들과 자녀양육 행동과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인가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양육효능감, 자녀 양육행동, 아동 발달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미국 내 거주하는 Early Head Start 프로그램 의 수혜 자인 저 소득층의 어머니와 영 아들을 (출생∼36개월) 대상으로 한 본 연구결과에 의하면 어머니의 특성과 관련된 요인들로 어머니의 연령, 소득수준, 양육에서 오는 스트레스가 양육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효능감은 어머니의 특성과 관련된 요인, 특히 어머니의 연령과 양육행동과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육효능감, 양육행동, 아동발달과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양육효능감과 양육행동에서만 유의한 정적인 강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금까지의 선행연구들과는 맥을 같이하는 연구결과이지만, 저소득층(high-risk families)의 어머니와 영아를 대상으로 양육효능감을 포괄적이고 체계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는데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나아가, 이 연구의 결과는 저소득층을 위한 아동 및 가족의 통합적 복지사업을 실천하는데 있어 의미가 있는 것으로 시사된다. 사회 경제적 자립을 위한 기회 제공과 자녀양육을 하는데 있어서 전문가의 직접적인 모델링을 통한 부모교육을 통해서 양육효능감을 향상시켜나갈 때, 아동 및 가족 복지 실현의 궁국적 목적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청소년기 자녀를 둔 아버지 연구에 대한 동향분석 (Analysis on the Research Trend of Fathers with Adolescent Children)

  • 황지연;김준미;서은애;신효정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1권1호
    • /
    • pp.141-154
    • /
    • 2023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previous studies on paternal parenting methods involving adolescent children in terms of their academic field, research period, method and subjects, and family variables. A total of 104 research publications from the period between 2003 and 2022 were investigated, with 99 quantitative research (43 theses and 56 academic journals) and five qualitative data source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topic of fathers with adolescent children was the most studied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it rapidly increased from 2011 to 2014 and then rapidly decreased from 2019. The main subject of the studies was middle-school students, while most of the studies adopted a quantitative approach, with a minimal number of qualitative studies. Parenting studies were concentrated on father variables and several such studies were found to be related to positive resources such as self-esteem and self-efficacy as variables of adolescent children related to fathers' parenting.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provide meaningful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on the fathers of adolescent children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detailed education and programs.

보육교사의 자아존중감, 직무스트레스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Influencing Factors of Self-esteem and job stress on Teacher Efficacy for Childcare Teacher)

  • 변은경;장경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3982-3990
    • /
    • 2015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의 정도를 알아보고 자아존중감과 직무스트레스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 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도에서 보육교사로 근무하는 28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분석은 SPSS WIN/21.0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t-검정, 일원분산분석, 피어슨 상관계수, 다중회분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은 $3.59{\pm}0.38$점으로 나타났다. 교사효능감은 연령(F=3.493, p=.016), 경력(F=5.654, p=.001), 직위(F=6.681, p<.001), 학급연령(F=2.759, p=.043), 자녀양육경험(t=5.269, p=.022)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연구대상자의 교사효능감은 자아존중감과 순상관관계(r=.236, p<.001), 교사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는 역상관관계(-.251,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아존중감과 직무스트레스로 확인되었고 이러한 요인들은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을 11.7%로 설명하였다.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반복연구를 통하여 교사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실제적인 중재들이 요구된다.

어머니의 유아기 자녀 학교적응기대와 부모효능감 및 자녀유능성 인식과의 관계 (Mothers' Expectation on School Adjustment of Their Preschool Children and Mothers' Perception of Parenting Efficacy and Children's Competence)

  • 신호정;서영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71-87
    • /
    • 2007
  • 본 연구는 미취학 자녀를 둔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학교적응기대가 어머니의 부모효능감 및 자녀유능성 인식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만 5세반에 재원 중인 유아의 어머니 34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취학 전 유아 어머니의 자녀 학교적응기대는 첫째, 어머니의 학력이 높고, 직장에 다니고 있으며, 자녀를 초등학교에 진학시킨 경험이 있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또한 남아보다는 여아에 대해, 첫째 자녀보다는 둘째 이상의 자녀에 대해 높은 학교 적응기대를 가지고 있었으며, 유아의 월령이 높을수록 그 기대가 높았다. 둘째, 취학 전 유아를 둔 어머니의 부모효능감이 높을수록 자녀의 교사관계, 친구관계, 학교수업과 규칙 등의 학교적응에 대한 어머니의 기대가 높았다. 셋째, 취학 어머니가 자녀의 사회적 능력을 높게 인식할수록 자녀의 교사관계, 친구관계 적응에 대한 기대가 높게 나타났으며, 자녀의 인지적 능력을 높게 인식할수록 학교수업과 규칙적응에 대한 기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