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ental time

검색결과 267건 처리시간 0.032초

A double-labeling marker-based method for estimating inbreeding and parental genomic components in a population under conservation

  • Li, Wenting;Zhang, Mengmeng;Wang, Kejun;Lu, Yunfeng;Tang, Hui;Wu, Kelia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1호
    • /
    • pp.12-23
    • /
    • 2020
  • Objective: The objective of a conservation program is to maintain maximum genetic diversity and preserve the viability of a breed. However, the efficiency of a program is influenced by the ability to accurately measure and predict genetic diversity. Methods: To examine this question, we conducted a simulation in which common measures (i.e. heterozygosity) and novel measures (identity-by-descent probabilities and parental genomic components) were used to estimate genetic diversity within a conserved population using double-labeled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marker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ccuracy and sensitivity of identity-by-state probabilities and heterozygosity were close to identity by descent (IBD) probabilities, which reflect the true genetic diversity. Expected heterozygosity most closely aligned with IBD. All common measures suggested that practices used in the current Chinese pig conservation program result in a ~5% loss in genetic diversity every 10 generations. Parental genomic components were also analyzed to monitor real-time changes in genomic components for each male and female ancestor. The analysis showed that ~7.5% of male families and ~30% of female families were lost every 5 generations. After 50 generations of simulated conservation, 4 male families lost ~50% of their initial genomic components, and the genomic components for 24.8% of the female families were lost entirely. Conclusion: In summary, compared with the true genetic diversity value obtained using double-labeled markers, expected heterozygosity appears to be the optimal indicator. Parental genomic components analysis provides a more detailed picture of genetic diversity and can be used to guide conservation management practices.

The Effects of Parental Support and Parenting Attitude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on School Life and Social Competence

  • Kim, Jae-Nam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11호
    • /
    • pp.277-285
    • /
    • 2022
  •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 패널조사 2기 1차 자료를 활용하여 다문화 청소년 부모의 지지와 양육 태도가 학교생활과 사회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2019년 당시 초등학교 4학년이었던 다문화 청소년 2,246명을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부모의 지지와 부모의 양육 태도가 적극적이고 긍정적일수록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과 사회적 역량의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학교생활과 사회적 역량 정도는 성별에 따라 달라지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학력에 따른 학교생활 정도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사회적 역량 정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보아 부모의 지지와 양육 태도 방식은 다문화 청소년의 학교생활과 사회적 역량의 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교육생태계의 주요 환경 변인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영아기 전래놀이노래에 대한 부모의 인식과 적용실태 (Parental Perception and Utilization of Traditional Korean Play Songs for Infants)

  • 엄정애
    • 아동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95-203
    • /
    • 2001
  • This study examined parental perceptions and use of traditional play songs for infants by parent's age and gender. The 464 subjects living in Daejeon City provided data via questionnaires and recorded tapes. Of 13 play songs for infants, parents were really acquainted only with Jjak-jjak-kkung, Do-ri Do-ri, Gon-ji Gon-ji, and Jam-jam. However, most parents thought traditional play songs are important for the education of the whole child. Mothers and parents in their thirties and forties considered traditional play songs to be more important than did fathers and parents in their twenties. Though infants liked traditional play songs, most parents didn't use them with their infants because parents knew few traditional play songs and they had little time to play with their infants. Lack of time was a more serious problem for fathers than for mothers.

  • PDF

제주마 집단의 혈연 정보량과 정보 오류가 유전 모수 추정치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mount of Pedigree Information and Parental Misidentification of Progeny on Estimates of Genetic Parameters in Jeju Race Horses)

  • 김남영;이성수;양영훈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89-296
    • /
    • 2014
  • 제주마 경주 능력 개량을 위한 기초 자료 확보를 위하여 혈통 정보량과 오류량이 유전 모수 추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혈통 자료는 램덤으로 혈통 정보의 삭제(0~25%) 또는 오류 유발(0~25%)과 각 수준별 20회 반복으로 모의자료를 형성하였다. 분석에 이용된 형질은 제주마 1,000m 경주의 주파 시간을 이용하였고, 상가적 유전 분산의 추정은 DF-REMLAI 알고리즘을 이용하였다. 개체의 양부모에 대한 정보 유실량과 오류량의 증가는 선형적인 회귀관계로 상가적 유전 분산 성분(유실 b = -0.079, 오류 b= -0.114)과 유전력 추정치(유실, b= -0.006; 오류, b = 0.008)의 감소를 초래했다(p<0.01). 특히 개체의 양부모에 대한 정보유실보다는 정보 오류가 상가적 유전분산량과 유전력 추정치를 보다 크게 왜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 또는 모에 대한 정보의 유실과 오류의 증가도 대부분 오차 분산 성분과 영구 환경 분산 성분의 증가를 유발시키고, 상가적 유전 분산성분의 감소를 가져왔다. 원자료에서 얻은 모수를 기준으로 했을 때 양부모에 대한 정보의 유실량과 오류량이 1% 증가함에 따라 유전력은 각각 0.92% 및 1.39%씩 낮아지는 관계를 보였다 (p<0.01). 제주마의 1,000m 주파 속도에 대한 유전력은 0.60으로 추정되었지만, 초기 집단에 존재하는 혈통 정보의 누락 및 오류를 고려한다면 실제보다도 10% 정도는 낮게 추정되고 있다고 사료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상가적 유전 분산량의 감소는 물론, 선발에 따른 제주마의 경주 능력에 대한 유전적 개량량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결혼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 대한 종단분석 및 아동기 부모 이혼의 조절효과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Association between Transition into Marriage and Life Satisfaction and Childhood Parental Divorce as a Moderator)

  • 이윤주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9권1호
    • /
    • pp.113-125
    • /
    • 2021
  • Previous research on the association between marriage and life satisfaction is limited due to the lack of attempts to investigate the time profiles of life satisfaction around marriage. This study addresses unresolved questions about the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marriage and life satisfaction as well as tests if it is moderated by childhood parental divorce. Using 14 waves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N=3,890 individuals or 25,338 person-year observations), the author first used an ordinary least squares model with clustered standard errors and found that married people reported higher life satisfaction before marriage, compared to people who remained single during the survey. This result supports a social selection perspective. Next, the author used a fixed effects regression model and found that the transition into marriage was associated with an initial rise and subsequent decline in life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increased after reaching its lowest level in the third year of marriage. Life satisfaction after the transition into marriage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bserved three or more years prior to marriage. The result supports a social causation perspective. Such changing patterns were not moderated by parental divorce during childhood. This study advances the current literature on marriage and life satisfaction by using a nationally representative longitudinal data set as well as by testing social selection and causation perspectives.

중.고령층 여성의 노부모 수발과 경제활동참여 (The Effect of the Parental Care Burden on the Labor Force Participation of the Middle Aged and Older Women)

  • 최영;심경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3호
    • /
    • pp.277-295
    • /
    • 2014
  • 본 연구는 노부모 수발부담이 50~60대 중 고령층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민노후보장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부모를 수발하고 있는 중 고령층 여성 2,125사례를 선별하고 일반화선형방정식 및 다항로짓모형을 통해 두 변인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노부모 수발은 중 고령층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에 일정부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금노동이나 고용주/자영업으로 보다는 무급가족종사자 형태로의 취업 가능성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수발제공자를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 장시간의 수발은 중 고령층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중 고령층 여성의 노인 돌봄 부담 완화와 이를 통한 경제활동 참여의 장려를 위해 노인 돌봄의 사회화를 통한 사회와 국가의 역할 강화 및 가족내 성별 역할의 재정립을 제안하였다.

  • PDF

A Brucella Omp16 Conditional Deletion Strain Is Attenuated in BALB/c Mice

  • Zhi, Feijie;Fang, Jiaoyang;Zheng, Weifang;Li, Junmei;Zhang, Guangdong;Zhou, Dong;Jin, Yaping;Wang, Aihu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2권1호
    • /
    • pp.6-14
    • /
    • 2022
  • Brucella spp. are facultative intracellular pathogens that invade, survive and proliferate in numerous phagocytic and non-phagocytic cell types, thereby leading to human and animal brucellosis. Outer membrane proteins (Omps) are major immunogenic and protective antigens that are implicated in Brucella virulence. A strain deleted of the omp16 gene has not been obtained which suggests that the Omp16 protein is vital for Brucella survival. Nevertheless, we previously constructed an omp16 conditional deletion strain of Brucella, ∆Omp16. Here, the virulence and immune response elicted by this strain were assessed in a mouse model of infection. Splenomegaly was significantly reduced at two weeks post-infection in ∆Omp16-infected mice compared to infection with the parental strain. The bacterial load in the spleen also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t this post-infection time point in ∆Omp16-infected mice. Histopathological changes in the spleen were observed via hematoxylin-eosin staining and microscopic examination which showed that infection with the ∆Omp16 strain alleviated spleen histopathological alterations compared to mice infected with the parental strain. Moreover, the levels of humoral and cellular immunity were similar in both ∆Omp16-infected mice and parental strain-infected mice. The results overall show that the virulence of ∆Omp16 is attenuated markedly, but that the immune responses mediated by the deletion and parental strains in mice are indistinguishable. The data provide important insights that illuminate the pathogenic strategies adopted by Brucella.

언어발달장애 아동의 원격 언어검사의 효용성 및 부모 만족도 조사 (The Utility of Telepractice in Language Assessment for Children with Language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Parental Satisfaction Survey)

  • 천웅;홍경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7호
    • /
    • pp.510-518
    • /
    • 2021
  • 본 연구는 원격시스템을 이용한 언어검사의 효용성과 이에 대한 부모의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언어발달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수용·표현어휘력 검사(REVT)'의 검사문항을 반분하여 원격과 대면으로 각각 실시하고, 두 점수 간의 상관관계 및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REVT의 원격과 대면 검사의 점수 간에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러나 수용어휘력에서 원격에서 대면보다 유의하게 낮은 점수가 나타났다. 양육자들은 원격 언어검사에 대해 평균 3.6점으로 보통 이상의 전반적 만족도를 나타냈다. 특히 원격 검사에 따른 시간과 이동/거리의 편리성에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인 반면 원격이 대면 방식과 동일한 효과를 보인다고 생각하는가를 묻는 문항이 가장 점수가 낮았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원격 검사의 적용의 가능성과 주의점들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Role of OrfQ in Formation of Light-Harvesting Complex of Rhodobacter sphaeroides under Light-Limiting Photoheterotrophic Conditions

  • LIM, SOO-KYONG;IL HAN LEE;KUN-SOO KIM;JEONG KUG L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9권5호
    • /
    • pp.604-612
    • /
    • 1999
  • A puc-deleted cell of Rhodobacter sphaeroides grows with a doubling time longer than 160 h under light-limiting photoheterotrophic (3 Watts [W]/㎡) conditions due to an absence of the peripheral light-harvesting B800-850 complex. A spontaneous fast-growing mutant, R. sphaeroides SK101, was isolated from the puc-deleted cells cultured photoheterotrophically at 3 W/㎡. This mutant grew with an approximately 40-h doubling time. The growth of the mutant, however, was indistinguishable from its parental strain during photoheterotrophic growth at 10 W/㎡ as well as during aerobic growth. The membrane of SK101 grown aerobically did not reveal the presence of any spectral complex, while the amounts of the B875 complex and photosynthetic pigments of SK101 grown anaerobiclly in the dark with dimethylsulfoxide (DMSO) were the same as those of the parental cel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oxygen control of the photosynthetic complex formation remained unaltered in the mutant. The B875 complex of SK101 under light-limiting conditions was elevated by 20% to 30% compared with that of the parental cell, which reflected the parallel increase of the bacteriochlorophyll and carotenoid contents of the mutant. When the puc was restored in SK101, the B875 complex level remained unchanged, but that of the B800-850 complex increased. The mutated phenotype of SK101 was complemented with orfQ encoding a putative bacteriochlorophyll-mobilizing protein. Accordingly, it is proposed that the mutated OrfQ of SK101 should have an altered affinity towards the assembly factor specific to the most peripheral light-harvesting complex, which could be either the B875 or the B800-850 complex.

  • PDF

아동의 학교결석일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요인에 관한 종단연구 - 패널고정효과모형을 활용하여 - (A Longitudinal Study of the Ecological-Systemic Factors on School Absenteeism in South Korean Children - A Panel Fixed Effects Analysis -)

  • 김동하;엄명용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3호
    • /
    • pp.105-125
    • /
    • 2016
  • 학교결석은 학업중단이나 비행 범죄에 대한 잠정적인 조기 예측요인으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생태체계적 관점을 토대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아동의 학교결석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을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에서 초4 패널의 2차년도와 3차년도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초등학교 2,378명을 대상으로 패널회귀분석의 고정효과모형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아동의 컴퓨터 사용시간, 부모의 학대, 학교활동참여정도, 학업성적이 학교결석일 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컴퓨터 사용시간, 부모의 학대는 학교결석에 위험요인으로 작용하였으며, 학교활동참여와 학업성적은 학교결석에 보호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아동 청소년 문제에 대한 예방적 접근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학교결석에 대한 체계적인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