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ental support

검색결과 339건 처리시간 0.03초

경제적 상실과 소득수준이 청소년의 교육성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conomic loss and Income levels on Adolescents' Educational Attainment)

  • 구인회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3권
    • /
    • pp.7-29
    • /
    • 2003
  •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경제적 상실과 소득 수준이 청소년 교육성취에 미치는 영양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부모의 실직과 소득상실은 청소년의 학력연수와 대학입학확률 양자와 부정적 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경제적 상실 영양의 대부분은 소득수준을 통제한 후에도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수준 또한 청소년의 교육성취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빈곤이 청소년의 교육성취에 미치는 영향력은 특히 크게 나타났다. 분석모형에 따라 일관되지 못한 모습을 보이지만 빈곤의 영향력과 경제적 상실의 영향력은 그 크기가 유사하다. 청소년 교육성취모형의 성별 추정 결과는 여자 청소년은 경제적 상실이나 소득 수준 모두에 민감하게 영향받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남자 청소년의 경우 부모 실직이나 소득 상실이 교육성취에 부정적 영양을 미친다는 증거는 발견되지 않은 반면, 소득수준과 빈곤은 교육성취에 영양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가족의 빈곤 여부에 관계없이 경제적 상실이 청소년의 교육성취에 부정적 영양을 미친다는 사실을 밝혀, 경제적 상실을 경험하는 가족에 대한 사회적 지원이 우리 사회의 미래를 짊어질 청소년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서도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본 연구의 발견은 경제적 상실과 빈곤을 동시에 경험하는 가족에 대안 집중적인 지원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 PDF

초등과학영재 어머니들의 자녀 진로에 대한 인식 분석 (An Analysis on Perception of Mothers about Career for Elementary Science-Gifted Children)

  • 권윤아;김효남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77-586
    • /
    • 2017
  • 이 연구의 목적은 개념도 연구법을 적용하여 초등과학영재 어머니들의 자녀 진로에 대한 인식을 구조화하는 것이다. 개념도 연구법은 참여자가 자유롭게 주제에 대해 말하고, 그 내용을 진술문으로 추출하여 직접 분류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 연구에 참여한 어머니들은 자녀가 초등학교 5, 6학년이며 과학영재교육대상자로 선발되었다. 다양한 영재 어머니들의 의견이 반영되도록 영재학급, 과학고 영재원, 대학부설 영재원 그룹의 어머니들을 따로 만나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26명을 섭외하여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주제에 대해 이야기 하며 50개 진술문을 추출하였고 그 가운데 10명을 다시 만나 무선화한 진술문 카드를 각자 분류하도록 하였다. 분류결과는 비유사성행렬로 변환하여 SPSS 다차원 척도분석과 군집분석을 하여 개념도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총 140명의 어머니들로부터 리커트 5점으로 진술문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영재 어머니들이 갖고 있는 자녀 진로에 대한 인식은 총 6개의 군집과 50개의 진술문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각의 군집명은 '사교육, 성적, 진학에 대한 부담감', '영재교육원 및 학교의 진로교육에 대한 생각', '자녀 진로교육에 관한 부모역할', '가정에서 겪는 진로지도의 어려움', '진로지도를 위한 부모역량강화 요구', '사회적 지원요구'이다. 군집별 공감 정도 평균은 '사회적 지원요구'가 가장 높았으며 '가정에서 겪는 진로지도의 어려움'과 '사교육, 성적, 진학에 대한 부담감' 군집은 낮은 편이었다. 이 연구결과를 통해 논의하고자하는 시사점은 영재 어머니들이 자녀 진로를 인식할 때 진학, 사교육, 성적이 큰 부담으로 자리 잡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부담은 진로교육에 대한 부정적 염려로 이어지고 있으므로 우려스러운 부분이다. 또한, 어머니들은 가정에서 진로지도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요구가 높았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지원 내용과 방법에 있어서는 개별화, 맞춤화된 방법과 문제해결능력 관련 부모역량을 강화하는 내용으로 이루어져야함을 시사한다. 또한 영재 진로지도를 위한 사회적 지원요구가 높으므로 이에 대한 적절한 지원방법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학업적 자아개념 및 교사와 부모의 학업적 지원이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력에 대한 종단적 분석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 of academic self-concept and academic support of teachers and parents on academic achievement in mathematics)

  • 김용석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1권1호
    • /
    • pp.127-156
    • /
    • 2022
  • 본 연구는 한국교육종단연구2013의 초등학교 6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학생 데이터들을 활용하여 수학 학업성취도의 종단적인 변화양상에 따른 학업적 자아개념 및 교사와 부모의 학업적 지원이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력을 종단적으로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그룹별 학업적 자아개념은 수학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와 부모의 학업적 지원은 학업적 자아개념을 매개로 하여 수학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업적 자아개념과 수학 수직척도점수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력은 부모의 학업적 지원 보다 교사의 학업적 지원이 더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점에 따른 교육적인 함의점을 논의하였다.

아버지의 역할수행에 관한 탐색적 연구 I : 아버지의 역할참여와 아동의 성역할 지향 (An Exploratory Study of Korean Fathering I : Paternal Involvement and Children's Sex Role Orientation)

  • 양장애
    • 아동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35-145
    • /
    • 1999
  • Little is know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fathers and their preadolescent children in Korea or about variations in fathering by SES and sex role orientation. The purpose of this exploratory research was to examine variation in contemporary Korean fathering (e.g., warmth of fathering, frequency of father involvement, and task share of father involvement) and its influence on children's sex role development. One hundred and twenty-nine fathers, mothers, and their 11-13-year-old children completed standardized survey questionnaires addressing their childrearing practices, parental role involvement, spousal support, and sex role orientations. Data were analyzed using MANOVAs, t-test, correlational analys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Mothers reported more warmth in parenting than did fathers. Regardless of sex of child middle class fathers reported more warmth than lower class fathers and lower frequency of task share than lower class fathers. Regardless of SES, fathers with working wives reported higher levels of task share of involvement relative to their spouse. Fathers who were more frequently involved with their children tended to receive greater support from their wives for paternal involvemen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arenting by sex of child nor was fathering associated with children's sex role orientation. Girls' femininity was related to fathers' masculinity. SES, maternal support, fathers' femininity, parents' education level, and maternal work status had predictive ability for the ecological view that fathering is a dynamic process predicted by person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contextual factors.

  • PDF

고위험 신생아 가족의 스트레스, 가족의미 및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Influencing Factors on Family Stress, Family Meaning and Family Adaptation in Families with High Risk Neonates)

  • 이정애;박인숙;문영숙;이남형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31-441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family stress, family meaning and family adaptation of families with high risk neonates. Method: The date was collected on the basis of self- report questionnaires (August 2004 to March 2005); Tow-hundred twelve parents, who had high risk neonates in C hospital's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participated on request. Results: Family sense of coherence, family meaning, social support, family stress, marital communication and patient condition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family adaptation. Family cohesion, religion, confidence in the health professional, and length of stay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family meaning.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consequences associated with high risk neonates may be alleviated by a family support intervention designed to improve parental communication skills as well as to maintain family cohesiveness. Medical care could also encourage more emotional support of parents towards their neonate.

중소기업 근로자의 일·생활 균형을 위한 가족친화경영 우수사례연구 (A Qualitative Case Study of Work-Family Balance at Fiv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 김선미;구혜령;강복정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4권2호
    • /
    • pp.23-48
    • /
    • 2020
  • This qualitative case study focuses on fiv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which have put family-friendly management into successful practice. Through in-depth unstructured interviews with five human resources managers and ten employees, we describe each firm's approach to work-life balance including working hour reductions, breaks, work flexibility, and parental leave to build an overall picture. We also discuss the four key factors of the CEO's role; democratic communication between all staff, the usefulness of family-friendly certification as a starting point; and governmental support for promoting work-life balance a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Finally, we suggest three political implications of governmental support, namely CEO education, changing the criteria of family-friendly certification to redefine working hours and work flexibility, and incentives specifically for small to medium-sized enterprises.

여성취업과 일·가정양립지원이 출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Women's Labour Force Participation and Work-Family Reconciliation Support on Fertility)

  • 한영선;이연숙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3권1호
    • /
    • pp.49-66
    • /
    • 2015
  •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women's labour force participation and work-family reconciliation support on life-cycle fertility in Korea. The analysis is based on the longitudinal data from Korean Labou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which include the available information on life-cycle fertility and employment history. Employing a dynamic model of fertility, we estimated the life-cycle fertility of all the 15-49 years old women considered in this study by using a duration model.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omen's labour force participation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first birth, second birth, and all births (transition to births starting at different parities). Women's employment tended to lengthen the interval between births. Second, the availability of maternal leav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first birth and all births for working women. Providing maternal leave to working women decreased the opportunity cost of childbearing and in turn, reduced the interbirth interval of women. However, the availability of parental leav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births of working women. Third, the financial support for childcar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first birth and all births. The economic support for childcare led to the reduction in the interbirth interval of women by increasing the probability of births. The use of a childcare center for the first child, which substitutes for the time that women needed to take care of their children, classified as time-intensive consumption goods, did not have any effect on the second birth. Fourth, the part-time employment of wome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cond birth. A flexible working time schedule tended to decrease the interval between the first and the second births.

노년기 부모자녀 결속 유형과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도시 농촌 간 지역 비교를 중심으로 (Types of Solidarity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nd Life Satisfaction of Old Adults: Focusing on comparison between urban and rural area)

  • 김명일;김순은
    • 한국노년학
    • /
    • 제39권1호
    • /
    • pp.145-167
    • /
    • 2019
  • 본 연구는 노인의 부모자녀 결속 관계 유형과 그 집단의 특성을 파악하고, 하위 집단별 유형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대학교 SSK 고령사회 연구단에서 실시한 '노인의 건강한 노화 및 웰다잉에 관한 연구'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총 2,072명의 자료를 도시와 농촌 지역의 노인 집단으로 구분 후 부모자녀 결속의 유형 분석을 위한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과, 각 하위 집단의 유형 계층이 노인의 삶의 만족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도시 노인과 농촌 노인의 부모자녀 결속 유형은 각각 3가지, 2가지 유형으로 유형화되었다. 각 부모자녀 결속 유형이 노인의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도시에 거주하는 노인의 경우에만 부모 자녀 결속 유형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농촌 거주 노인의 경우 부모 자녀의 결속 유형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자녀와의 결속 관계보다는 지역사회 사회응집력과 같은 이웃 및 지역 공동체의 접촉 및 친밀감과 관련한 요인이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쳤다. 이를 통하여 비혈연중심의 관계 형성의 영향을 예측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삶의 안녕과 만족 향상을 위한 실천적 개입방안 및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고졸검정고시를 준비하는 학교 밖 청소년들이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진로장벽의 관계 : 소외감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Career Barriers among Out-of school Adolescents preparing for Qualification Examination for High School Degree: Mediating Effects of Alienation)

  • 이정림;조영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90-102
    • /
    • 2017
  • 최근 들어 학교 밖 청소년들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의 진로문제가 중요한 청소년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졸검정고시를 준비하는 학교 밖 청소년들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사회적 지지의 유형 및 사회적 지지원 간의 관계를 밝히고, 이들의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소외감을 매개로 하여 진로장벽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전국 5개 권역의 청소년지원센터 꿈드림(학교 밖 청소년지원센터)과 검정고시 학원의 학교 밖 청소년 207명을 대상으로 사회적지지, 진로장벽, 소외감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또한 상관분석과 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활용하여 변인간의 관계와 소외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각된 사회적 지지는 진로장벽, 소외감과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었으며, 소외감과 진로장벽은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장벽과 소외감은 사회적지지 중에서도 부모의 지지와 평가적 지지와 가장 높은 부적상관을 보였다. 또한 소외감은 부모지지 및 교사 지지와 진로장벽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으며, 친구지지와 진로장벽 간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였다. 소외감은 정보적, 물질적, 평가적, 정서적 사회적 지지의 모든 유형과 진로장벽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다. 이는 고졸 검정고시를 준비하는 학교 밖 청소년들의 경우 부모 및 교사, 친구들이 제공하는 여러 유형의 사회적 지지를 향상하여 소외감을 낮춰줌으로써 진로장벽을 낮춰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유아교사의 문제행동지도 효능감에 대한 개인적 변인과 대인관계 변인의 영향 (Effects of Individual and Interpersonal Variable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 조영란;김희화;공유경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37-448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individual and interpersonal variables on early childhood teachers'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Individual variables consisted of teacher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experience of training course on problem behavior guidance and warm-hearted attitude. Interpersonal variables consisted of intimacy with colleagues, support from the principal of a kindergarten, parental partnerships. Subjects were 122 early childhood teachers in Busan.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with respect to teachers' age, teaching experience, position, marriage status, experience of training course on problem behavior guidance, warm-hearted attitude, intimacy with colleagues, and support from the principal of a kindergarten. In other words, a higher level of teachers'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was shown in the teachers who were older, highly experienced, or in higher positions. In addition, teachers who were married, had completed a training course on problem behavior guidance, had a higher warm-hearted attitude, had a intimacy with colleagues, or had a support from the principal of a kindergarten were found to have higher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As results of examining relative effects of individual and interpersonal variables on efficacy of problem behavior guidance, the influential variables are teaching experience, warm-hearted attitude, support from the principal of a kindergarten, and position in that ord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