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ental depression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27초

학업중단 청소년 우울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부모애착·또래애착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Depression on Self-Esteem Among School Dropout Adolescents: An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Parental Attachment of Peer Attachment)

  • 김년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343-350
    • /
    • 2021
  • 본 논문에서는 학업중단 청소년의 우울, 자아존중감, 부모애착, 또래애착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부모애착, 또래애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조사 5차년도(2017) 데이터를 활용하여 결측치를 제외한 학업중단 청소년 315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하였다. 자료는 SPSS WIN v21.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 매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업중단 청소년의 우울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부모애착, 또래애착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모애착, 또래애착은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대해서 정적으로 매개됨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부모애착, 또래애착을 향상시켜 자아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실천 및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유아의 성별 문제행동과 또래상호작용 및 부모 요인과의 관계: 아토피피부염 유아를 중심으로 (Relationships among Behavior Problem, Peer Interaction, and Parental Factors in Young Boys and Girls with Atopic Dermatitis)

  • 천희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19-39
    • /
    • 2016
  • The present study examined differences i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and peer interaction, and parental factors including self-esteem, depression and childrearing stress between atopic dermatitis(AD) and normal(non-AD) children in each gender, and analyzed the effects of the parental factors on the two variables of AD children. 165 AD and 1176 non-AD children of age 5 were selected from the 6th year data of the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 results from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re as follows. First, only AD boys showed a higher level of behavior problems than non-AD boys, but peer interaction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AD and non-AD groups. Compared with non-AD children's parents, mothers of AD children showed a higher stress level and mothers of AD boys had a higher depression level. Bu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maternal self-esteem and paternal factors between the groups. Second, AD boys' behavior problems were related to maternal factors and paternal stress, and some characteristics of AD girls' behavior problems were related with some parental variables. But peer interaction of AD children had no relation with parental factors. Third, behavior problems were influenced by maternal stress in AD boys and influenced by maternal depression and parental self-esteem in AD girls.

아동의 성별, 부모의 이혼 및 아동의 부모 양육행동 지각이 아동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ren's Gender, Parental Divorce, and Children's Perception of Parenting Behaviors o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 이순형;이옥경;민미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4권1호
    • /
    • pp.181-192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hildren's gender, parental divorce, and children's perception of parenting behaviors on children's behavior problems. The subjects were 80 children in divorced families(46boys and 34girls) and 74 children in non-divorced families (37boys and 37girls). They completed questionnaire assessing perception of parenting behaviors and their teacher rated K-CBCL(withdrawal, depression/anxiety, aggressio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ldren in non-divorced families perceived their parenting behavior more positively. Second, boys had more behavior problems such as depression/anxiety and aggression than girls. Third, children in divorced families had more behavior problems such as withdrawal, depression/anxiety, and aggression than children in non-divorced families. Fourth, children's withdrawal was affected by parental divorce and children's perception of parenting behaviors, and children's depression/ anxiety and aggression were affected by parental divorce and children's gender.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부모의 의사소통유형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dolescents'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nd Parental Communication Patterns on Suicidal Ideation)

  • 김정민;정하나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9권4호
    • /
    • pp.75-87
    • /
    • 2011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adolescents'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nd parental communication patterns on suicidal ideation. Participants were 520 first- and second- year high-school students in the Seoul and Gyeonggi areas. Questionnaires included items on suicidal ideation, irrational beliefs, depression, hopelessness, and parental communication patterns.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through a t-test,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for Win version 12.0.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1) Female adolescents had higher levels of irrational beliefs, depression, specific types of communication patterns from the father(placating) and suicidal ideation more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The male adolescents showed more communication patterns from the father(blaming) than their female counterparts. 2) Depression, irrational beliefs, mothers' communication patterns (blaming), gender and hopelessnes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adolescent suicidal ideation. 3) The adolescents' irrational beliefs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uicidal ideation and dysfunctional parental communication.

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부모의 사회적 지원, 어려움극복효능감, 스트레스 관리행동의 영향: 초, 중, 대학생 집단을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parental social support and resiliency of efficacy on stress, depression, and stress management behavior: Comparative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 김의철;박영신;김의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6권2호
    • /
    • pp.197-219
    • /
    • 2010
  • 이 연구는 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부모의 사회적 지원, 어려움극복효능감, 스트레스 관리행동의 영향을 분석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분석대상은 총 799명(남 386명, 여 413명)으로서, 초등학생 184명, 중학생 354명, 대학생 274명이었다. 측정도구는 간편형 로드아일랜드 스트레스 척도(Horiuchi, Tsuda, Tanaka, Yajima & Tsuda, in press), 스트레스 관리행동 척도(Evers, Prochaska, Johnson, Mauriello, Padula & Prochaska, 2006), 우울 척도(BDI-II, Beck, Steer & Brown, 1996; CES-D, Radloff, 1977), 어려움극복효능감 척도(Bandura, 1995), 부모의 사회적 지원 척도(김의철, 박영신, 1999)를 활용하였다. 경로분석 및 효과분석 결과, 어려움극복효능감이 높을수록 우울과 스트레스가 현저하게 낮았고, 스트레스 관리행동을 잘 하였다. 그러나 스트레스 관리행동은 스트레스에 영향이 없었다. 그리고 부모의 사회적 지원을 많이 받을수록 자녀의 어려움극복효능감이 높았다. 따라서 스트레스와 우울에 대한 어려움극복효능감의 직접효과와 부모 사회적 지원의 간접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초, 중, 대학생 집단 모두에서 일관되게 나타났다. 한편, 우울 측정도구를 BDI-II로 했을 때와 CES-D로 했을 때, 스트레스 관리행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은 다르게 나타남으로써, 다양한 우울 측정도구의 구인에 대한 검토가 요구된다.

  • PDF

장애아동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Stress and Depression Among Parents of Children with a Disability)

  • 이안나;박경아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411-41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 장애아동부모의 스트레스와 우울을 완화하기 위한 방법과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광주광역시 재활기관, 재활클리닉 및 복지관을 이용하는 장애아동부모 150명을 대상으로 양육스트레스, 우울, 사회적 지지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은 정적 상관관계,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사회적 지지와 우울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육스트레스는 우울을 예측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는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장애아동부모가 양육스트레스로 인하여 우울을 경험할 때 충분한 사회적 지지가 제공된다면 그들의 우울 수준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장애아동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우울을 감소시킬 수 있는 지역사회 스트레스 대처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공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남자 청소년의 우울과 섭식문제의 관계에서 지각된 부모 공감의 조절효과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parental empath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eating problems in male adolescents)

  • 최민정;강상현;손정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12호
    • /
    • pp.635-645
    • /
    • 2017
  • 본 연구는 남자 청소년의 섭식문제와 우울, 부모 공감의 관계를 알아보고 청소년의 섭식문제와 우울의 관계에서 부모 공감의 조절효과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K지역 소재 중, 고등학교 남학생 246명에 대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섭식문제와 우울간의 관계는 부모 공감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공감의 하위요인들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아버지의 경우 정서 지각, 냉담정서반응, 과민정서반응이 조절효과를 보였고, 어머니의 경우 정서지각, 관점수용, 냉담정서반응, 과민정서반응이 섭식문제와 우울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의 공감이 우울과 섭식문제의 관계에서 부정적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는 조절변인임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유아기 자녀를 둔 취업모의 양육스트레스 (Parental Stress of Working Mothers with 3-6 aged Children)

  • 박성옥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37-45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arental stress of working mothers with young children and to fine its rented variables. subjects were consisted of 108 working mothers who had children from 3 to 6 ages. The measurement instruments are the questionnaire which consisting the following parts; Parenting Daily Hassles, Employment Subjective Expected Utility, Beck Depression Inventory, Emotionality, Activity, Sociablity Temperament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al method based on frequency, percentile, t-test, F-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Parental stress of working mother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working mothers' negative attitudes for their occupations. 2. The higher working mothers' depression resulted in the higher working parental stress. 3.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hildren's difficult temperament and parental stress of working mothers. 4. The influential variables on parental stress of working mothers were mothers' attitude to her occupations and children's temperament.

  • PDF

부모양육태도와 우울 및 자살생각과의 관계: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 (Effects of Perceived Parental Attitude 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Focused on the Mediation Effect of School Adjustment)

  • 최은희;조택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152-162
    • /
    • 2016
  • 본 연구는 청소년이 지각하는 부모양육태도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검토하여 청소년의 우울과 자살생각을 완화할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조사대상은 충북의 청소년 중 자기기입식 조사에 응한 544명으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학생의 우울과 자살생각이 남학생보다 더 높았고, 성적이 높은 학생들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는 다른 집단에 비해 더 긍정적이었으며, 우울과 자살생각의 수준이 더 낮았고 학교생활적응수준이 더 높았다. 종교에 따라서는 종교가 있는 청소년들의 자살생각수준만이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는 남녀 모두의 우울과 자살생각을 유의하게 설명하였다. 셋째, 학교생활적응은 청소년의 우울과 자살생각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교한 개입을 위해 전문인력 확충, '학부모와 함께' 하는 예방프로그램 실시, 위센터, 위클래스 및 학교사회복지의 활성화가 요구된다.

지원 양육조모의 양육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대처, 양육 행동에 대한 연구 -주 양육모, 부분 양육모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The Study Of Parenting Stress, Social support, Coping, Parental behavior In Partial Caregiving-Grandmothers -Comparing with Caregiving-mothers-)

  • 이지연;김원경;정경미
    • 한국노년학
    • /
    • 제29권2호
    • /
    • pp.441-458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손자녀의 양육을 지원하는 지원 양육조모의 양육 스트레스와 그의 예언변수들을 탐색하고 이를 양육모집단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낮시간 동안 아동을 돌보는 할머니 152명(지원 양육조모)과 그 아동의 어머니 152명(부분 양육모), 낮시간 동안 아동을 돌보는 어머니 157명(주 양육모)의 양육스트레스, 우울, 양육행동, 스트레스 대처, 사회적 지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지원 양육조모는 주 양육모와 부분 양육모에 비해 유의하게 우울하였으나 양육 스트레스에서는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지원 양육조모는 주 양육모보다 사회적 지지와 문제 중심 대처 능력이 뚜렷이 낮아 스트레스에 가용한 자원이 취약함을 시사하였다. 양육스트레스를 설명하는 예언변수로 양육행동(과잉반응성, 방임성), 스트레스 대처(문제 중심 대처 및 정서 중심 대처), 사회적 지지, 우울의 설명량을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탐색하였다. 지원 양육조모의 양육 스트레스를 설명하는 변수는 과잉 반응성, 우울이었다. 주 양육모도 과잉반응성과 우울이 양육 스트레스의 유의한 예언 변수였고, 정서 중심 대처도 예언 변수로 나타났다. 한편, 부분 양육모는 사회적 지지, 우울, 과잉 반응성이 양육 스트레스의 유의한 예언 변수로 나타나 낮시간 양육 집단과는 차이를 보였다. 우울이나 자원의 측면에서 조모 집단과 모집단의 차이를 논의하고, 예언 변수를 중심으로 양육 집단과 비양육 집단의 차이, 조모 집단과 모집단 간의 차이에 대해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