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raquat

검색결과 313건 처리시간 0.028초

Paraquat에 의한 생쥐 폐의 Superoxide Dismutases와 Metallothionein의 유도능과 노화와의 관계 (Role of Inducibility of Superoxide Dismutases and Metallothionein of Mouse Lungs by Paraquat in Aging)

  • 이태범;박유환;최철희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0권5호
    • /
    • pp.579-590
    • /
    • 2001
  • 연구배경 : 노화란 반응성산소종에 의한 산화적 손상이 축적되어 세포의 기능의 저하로 초래된다고 주장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1, 4, 8, 12개월된 정상 생쥐의 폐에서 반응성 산소종 생성의 초기에 중요한 방어기전인 superoxide dismutases(SODs) mRNA와 hydroxy radical($OH{\cdot}$)에 의한 산화적 손상의 마지막 방어기전인 metallothionein(MT) mRNA의 함량과 paraquat에 의한 유도능을 조사하였다. 방 법 : 산화적손상은 세포내에서 superoxide을 생성하는 paraquat를 투여한 후 SODs와 MT mRNAs을 RT-PCR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결 과 : 정상생쥐의 폐의 노화과정에서 Mn-SOD와 Cu/Zn-SOD, 그리고 MT mRNA의 항정상태 함량을 조사한 결과, Mn-SOD mRNA는 8개월까지는 증가하다가 12개월에서 감소하였으나, Cu/Zn-SOD mRNA는 별 변화가 없었고 12개월에 감소하였다. 그러나 MT mRNA는 어느 연령에도 변화가 없었다. 산화성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paraquat에 의하여 Mn-SOD mRNA는 4개월 부터 유도되지 않았으며, Cu/Zn-SOD mRNA는 전혀 유도되지 않았다. MT mRNA는 관찰한 전 연령에서 유도되었다. 결 론 : 노화과정에서 SODs유도능의 이상이 노화의 원인 인자로 작용하고, 반면에 MT의 정상적인 유도능이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하여 방어 역할을 할 가능성을 시사해주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Mn-SOD, Cu/Zn-SOD, 및 MT의 발현과 유도능의 차이로 인하여 반응성 산소종에 의한 산화적 손상의 정도의 차이가 노화의 속도를 결정하는 하나의 인자로 작용할 가능성 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제초제에 의한 초지개량시험 II. Glyphsate 및 Paraquat의 사용량과 살포시기가 겉뿌림 초목의 정착 ,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Studies on the Pasture Improvement with Herbicides II. Effects of rate and timing of glyphosate and paraquat application on esatblishment, production and quality of surface-sown pasture species)

  • 김동암;권찬호;임상훈;한왕범;김영진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169-175
    • /
    • 1985
  • 본시험은 경운(耕耘)이 불가능한 산지(山地)를 경운(耕耘)을 하지 않고 초지화(草地化) 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方法)을 구명(究明)할 목적으로 1983-1984년 사이에 수행되었다. 시험구의 처리로서는 제초제(除草劑)를 살포하지 않은 무처리구와 Glyphosate 및 Paraquat의 다른 양(量)을 목초파종(牧草播種) 30일, 445일 및 60일전에 살포하는 구를 두었다. 오차드그라스의 정착율(定着率)은 제초제의 영향을 받지 않았으나 라디노클로비의 정착율은 Glyphosate 및 Paraquat 제초제처리의 영향을 받았다. Glyphosate 및 Paraquat 제초제를 목초(牧草)를 파종하기 $30{\sim}60$일전에 살포했을 때 토양잔여해독(土壤殘餘害毒)이 나타나지 않았다. 제초제를 처리한 구에서의 목초(牧草)의 건물수량(乾物收量)은 비살포구에 비하여 유의적(有意的)으로 높았으며 가장 목초(牧草)의 건물수량(乾物收量)이 높은 구는 파종전 45일째 ha당 1.8kg의 Glyphosate를 살포한 구였다. 제 3 회 수확시 Glyphosate 처리구의 관목(灌木) 및 야초(野草)의 식생비율(植生比率)은 5%였으나 무처리구에서는 51%까지 남아 있었으며 사초(飼草)의 조단백질함량(粗蛋白質含量) 및 IVDMD는 제초제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높았다. 본시험결과 Glyphosate제초제는 Paraquat 제초제에 비하여 관목(灌木) 및 야초제거(野草除去)에 더 효과가 있었으며 겉뿌림 초지개량시 Glyphosate제초제를 ha당 유효성분량으로 $1.8{\sim}2.8kg$을 겉뿌림 $30{\sim}45$일전에 살포하는 것이 목초(牧草)의 정착(定着)과 건물수량증가에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되었다.

  • PDF

제초제(除草劑)를 이용(利用)한 과수원(果樹園)의 잡초방제(雜草防除) 체계(體系) (Chemical Weed Control Systems in Orchard)

  • 변종영;이재창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3-56
    • /
    • 1982
  • 중부지방(中部地方)에서 제초제(除草劑)에 의한 과수원(果樹園)의 잡초방제(雜草防除) 체계(體系)를 확립(確立)하기 위하여 Paraquat 100g/10a와 Gly-phosate 120g/10a를 철포(撤布)한 다음, Oxyfluorfen47~117g/10a, Simazine 100, 200g/10 a, Alachlor 130 g/10 a, Paraquat 100g/10a와 Glyphosate 120g/10a를 처리(處理)하여 제초효과(除草効果)를 비교(比較) 검토(檢討)하였다. 1. 시험수행전(試驗遂行前) 5월(月)에 발생(發生)된 우점잡초(優占雜草)는 쑥, 메꽃, 다닥냉이와 망초이었고, 시험기간(試驗期間)인 6~8월(月)에는 바랭이가 우점화(優占化)되었다. 2. Glyphosate 120g/10a를 철포(撤布)하고 Oxyfluorfen 94g/10a 이상(以上)을 토양처리(土壤處理)하면 제초효과(除草効果)가 우수하여 잡초(雜草)의 발생본수(發生本數)와 생체중(生體重)이 현저히 감소(減少)되었다. 3. Paraquat 100g/10a를 철포(撤布)한 후 Oxyfluerfen 117g/10a를 토양처리(土壤處理)하거나 혹은 Glyphosate 120g/10a를 2회(回) 철포(撤布)한 경우에도 제초효과(除草効果)는 양호(良好)하였다.

  • PDF

광독립영양세포(光獨立營養細胞)를 이용(利用)한 새로운 제초제(除草劑) 선발법(選拔法) 확립(確立) II. 담배의 녹화(綠化) 배양(培養) 세포의 Paraquat 및 Diuron 에 대한 반응(反應) (Establishment of a New Herbicides Screening Method Using Photoautotrophic Cultured Cell II. The Responses of Chlorophyllous Cells to Paraquat and Diuron in Tabacco)

  • 서수경;김길웅;권순태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37-141
    • /
    • 1991
  • 녹화된 cal1us의 제초제 paraquat와 diuron에 대한 반응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LS 기본(基本) 배지(培地)에 sucrose 농도(濃度) 1.0%, NAA $10^{-5}$ M, BA $10^{-6}$ M을 첨가(添加)하여 paraquat를 처리(處理) 하였을때 농도(濃度)가 $10^{-6}$ M에 서 $10^{-4}$ M으로 증가(增加) 할수록 calli의 증식(增殖)이 억제(抑制)되고 엽록소(葉綠素) 함량(含量)이 감소(減少)되었다. $10^{-4}$ M에서는 완전(完全) 고사(枯死)하였으며 $CO_2$가 공급(供給)되는 조건(條件)에서 억제(抑制) 정도가 높았다. 제초제(除草劑) diuron 처리(處理) 시(時)에도 $10^{-6}$ M에서 $10^{-3}$M으로 농도(濃度)가 증가(增加) 할수록 callus 증식(增殖)이 억제(抑制)되었으며 sucrose농도(濃度) 2.0% 때 보다 1.0%에서 훨씬 높은 억제(抑制) 경향(傾向)을 보였다.

  • PDF

옻나무 목부로부터 분리한 Favonoids가 Paraquat 독성의 경감기전 검색 (Protective Mechanism of Flavonoids Isolated from Rhus Vernicifiua on the Paraquat Toxicity Reducing Agent and its Inhibition Mechanism)

  • 김정수;조희숙;강혜옥;한갑이;정민화;최종원
    • 생명과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775-781
    • /
    • 2003
  • 옻나무(Rhus verniciflua Stokes)로부터 제초제인 paraquat(PQ)의 독성 경감기전을 추구할 목적으로 ethylacetate 분획에서 분리한 fustin 및 sulfuretin을 실험동물에 투여하고서 혈액학적 변화 및 간장 중 활성산소에 미치는 영향 검토한 결과 혈액 생화학적 인자 분석을 종합해 보면 옻나무의 메탄을 엑스(250 mg/kg), 에틸아세테이트 엑스(250 mg/kg), fustin(10 mg/kg) 및 sulfuretin(10 mg/kg)을 2주간 각각 경구투여 하고서 PQ를 투여하므로서 PQ의 독성이 유의성 있게 억제되었다. in vivo에서 옻나무의 분획 및 성분의 투여는 혈액생화학적 검사에서 PQ에 의해 유도된 간독성 지표인 s-GPT, s-GOT치, 신장독성지표인 BUN, creatinine치 및 조직손상의 지표인 ALP, MDA치를 억제하였다 폐조직중의 MDA함량, ALP활성 및 collagen함량도 억제하였다. 이로써 옻나무에는 PQ의 폐독성 및 각 장기의 독성을 효과적으로 경감시켜 줄 수 있는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감두탕가미방(甘豆湯加味方)을 이용한 급성 파라콰트 중독후 급성 간염의 한방 치료 1예 (One Case of Gamdutanggamibang-treated Acute Hepatitis Caused by Acute Paraquat Poisoning)

  • 신선호;김동웅;최진영;서관수;조권일;신학수;한명아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45-250
    • /
    • 2001
  • Paraquat is one of the widely used herbicides. But it is fatal, if it is consumed by people. Paraquat poisoning causes acute renal failure, hepatic dysfunction, and progressive respiratory failure. There are no effective antidotes to paraquat. This report is about one case's treatment for acute hepatitis caused by paraquat. The patient was hospitalized in th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Wonkwang University Oriental Medical Hospital in Chonju. The patient received the following treatments while in an acute stage : Gamdutanggamibang(甘豆湯加味方), which consists of Radix glycyrrhizae(甘草), Semen mungo(綠豆), burned powder of Rhizoma rhei(大黃炒炭末), Succus phyllostachyos(竹瀝), chinese ink(墨汁) and fluid therapy. The patient received Sagunjatanggamibang(四君子湯加味方) while in a chronic stage. The patient improved faster with the above treatments than with the conventional treatment. We hope that this report will help widening the clinical range of oriental medicine, and improve systemic efforts in treating paraquat poisoning cases.

  • PDF

Saccharomyces cerevisiae에 대(對)한 제초제(除草劑) Paraquat의 증식(增殖)저해 작용(作用) 및 효모균체(酵母菌體)의 미세구조(微細構造)의 변화(變化) (Growth Inhibition and Ultra-Structural Changes of Saccharomyces cerevisiae by Paraquat)

  • 박영실;김미림;최경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4호
    • /
    • pp.359-365
    • /
    • 1986
  • 대수증식(代數增殖) 중기(中期)의 S. cerevisiae에 $2{\times}10^{-3}M$의 paraquat를 처리(處理)하여 균체(菌體) 증식(增殖), 균체(菌體)의 일반적(一般的)형태 및 미세구조(微細構造)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균체(菌體)의 증식(增殖)은 Paraquat 처리(處理) 후(後) 조해(阻害)되기 시작하여 처리(處理) 6시간(時間) 이후(以後) 완전(完全)히 조해(阻害)되었다. 이 기간동안 탁도(濁度)는 0. 1에서 3.6으로, 건물(乾物) 중량(中量) 1ml당 2.75mg으로부터 3.35mg으로, 총균수(總菌數)는 ml당2 $1.14{\times}10^8cell$로부터 $2.15{\times}10^8cell$로 증가(增加)되었으나 6시간(時間) 이상(以上) 처리시간(處理時間)이 길어짐에 따라 역(逆)으로 감소되었고 사균율(死菌率)은 초기의 0.28%로부터 6시간(時間)째에는 5%, 12시간(時間)째에는 72%로 계속 증가(增加)되었다. Paraquat 처리(處理)에 의하여 균체(菌體)의 크기가 균일(均一)치 못하게 되었으며 세포벽(細胞壁)의 두께가 $0.15{\mu}m$(대조구(對照區) $0.20{\mu}m$)로 얇아지는 반면에 외측(外側)의 전자(電子)밀도가 높아졌으며 12시간(時間) 이상(以上)의 처리(處理)에 의하여 원형질막(原形質膜) 및 mitochondria와 같은 내막구조(內膜構造)가 와해되었다.

  • PDF

대장균에서 Superoxide 라디칼에 의하여 유도되는 프로모터의 탐색 및 특성 분석 (The Screening and Characterization of Promoters Inducible by Superoxide Radical in Escherichia coli)

  • 고영상;노정혜
    • 미생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67-273
    • /
    • 1993
  • Escherichia coli 의 superoxide 라디칼 유도발현성 유전자의 탐색을 위하여 먼저 superoxide 라디칼에 의하여 발현이 유도되는 프로모터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햐여, 프로모터 탐색벡터인 pJAC4 를 이용하여 E. coli MG1655 균주로부터 프로모터 library 를 구성하였다. Ampicillin 농도구 배정판법을 이용하여 프로모터 세기가 다른 클론들을 구별하여 프로모터 세기가 약한 것부터 중간정도까지 383개의 클론을 선별하였다. 이들 프로모터 클론들의 superoxide 라디칼 유도발현성을 paraquat 를 첨가한 ampicilin 농도구배평판에서 조사하였다. 이중 3개의 클론이 paraquat 에 의하여 유도됨을 확인하였고, 유도배율은 1.4-4배 정도이었다. 이들 프로모터의 염기서열을 결정한 결과 기종의 database 에 등록되어 있는 E. coli 염기서열들과는 다른 새로운 유전자임을 알았다. 이들 프로모터에 대하여 primer 연장법과 SS1 뉴클리아제 분석을 총하여 전사개시 자리를 결정하였고, paraquat 처리시 mRNA 의 양이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특히 클론5의 경우는 두개의 전사개시 위치를 가지고 있으며, paraquat 처리시 상위 부분의 전사개시자리가 성택적으로 사용됨을 알 수 있었다. 프로모터 서열을 검색한 결과, RNA 중합효소($E\sigma^{70}$)에 의햐여 인지되는 -10과 -35부위를 가진 클론은 클론 5 뿐이었고, 나머지는 보존된 염기서열을 찾을 수 없었다. 이는 이들 프로모터들이 독특한 부류에 속하는 종류들로서, 새로운 전사조절인자를 요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 PDF

Paraquat 유도 페독성에 대한 Hydroxycinnamic Acid계 화합물의 독성 경감 효과 (III) (Scavenging Effects of Hydroxycinnamic Acids on Paraquat Induced Pulmonary Toxicity (III))

  • 최병기;오은정;정세영
    • Environmental 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 /
    • 제14권3호
    • /
    • pp.95-101
    • /
    • 1999
  • The scavenging effects of two hyaroxycinnamic acids such as caffeic acid and chlorogenic acid on paraquat induced pulmonary toxicity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are summerized as follows: 1. In the 5-lipoxygenase assay, caffeic acid and chlorogenic acid inhibited the enzyme activities whose inhibition concentration (IC$\_$50/) were 4.1 and 9.6 ${\mu}$M respectively. 2. To evalu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n mediator related to the mechanism of inflammation, ADP-induced platelet aggregation assay and histamine degranulation assay were used. Caffeic acid and chlorogenic acid inhibited on ADP-induced platelet aggregation and histamine release at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s. 3. Arachidonic acid-induced ear edema were inhibited by administration of caffeic acid and chlorogenic acid. 4. Cytologicad analysis of branchoalveolar lavage fluid (BALF) which was the useful tool for detection of an inflammatory response in the lungs of animals intoxicated with chemicals were used. Alveolar macrophages and neutrophils in BALF, as well as the protein content and the LDH activity in BALF supernatant increased by intoxication of paraquat, but decreased by administration of caffeic acid and chlorogenic acid. Therefore, two hydroxyeinnamic acids tested were the useful candidates for scavenger and antiinflammatory agents on paraquat induced pulmonary toxic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