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lmitate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3초

Neuroprotective Compounds Isolated from Lysimachia christinae

  • Gahee Ryu;Choong Je Ma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9권1호
    • /
    • pp.10-16
    • /
    • 2023
  • We previously reported that dried Lysimachia christinae whole plant extract exerted significant neuroprotective activity. In this study, we tried to isolate neuroprotective compounds of L. christinae. We evaluated the neuroprotective activity of the four fractions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and n-butanol fractions) of methanol extract. Among them, ethyl acetate and n-butanol fractions showed most potent neuroprotective activity against glutamate excitotoxicity. Nine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ethyl acetate and n-butanol fractions of L. christinae extract and identified as cynaroside (1), (3,4,5,6-tetrahydroxytetrahydro-2H-pyran-2-yl)methyl-3-hydroxy-2-octyldopentaconta-23,33-dienoate (2), androst-16-ene-3,6-diol (3), 2-hydroxy-24-propoxytetracos-4-enoic acid (4), 2-hydroxy-24-methoxytetracos-4-enoic acid (5), 12-(stearoyloxy)octadec-9-enoic acid (6), β-sitosterol (7), (E)-4-(3,4-dimethoxyphenyl)but-3-en-1-yl palmitate (8) and (1S,2S,3R,4R)-4-(((2S,3R,4R,5R,6S)-2-(((2R,3R,4S,5R,6R)-2-(3,4-dimethoxyphenethoxy)-3,5-dihydroxy-6-(hydroxymethyl) tetrahydro-2H-pyran-4-yl)oxy)-4,5-dihydroxy-6-methyltetrahydro-2H-pyran-3-yl)oxy)cyclohexane-1,2,3-triol (9) by spectroscopic data such as UV, IR, NMR, Mass spectroscopy. Their neuroprotective activity was evaluated by MTT assay. Cynaroside (1) and androst-16-ene-3,6-diol (3) had significant neuroprotective activity against glutamate-injured HT22 cells. The neuroprotective efficacy of cynaroside (1) and androst-16-ene-3,6-diol (3) was related to their anti-oxidative activity.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Eight Compounds in Lysimachia christinae by HPLC-DAD

  • Gahee Ryu;Choong Je Ma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8권4호
    • /
    • pp.187-193
    • /
    • 2022
  • Lysimachia christinae Hance was commonly used in Oriental medicine for treating the hepatitis virus, cholecystitis and cholagogic efficiency. According to the previous study, it possesses high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Simultaneous determination analytical method of isolated eight compounds, cynaroside (1), 2-(3,4-dimethoxyphenyl) ethyl O-α-L-arabinopyranosyl-(1→2)-O-[6-deoxy-α-L-mannopyranosyl-(1→3)] β-D-glucopyranoside (2), stearylester ricinoleic acid (3), (E)-4-(3,4-dimethoxyphenyl) but-3-en-1-yl palmitate (4), 2-hydroxy-24-methoxy-4-tetracosenoic acid (5), 2-hydroxy-24-propoxy-4-tetracosenoic acid (6), β-sitosterol (7), and androst-16-ene-3,6-diol (8) were established by using HPLC-DAD. This HPLC analysis was detected on a Dionex C18 column (5 ㎛, 120 Å, 4.6 mm × 150 mm) at 25℃. The mobile phase consisted of 0.1% trifluoroacetic acid and acetonitrile at a flow rate of 1 mL/min. Validation of the method was assessed by linearity, precision and accuracy test. Calibration curve was good at r2 > 0.9998. Limits of detection (LOD) ranged from 0.19 to 8.18 g/ml and Limits of quantification (LOQ) ranged from 0.19 to 24.80 g/ml. The relative standard deviations (RSD) values of precision test, intra- and inter- day, were less than 0.99% and 1.0%. The accuracy test results ranged from 98.81% to 106.49% and RSD values were less than 0.95%.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HPLC-DAD method was very reliable and accurate for the quantity analysis of eight compounds in L. christinae extract for quality control.

유산소 운동에서 운동강도가 흰쥐 골격근의 장쇄 지방산대사율과 지질관련 유전자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erobic Exercise Intensity on the Oxidation of the Long Chain Fatty Acid and the Expression of Lipid-related Genes in the Skeletal Muscle of Rats)

  • 권태동;김기훈
    • 운동영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51-57
    • /
    • 2009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gene expression related with lipid metabolism and long chain fatty acid oxidation rates in the skeletal muscle by exercise. Sprague-Dawley ra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control (CON: n=7), high-intensity (HI-EX: n=7) and low-intensity exercise (LI-EX; n=7) groups. Rats in LI-Ex group were forced to run on the treadmill at the speed of 10m/min for 60 min. On the other hand, rats in the HI-Ex group were forced to run on the treadmill slope 0 at the speed of 25 m/min for 60 min. The palmitate oxidation rate of the RG was increased immediately and 1 hr after exercise in the HI-Ex group, and the HI-Ex group was higher than in the LI-Ex group in RG and WG. Expression of PPARα of the RG in HI-Ex groups was increased compared with control immediately after exercise. FAT/CD36 expression were not shown any significant effect by exercise. AMPK expression of the RG in the HI-Ex group was significently increased immediately after exercise compared with control. The change in CPT-1 expression of the RG in the HI-Ex group showed a similar pattern to that AMPK. In the summary, the gene expression of PPARα, AMPK and CPT1 that was related lipid metabolism was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low-intensity exercise, but effected by high-intensity exercise. In conclusion, exercise intensity and amounts might be have very important role to regulate gene expression related with metabolism.

대마 뿌리 및 줄기 추출물의 포도당 흡수 개선 효과 및 기전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icacy and Mechanism of Improving Glucose Uptake of Cannabis Root and Stem Extracts)

  • 진혜린;유가람;김혁;조규형;김기현;임동우
    • 한방비만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51-59
    • /
    • 2023
  • Objectives: Despite the pharmacological potential of the roots and stems of hemp based on literatures, active research has not been conducted for a long time. Comparative experiments were conducted on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improvement of glucose uptake using Cannabis root and stem extracts. Methods: Antioxidant contents in Cannabis root and stem extracts were examined with total phenolic, tannin, flavonoid assay. Anti-inflammatory properties were tested in lipopolysaccharides-treated RAW264.7 cells. Efficacy of Cannabis root and stem extracts on glucose uptake was investigated using fluorescent glucose analog (2-NBDG) in palmitate-treated HepG2 cells. The mechanism of action on metabolism was examined by western blot. Result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icacy were greater in stem extracts, but improvements in glucose uptake performed under various conditions were found to be greater in root extracts. It is assumed that Cannabis root extracts exhibited an improvement in glucose uptake through mechanisms such as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ctivation, not depending on general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Conclusions: Further research is needed on the mechanisms and substances that exhibit the anti-diabetic effects of Cannabis roots and stems.

전기아연도금용 강판의 상온 탈지 조건 연구 (Study on the Room Temperature Degreasing Conditions of Steel Sheet for Electrogalvanizing)

  • 박태연;김채원;양수미;홍희준;최인철
    • 열처리공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6-22
    • /
    • 2024
  • The conventional degreasing process involves removing oil and contaminants at temperatures above 80℃, resulting in excessive energy consumption, increased process costs, and environmental issues. In this study, we aimed to find the optimal degreasing conditions for the pre-treatment process of electro-galvanizing cold-rolled steel sheets, conducted efficiently at room temperature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heating device. To achieve this, we developed a room temperature degreasing solution and a brush-type degreasing tool, aiming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and normalize the decrease in degreasing efficiency caused by temperature reduction. Alkaline degreasing solution were prepared using KOH, SiO2, NaOH, Na2CO3, and Sodium Lauryl Sulfate, with KOH and NaOH as the main components. To enhance the degreasing performance at room temperature, we manufactured additives including sodium oleate, sodium stearate, sodium palmitate, sodium lauryl sulfate, ammonium lauryl sulfate, silicone emulsion, and EDTA-Na. Room temperature additives were added to the alkaline degreasing solution in quantities ranging from 0.1 to 20 wt.%, and the uniformity of degreasing and the adhesion of the galvanized layer were evaluated through Dyne Test, T-bending Test, OM, SEM, and EDS analys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optimal degreasing solution composition consisted of NaOH (30 g/L), Na2CO3 (30 g/L), SLS (6 g/L), and room temperature additives (≤1 wt%).

Aeromonas hydrophila PL43이 생산하는 지질분해 효소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Lipolytic Enzyme Produced by Aeromonas hydrophila PL43)

  • 김용우;홍성욱;정건섭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30-139
    • /
    • 2016
  • 지렁이의 장내로부터 분리한 미생물 중에서 지질을 가수분해하는 활성이 높은 미생물을 선발하였으며, 동정하여 Aeromonas hydrophila PL43으로 명명하였다. A. hydrophila PL43이 생산하는 지질분해 효소의 정제는 황산암모늄 침전, DEAE-sepharose FF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Sepharose S-300HR 겔 크로마토그래피 단계로 수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정제한 지질분해 효소는 p-nitrophenyl butyrate (pNPB)를 기질로 사용했을 때, 84.5배로 정제되었고 효소 활성의 회수율은 3.7%이었다. p-nitrophenyl palmitate (pNPP)를 기질로 사용했을 때에는 56.6배로 정제되었고 효소 활성의 회수율은 2.5%이었다. SDS-PAGE를 수행한 결과, A. hydrophila PL43이 생산하는 지질분해효소의 분자량은 약 74 kDa으로 추정되었다. 지질분해 효소의 pH에 대한 영향은 pNPB와 pNPP 기질에서 pH 8.0에서 최대활성이 보였고 pH 7.0−10.0에서 안정하였다. pNPB를 기질로 사용한 경우에는 50℃에서 pNPP를 기질로 사용한 경우는 60℃에서 최대 활성을 나타냈으며, 정제한 지질분해 효소는 20−60℃에서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정제한 지질분해효소는 금속이온 Co2+, Cu2+, Fe2+에 의해서 효소활성이 억제되었으며, EDTA의 metal chelating에 의해 활성이 회복되었다. Inhibitor에 의한 저해는 효소 활성부위의 serine 잔기와 결합하여 효소 활성을 억제하는 PMSF에서 가장 우수하였으며 효소 활성부위의 aspatyl 잔기에 결합하여 효소활성을 억제하는 pepstatin A는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효소활성을 저해하였다. 따라서 정제한 지질분해 효소는 활성부위에 serine 잔기와 aspartyl 잔기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정제한 지질분해 효소의 Km 값과 Vmax 값은 pNPB를 기질로 사용 했을 때 Km 값과 Vmax 값은 1.07 mM과 7.27 mM/min이고, 기질이 pNPP일 때 Km 값과 Vmax 값은 1.43 mM 과 2.72 mM/min이었다.

매실 과육성분의 분석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Fruit Flesh of Prunus mume Siebold & Zuccarni.)

  • 이오규;이학주;신유수;안윤경;조현진;신현철;강하영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43-147
    • /
    • 2007
  • 남고 (Prunus mume 'Nanko'), 청축 (Prunus mume 'Viridicalyx'), 매향 (Prunus mume 'Baigo'), 갑주최소 (Prunus mume var, microcarpa 'Koshusaisho') 등 네 종류의 미성숙 매실과육의 Ethyl acetate 추출 성분을 GC/MS-SIM 방법을 사용하여 정량분석 및 비교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10종의 표준시약으로 도출된 정량식에 따른 분석의 결과, 매실 품종에 따라 함유성분 및 함유량의 차이를 볼 수 있었다. 이들 성분 중, Maleic anhydride, Citaconic anhydride, 5-Hydroxymethylfur-fural, Vanillin, Linoleic acid, Ethyl linoleate, 그리고 Squalene은 위의 네 종의 매실에서 모두 측정되었다. Palmitic acid는 갑주최소, Isopropyl palmitate는 매향과 갑주최소, Stearic acid는 남고, 청축, 갑주최소에서만 측정되었다. 각 성분의 함량에 있어서는 많은 차이를 보였다. Maleic anhydride의 경우, 매향, 남고, 갑주최소, 청축에서 각각 245.4, 153.6, 20.1, 2.7ppm이 측정되었다. Citraconic anhydride는 매향, 남고, 갑주최소, 청축에서 각각 637.4, 543.1, 150.7, 38.7 ppm이 측정되었으며, Stearic acid는 갑주최소, 청축, 남고에서 105.5, 64.4, 32.3 ppm의 순으로 측정되었다. Squalene은 갑주최소, 매향, 남고, 청축에서 각각 7.6, 1.7, 1.0, 0.5ppm 씩 측정되었고 나머지 미량성분들 또한 매실 종간의 성분 함량 차이가 측정되었다. 정량분석의 특성 상, 본 연구에서의 분석 대상 성분 수는 시판되고 있는 표준품의 수에 따라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그 제한된 성분 종류 간에도 함유량의 차가 큰 것으로 볼 때 측정된 성분 이외의 성분에 대한 함량 또한 다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위해서는, 보다 많은 종류의 표준품을 확보하여 좀 더 다양한 성분의 정량분석이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밑술 담금 방법을 달리한 탁주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akju by different method of rice pre-treated)

  • 이대형;서재순;신복음;이용선;조창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5호
    • /
    • pp.640-647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쌀 전처리 방법인 고두밥, 범벅, 죽으로 만드는 밑술 및 덧술의 발효 유형을 분석하여 품질이 향상된 다양한 탁주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밑술의 경우 알코올은 2일 후 고두밥에서 가장 높은 8.1%가 생성되었으며 다음으로 범벅, 죽 순이었다. 가용성 고형분(°Brix)는 발효 2일차에 죽, 고두밥, 범벅 순으로 15.3, 15.1, 1.4°Brix를 나타내었다. 고두밥의 glucose의 함량은 크게 변하지 않았으나 maltose 함량은 증가하였고 범벅의 경우 초기 0일차에는 maltose가 16.48 mg/mL에서 1.27 mg/mL로 감소하였다. 죽의 경우 0일에는 glucose와 maltose가 14.05, 11.49 mg/mL에서 2일차에는 31.39, 42.53 mg/mL로 증가하였다. 고두밥과 범벅 밑술에서 succinic acid가 증가하였으며 고두밥과 죽 밑술은 발효 초기에 검출이 안되었던 lactic acid가 분석된 반면 범벅 밑술에서는 lactic acid가 검출되지 않았다. 덧술 발효에서는 고두밥 밑술로 만든 탁주의 알코올이 9일에 18.0%로 가장 높았으며 범벅이 15.1%로 가장 낮았다. 산도는 범벅이 0.54%로 높았으며 죽은 0.41%, 고두밥은 0.39%를 나타내었다. 범벅의 총 유기산 증가가 가장 많았으며 고두밥의 총 유기산 증가가 가장 적었다. 향기에서는 고두밥의 경우 0일차에 높은 area %를 가졌던 ethyl caprate 및 ethyl caprylate가 9일 발효 완료시 감소하였으며 바나나향이 나는 isoamyl alcohol은 증가하였다. 죽의 경우도 유사하게 0일차에 높게 생성되었던 ethyl caprate, ethyl caprylate 등은 9일차에 감소하였으며 ethyl palmitate, ethyl linoleate 등의 향기 성분은 증가하였다.

장수풍뎅이 유충 추출물이 고지방산 처리 골격근세포의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llomyrina dichotoma larval extract on palmitate-induced insulin resistance in skeletal muscle cells)

  • 김경;심미성;곽민규;장세은;오윤신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5권4호
    • /
    • pp.462-475
    • /
    • 2022
  • 본 연구는 팔미트산으로 인슐린 저항성을 유도한 C2C12 근육세포주에서 ADLE의 인슐린 저항성개선효과를조사하고이에대한조절기전을확인하고자하였다. C2C12 근육세포주에 ADLE를 처리 시, AMPK의 활성화를 통해 포도당흡수 (glucose uptake)가 증가되었으며, 이는 미토콘드리아-매개 에너지 생합성 조절단백질인 PGC1α, UCP3, CS 활성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지방산 합성인자인 ACC, FAS, SREBP-1의 발현을 억제함을 알 수 있었다. 세포주에서 확인된 결과들을 고지방식이 유도 당뇨마우스의 근육조직에서 조사한 결과, 고지방식이와 ADLE를 동시에 처리한 그룹에서 AMPK 활성화, GLUT4 발현증가와 미토콘드리아 에너지 대사증가, 지방산 합성 감소효과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들로, ADLE가 근육 내 에너지 대사 관련 경로의 상위유전자인 AMPK를 활성화하여 GLUT4의 세포막 이동을 증진시켜 당대사 조절에 관여하는 것을 관찰하였으며, AMPK의 인산화 증가는 PGC1α의 활성화에 관여하고, 이를 통해 열 발산 대사와 관련된 UCP3의 증가 및 CS 활성을 증가시키고, 지방산 합성 관련 유전자 발현을 억제시킴을 알 수 있었다. 본 결과로부터 ADLE는 대사증후군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이는 근육세포에서의 AMPK의 활성화를 통한 에너지생성기전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ADLE는 비만, 당뇨 등의 다양한 부작용을 가진 약제와는 다른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고 있어 인슐린 저항성 및 제2형 당뇨병 치료를 위한 기능성 식품 소재로의 활용 가능성도 충분히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방산 에스테르와 티타늄다이옥사이드의 복합화를 통한 내수성과 피부 밀착력 개선 (Increased Water Resistance and Adhesion Force to Skin through the Hybrid of Fatty Acid Ester and Titanium Dioxide)

  • 홍지연;박치제;김용우;한상근;계성봉;노호식;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47-258
    • /
    • 2023
  • 본 연구는 덱스트린팔미테이트와 아이소프로필티타늄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코팅 기재를 티타늄다이이옥사이드에 복합화하여 내수성 향상과 피부와의 밀착력 개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야외 활동을 즐기는 소비자의 증가로 내수성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제에 대한 수요가 늘고 있다. O/W, 피커링, W/O/W 멀티플 제형으로 선행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내수성에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내수성 향상 및 피부와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는 복합 무기 분체를 개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우선 덱스트린팔미테이트와 아이소프로필티타늄트라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 코팅 기재를 이용하여 티타늄다이옥사이드를 복합화시켰다. 무기 분체의 코팅은 FE-SEM과 FT-I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복합체의 in vitro내수성은 월등히 높았다. 코팅된 무기 분체의 소수성은 접촉각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코팅된 무기 분체를 W/O 선크림 제형에 적용하고 대조군으로 코팅되지 않은 무기 분체를 W/O 선크림 제형에 적용했을 때 코팅된 무기 분체가 들어있는 선크림의 SPF가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UV 카메라로 관찰했을 때도 같은 결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코팅된 무기 분체의 피부 밀착력은 파운데이션 제품에 적용하여 확인하였다. In vivo연구에서 코팅되지 않은 무기 분체를 사용한 파운데이션 제품보다도 코팅된 무기 분체를 적용한 제품에서 묻어남이 적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무기 분체는 피부와의 밀착력이 우수한 사용감과 소수성이 향상된 뛰어난 내수성 효과를 보여주었다. 향후 본 연구는 내수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자외선 차단제 제품 개발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