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clobutrazol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31초

$GA_3$와 GA 생합성 억제제 처리가 수도의 절간신장 및 수의 발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pplied $GA_3$ and Paclobutrazol, an Inhibitor of GA Biosynthesis, on the Growth of Internodes and Panicle of the Rice Plants)

  • Kee Kyeung, Kang;Yong Woong, Kwon;Chang Yung, Yoo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71-480
    • /
    • 1985
  • 수도품종의 GA$_3$에 대한 절간신장반응을 지베렐린 생합성 저해제인 Paclobutrazol과 관련시켜 평가하여 효과적으로 벼의 절간신장을 조절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진흥, 미네히까리, 한강찰벼를 공시하여 생육시기별(최고분얼기, 유수형성기 및 감수분열기)로 GA$_3$는 0, 20, 50, 100ppm 용액을 엽면살포하였고, Paclobutrazol은 10a당 성분량으로 0, 10, 20, 30 g을 각각 토양에 처리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GA$_3$는 최고분얼기와 유수형성기에 처리하였을때, 제 5절간 이하의 신장을 촉진하였으며, 감수분열기에 처리하였을 때는 제 3절간의 신장을 현저히 촉진하였다. 2. GA$_3$는 100ppm 용액을 처리하였을 때 진흥에서는 최고분얼기에, 미네히까리는 유수형성기에, 한강찰은 감수분열기에 처리하였을 때 간장은 대조구에 비해 각각 15.6, 15.9, 44.1%로 신장이 촉진되었으며, 한강찰이 GA$_3$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3. Paclobutrazol은 최고분얼기와 유수형성기에 처리하였을 때 제4, 5절간의 신장을 억제하였으며, 감수분열기에 처리하였을 때는 제 2,3절간, 특히 제 3절간의 신장을 현저히 억제하였다. 4. Paclobutrazol은 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간의 신장이 억제되었으며, 감수분열기에 처리할 때 가장 억제되어, 대조구에 비해 진흥은 25.3%, 미네히까리는 22.8%, 한강찰은 13.9%정도 간장이 단축되었고, 한강찰이 Paclobutrazol에 가장 둔감한 반응을 나타냈다. 5. Paclobutragol은 주내 모든 이삭들의 간장을 고르게 감소시켜 주내 간장의 변이는 대조구와 거의 차이가 없었다. 6. 감수분열기에 GA$_3$를 처리하면 세 품종 모두에서 다소 수장이 길어지나, GA$_3$를 100ppm의 고농도로 감수분열기 이전에 처리하면 진흥과 미네히까리 품종에서만 수장이 짧아졌다. 7. Paclobutrazol을 유수분화기 이후에 처리하면 수장은 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짧아지는 경향이었다. 8. GA$_3$나 Paclobutrazol을 처리하였을 때 간장과 수장과의 상관관계는 Paclobutrazol을 진흥과 미네히까리에 처리한 경우에만 고도의 정의 상관관계를 인정할 수 있었다. 9. 수당 영화수는 GA$_3$를 최고분얼기에 처리한 경우, 진흥과 미네히까리에서만 감소되었으나 한강찰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Paclobutrazol 처리에 의해서는 최고분얼기나 유수분화기에 처리하면 수당 영화수가 감소하였으나 감수분열기에 처리하면 수당 영화수가 변하지 않았다.

  • PDF

생장조정제(生長調整劑) 처리(處理)가 수도생육(水稻生育) 및 도복관련(倒伏關聯) 형질(形質)에 미치는 효과(效果) (Effects of Plant Growth Retardants on the Growth and Characters Related with Lodging in Rice)

  • 강충길;류갑희;이경휘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31-38
    • /
    • 1992
  • 생장조정제(生長調整劑) 처리(處理)가 수도(水稻)의 생육(生育) 및 도복관련형질(倒伏關聯形質)에 미치는 효과(效果)를 시험(試險)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Inabenfide, paclobutrazol, uniconazole 세 약제(藥劑) 모두 초장(草長) 억제효과(抑制效果)가 있었으며 약량(藥量)이 많을수록 억제효과(抑制效果)가 컸고, inabenfide는 출수전(出穗前) 30 일(日), paclobutrazol과 uniconazole은 출수전(出穗前) 20일(日) 처리(處理)에서 가장 억제(抑制)되었다. 2. Inabenfide는 하위절간(下位絶間)인 제(第) 4절간(絶間)은 억제(抑制)시킨데 비(比)하여 paclobutrazol과 uniconazole은 상위절간(上位絶間)인 제(第)3, 2 절간(絶間)을 각각(各各) 크게 억제(抑制)시켰다. 3. 약제처리(藥劑處理)에 의(依)한 간벽(稈壁)두께는 무처리(無處理)보다 전반적(全般的)으로 두꺼워지는 경향(傾向)이었으나 처리시기별(處理時期別) 약량별(藥量別) 일정(藥量別)한 차이(差異)는 보이지 않았다. 4. 출수기(出穗期)는 inabenfide 처리시(處理時) 무처리(無處理)와 동일(同一)하였으나 paclobutrazol과 uniconazol 처리시(處理時) 1~2일(日) 정도(程度) 지연(遲延)되었다. 5. 도복지수(倒伏指數)는 inabenfide의 경우(境遇) 출수전(出穗前) 30 일(日), 10a당(當) 성분량(成分量)으로 160g 처리시(處理時) 가장 낮은 지수(指數)를 보였으며 paclobutrazol과 uniconazale은 출수전(出穗前) 15일(日)에 10a당各(當) 각(各)12g, 1.2g 처리시(處理時) 가장 낮은 지수(指數)를 보였다. 6. 전약제(全藥劑) 처리구(處理區)에서 도복(倒伏)이 되지 않았던 반면(反面) 무처리구(無處理區)에서는 완전(完全)히 도복(倒伏)되었다. 7. 수량(收量)은 도복(倒伏)이 경감(輕減)되므로서 10~12%의 감수(減收)가 억제(抑制)되었다. 8. 결론적(結論的)으로 inabenfide는 출수전(出穗前) 40~30일(日)에 10a당(當) 성분량(成分量)으로 120~160g, paclobutrazol과 uniconazole은 출수전(出穗前) 15일(日)에 각각(各各) 12g, 1.2g을 처리(處理)하는 것이 가장 적당(適當)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Ebb and Flow 시스템에서 적심시기와 생장조절제 처리에 의한 산호수의 생장조절 (Effect of Pinching Time and Plant Growth Retardants on Growth Control of Ardisia pusilla in an Ebb and Flow System)

  • 원은정;박지은;박유경;정병룡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33-340
    • /
    • 2011
  • 순환식 저면관수 시스템에서 분화 산호수 민무늬종과 무늬종에 적합한 효과적인 생장조절제를 선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산호수를 피트모스와 펄라이트를 1 : 1(v/v)로 혼합한 배양토를 사용하여 직경 10cm 플라스틱분에 2005년 6월 30일 정식하였다. 정식 후 2005년 9월 23일까지 순환식 저면관수 시스템 베드에서 재배하였다. 생장조절제는 Daminozide(B-9) 50, 200, 350, $500mg{\cdot}L^{-1}$, paclobutrazol(Boundy) 10, 40, 70, $100mg{\cdot}L^{-1}$, ethephon(Florel) 5, 15, 25, $35mg{\cdot}L^{-1}$, 그리고 uniconazole(Sumagic) 1, 4, 7, $10mg{\cdot}L^{-1}$을 사용하였다. 생장조절제를 양액에 혼합하여 매관수시마다 화분의 하단에서 2cm 높이까지 담수하여 15~20분간 공급하였다. 관수 후 잉여양액은 다시 탱크로 회수하여 다음 관수시 재사용하였으며, 전량 사용할때까지 교체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두 품종 모두에서 paclobutrazol 처리시 생장억제효과가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다. 2차 적심과 함께 paclobutrazol을 처리하였을 때 신초의 생장이 강하게 억제되었다. $200mg{\cdot}L^{-1}$이상의 daminozide는 신초장을 감소시켰으며 ethephon 처리는 효과가 없었다. 생장조절제의 저농도에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paclobutrazol의 왜화 효과가 가장 현저하였다.

순환식 저면관수 시스템을 이용한 스파티필럼의 생장조절제 선발과 처리효과 (Selection and Treatment Effect of Plant Growth Retardants on Potted Spathiphyllum Grown in a Recirculating Subirrigation System)

  • 원은정;박유경;정병룡
    • 화훼연구
    • /
    • 제19권2호
    • /
    • pp.81-88
    • /
    • 2011
  • 스파티필럼(Spathiphyllum) 'Top-Pin'과 'Mini' 두 품종에 생장억제제를 순환식 저면관수 시스템의 양액에 용해시켜 처리할 경우 생장억제제의 종류와 농도에 따른 생장 특성을 비교하였다. 스파티필럼을 피트모스와 펄라이트를 1 : 1(v/v)로 혼합한 배양토를 사용히여 직경 10 cm 플라스틱분에 2005년 6월 30일 정식하였다. 정식 후 2005년 9월 23일까지 순환식 저면관수 시스템 베드에서 재배하였다. Daminozide(B-9) 50, 200, 350, $500mg{\cdot}L^{-1}$, paclobutrazol(Boundy) 10, 40, 70, $100mg{\cdot}L^{-1}$, ethephon(Florel) 5, 15, 25, $35mg{\cdot}L^{-1}$, 그리고 uniconazole(Sumagic) 1, 4, 7, $10mg{\cdot}L^{-1}$을 양액에 혼합하여 매 관수시마다 양액탱크에서 펌프로 베드 위 화분의 밑바닥에서 2cm 높이까지 담수하여 15-20분간 공급하였다. 관수 후 잉여양액은 다시 탱크로 회수하여 다음 관수시 재사용하였다. 두 품종 모두에서 paclobutrazol 처리시 생장억제효과가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다. Paclobutrazol 처리에서 농도의 증가와 함께 엽장과 지상부의 생체중과 건물중이 감소하였고 엽록소 함량은 증가하였다. $200mg{\cdot}L^{-1}$ 이상의 daminozide 처리에서는 왜화효과가 약하게 나타났다. Ethephon 처리는 $35mg{\cdot}L^{-1}$에서 엽장이 가장 작았고, 엽록소 함량은 최대였다. Uniconazole의 경우 엽장, 엽폭, 그리고 엽병장은 $1mg{\cdot}L^{-1}$ 처리에서 대조구에 비해 생장촉진 효과가 나타났으며 4, 7, $10mg{\cdot}L^{-1}$ 처리는 대조구와 유사한 생장을 보였다. 생장억제제의 저농도에서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paclobutrazol의 왜화 효과가 가장 현저하였다. 'Top-Pin'과 'Mini' 품종 모두 ethephon과 paclobutrazol 처리는 생장 억제 효과를 보였고 daminozide와 uniconazole 처리에서는 뚜렷한 생장 억제 효과가 없었다. 따라서 스파티필럼의 생육 억제를 위해서는 본 연구를 통해 선발된 약제를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Paclobutrazol 처리가 Perennial Ryegrass의 생육 및 고온과 건조 Stress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aclobutrazol on Growth, and High Temperature and Drought Stress in Perennial Ryegrass)

  • 김태일;구자형;원동찬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4-33
    • /
    • 198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clobutrazol [(2 RS , 3 RS )1-(4- chlor-ophenyl )-4, 4- dimethyl -2- (1, 2, 4- triazol -1- yl )- pentan -3-01] on the tolerance of hi-gh temperature and drought stress as related to growth retardation , iranspiration rate , soil water content , nitrogen level and photosynthetic rate in perennial ryegrass ( Loliurn perenne L . ' Omega H , ). Plants were given a 30 ml soil drench of paclohutrazol at the concentrations of 0, 0.01, 0.1, 1.0, 10.. 0, mg / 6 .5cm- diameter pot . The rcsults were as follows : 1.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paclohutrazul reduced plant height , leaf area , fresh weight and dry weight , hut increased chlorophyll content per unit area . The number of tillers and leaf width were not affected hy the paclobutrazol concentrations . 2. The proper concentration of paclohatrazol on growth retardation in perennial ryegrass was about I mq /pot , hut leaf deformity and severe growth retardation were shown at high concentration of 10 mq / pot . 3. Perennial ryegrasses grown at 30˚C were shown significantly short plant height and low leaf nitrogen level compared with those grown at 20˚C.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paclohutrazol at 20˚C increased nitrogen level hut it could not increase nitrogen level at 30˚C . 4. During the drought stress , increasing temperatures significantly promoted transpiration rate and wilting time . It took about 5 days at 20˚C and 3 days at 30˚C to reach wilting time of leaves from water stress treatment . Soil water contents at wilting time of non-treated controls were averaged 6. 871% at 20˚C and 6. 17% at 30˚C 5. Paclohutrazol reduced transpiration rate at high temperature and drought stress . Wilting appeared at the lower water content of soil according to increasing concentrations of paclobutrazol at 30˚C hut there were no differences among concentrations of at 20˚C. 6.Paclohutrazol treatment at 1 rag /pot reduced injury rate of leaves from 67.1 % and 100 % in control plants to 15.7% and 80% at 20˚C and 3010, respectively. 7. Photosynthetic rate per unit area was significantly reduced at high temperature . Paclohutrazol stimulated photosynthetic rate with increase of concentrations at 20˚C but there was no increasing effect at 30˚C.

  • PDF

생장억제제 처리가 기내 배양한 나도풍란 (Sedirea japonica) 유묘의 ABA 유사물질 함량 및 GA 유사물질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owth Retardants on Endogenous ABA-like Substance Content and GA-like Substance Activity of Sedirea japonica Seedlings Cultured In Vitro)

  • 조동훈;지선옥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2권2호
    • /
    • pp.139-144
    • /
    • 2005
  • 본 연구는 기내 배양한 나도 풍란에 식물생장억제제인 Uniconazole, Ancymidol, Paclobutrazol의 종류별, 농도별 처리가 식물체내 내생 GA 유사물질의 활성 및 ABA 유사물질의 함량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지상부인 잎에서는 Uniconazole 0.05 mg/L, Ancymidol 0.1 mg/L, Paclobutrazol 0.3 mg/L 처리 시 ABA 유사물질의 함량은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GA유사물질의 활성은 대조구 보다 높거나 비슷한 수준이었다. 하지만 처리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ABA 유사물질의 농도는 높아졌으나, GA 유사물질의 활성은 비교적 억제되었다. 지하부인 뿌리에서는 Uniconazole 0.05, 0.2mg/L, Ancymidol 0.2 mg/L, Paclobutrazol 0.1 mg/L 처리에서 ABA 유사물질의 함량이 대조구보다 낮았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높았다. GA 유사물질의 활성은 비교적 저 농도에서는 높았으나, 고농도 처리에서는 저 농도와 비교하여 활성이 억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