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PCK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18초

ePCK와 pPCK 간 지식 교환을 통한 초등교사의 pPCK 변화 탐색 -모델링 기반 과학 탐구 수업 사례- (Exploring Elementary Teachers' pPCK Change through the Knowledge Exchange between ePCK and pPCK: The Case of Modeling-based Science Inquiry Instruction)

  • 김현주;임채성;이기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4권5호
    • /
    • pp.361-378
    • /
    • 2024
  • 이 연구는 모델링 기반 과학 탐구 수업 실행 과정에서 ePCK(실행된 PCK)와 pPCK(개인적 PCK) 간 지식 교환을 통해 초등교사의 pPCK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교사 3인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한 뒤 연구참여자가 수업 실행 전⋅후로 두 차례 작성한 CoRe(내용 표상)를 질적 내용 분석하여 pPCK 변화를 포착하고, 연구참여자들이 실행한 모델링 기반 과학 탐구 수업 관련 자료(교수 학습 과정안, 수업 영상, 심층 면담 등)를 근거 이론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모델링 기반 과학 탐구 수업 실행 과정에서 ePCK와 pPCK 간 지식 교환으로 초등교사의 pPCK는 교육과정 지식, 학생에 대한 지식, 교수적 지식, 평가 지식 측면에서 변화하였다. 또한 모델링 기반 과학 탐구 수업을 실행한 교사들의 pPCK 변화에는 수업을 계획하고(ePCKP) 수행하며(ePCKT) 성찰하는(ePCKR) ePCK와 pPCK 간 지식 교환이 영향을 미쳤음을 수업 관련 자료 분석을 통해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초등교사의 PCK 영역 간 지식 교환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요인 규명의 필요성과 효과적인 모델링 기반 과학 탐구 수업 방식 개발의 필요성 등을 제언하였다.

개선된 합의 모델(RCM)의 지식 교환을 통한 초등교사의 모델링 pPCK 변화 탐색 (Exploring the Changes in Elementary Teachers' Modeling pPCK for Science Modeling Instructions Through Knowledge Exchange of the Refined Consensus Model)

  • 김현주;임채성;이기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05-117
    • /
    • 2024
  • 본 연구는 개선된 합의 모델(RCM)의 세 가지 PCK 영역 간 지식 교환을 통해 초등교사의 모델링 pPCK(개인적 PCK)가 어떻게 변화되는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교사 3인을 대상으로 한 전문적 학습공동체(PLC)에서 과학 모델링 수업에 관한 지식 교환이 이루어지도록 촉진한 뒤, 연구참여자가 두 차례 작성한 CoRe(내용 표상)를 분석하여 모델링 pPCK 변화 양상을 탐색하였다. 또한 PLC에서 연구참여자들이 나눈 담화, 심층 면담 자료를 근거 이론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지식 교환으로 인해 초등교사의 모델링 pPCK 중 교육과정 지식에 있어서는 두드러진 변화가 없었으나 과학 교수 지향, 학생 이해에 대한 지식, 과학 수업 전략 지식 및 과학 평가에 대한 지식에 변화가 있었다. 또한 PLC 담화 및 심층 면담 분석을 통해 교사들의 이러한 모델링 pPCK 변화에는 모델링 수업 사례 성찰(ePCKR)과 교육 연구 기반 모델링 cPCK(집단적 PCK)가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교사의 모델링 PCK 개발을 위한 교육적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pPCK와 ePCK 사이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Gri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PCK and ePCK Perceived by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es)

  • 채유정;이기영;박재용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3권1호
    • /
    • pp.95-107
    • /
    • 2024
  •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개인적 PCK(pPCK)와 실행된 PCK(ePCK) 사이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문헌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pPCK, ePCK, 그릿을 잠재변수로 설정하여 연구 가설 모형을 설계하였다. 분석 방법은 잠재 변수를 구성하는 측정변수들 사이의 상호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했고, 모형의 적합도를 분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다. 또한, 그릿의 매개효과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 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 측정변수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구조방정식 분석 결과, 측정 모형은 연구 가설 모형에 부합하였다. 또한, 부트스트랩핑 분석 결과,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pPCK와 ePCK 사이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교사 전문성 영역에서 그릿의 중요성과 그 효과를 정량적으로 살펴본 이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사의 전문성 계발 및 교사교육 연구를 위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Influence of Teaching Option and Teaching Experience on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Environmental Education

  • Abdullah, Sharifah Intan Sharina Syed;Halim, Lilia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8호
    • /
    • pp.1378-1389
    • /
    • 2012
  • Environmental education is usually taught across the curriculum in most of the countries. This teaching approach has been a challenge for teachers to implement it especially in the Malaysian curriculum context. Thus, science teachers require effectu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Environmental Education (PCK-E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teaching option and teaching experience on science teachers' PCK-EE. Five components of PCK-EE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which were: a) knowledge of curriculum, b) knowledge of content, c) knowledge of student, d) knowledge of teaching strategies, and e) knowledge of evaluation. 347 secondary science teachers from the state of Selangor have participated in this survey study. The questionnaire used had 60 items. The findings revealed teaching option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science teachers' knowledge of content (p=0.000); knowledge of student (p=0.000) and knowledge of teaching strategies (p=0.016). In the case of teaching experience,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low correlation on knowledge of content (r=0.174) and knowledge of evaluation (r=0.170) only. Implication of this study leads to the suggestion in enhancing teachers' service training to improve their PCK-EE and subsequently their ability in teaching environmental education across curriculum.

A Strategy to Increase Microbial Hydrogen Production, Facilitating Intracellular Energy Reserves

  • Lee, Hyo Jung;Park, Jihoon;Lee, Joo-Young;Kim, Pil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8호
    • /
    • pp.1452-1456
    • /
    • 2016
  • Overexpression of the genes encoding phosphoeneolpyruvate carboxykinase (pckA) and NAD-dependent malic enzyme (maeA) facilitates higher intracellular ATP and NAD(P)H concentrations, respectively, under aerobic conditions in Escherichia coli. To verify a hypothesis that higher intracellular energy reserves might contribute to H2 fermentation, wild-type E. coli strains overexpressing pckA and maeA were cultured under anaerobic conditions in a glucose minimal medium. Overexpression of pckA and maeA enabled E. coli to produce 3-times and 4-times greater H2 (193 and 284 nmol, respectively) than the wild type (66 nmol H2). The pckA and maeA genes were further overexpressed in a hydrogenase-3-enhanced E. coli strain. The hydrogenase-3-enhanced strain (W3110+fhlA) produced 322 nmol H2, whereas the ATP-enhanced strain (W3110+fhlA+pckA) produced 50% increased H2 (443 nmol). Total H2 in the NAD(P)H-enhanced strain (W3110+fhlA+maeA) was similar to that in the control strain at 319 nmol H2. Possible explanations for the contribution of the increased cellular energy reserves to the enhanced hydrogen fermentation observed are discussed based on the viewpoint of metabolic engineering strategy.

혼합생약제(고뿔®)의 첨가가 육성돈의 성장, 면역관련 혈액학적 지표, 분내 휘발성 지방산과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Herbal Plant Mixture (Koppuul® on Growth Performance, Blood Immunological Parameters, Fecal VFA and NH3-N Concentrarions in Growing Pigs)

  • 조진호;진영걸;민병준;김해진;유종상;고태구;현영;김인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3호
    • /
    • pp.375-382
    • /
    • 2006
  • 본 시험에 사용된 생약제제는 지황, 천궁, 감초, 오미자, 차전차, 산약, 둥글레, 당귀 및 황백 등 24가지의 생약을 적절히 배합한 혼합생약제제(고뿔??)로서 육성돈 사료에 첨가 급여시 생산성, 혈액 내 면역관련 혈액학적 지표, 분내 휘발성 지방산 및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시험동물은 3원 교잡종(Landrace×Yorkshire×Duroc) 육성돈 80두를 공시하였으며 시험개시시의 체중은 16.35±0.05kg 이었고 1) NC (negative control; antibiotics-free diet), 2) PC (positive control; NC diet added 0.16% antibiotic), 3) NCK0.2 (NC diet added 0.2% herbal product(koppuul??)), 4) PCK0.1 (PC diet added 0.1% herbal product (koppuul??))로 4개 처리를 하여 처리당 5반복 반복당 4두씩 임의 배치하여 42일간 실시하였다. 총 사양시험 기간 동안 일당증체량에서는 PCK0.1구와 PC구가 NC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5) 사료효율에서는 PC구가 NC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혈액 내 백혈구수와 IgG 함량의 변화는 PC, NCK0.2와 PCK0.1구가 NC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5). Lymphocyte의 경우 PCK0.1구에서 증가량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분내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을 보면 NCK0.2구가 항생제를 첨가한 PC구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P<0.05). 건물과 질소 소화율에서는 항생제를 0.16% 첨가한 PC구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전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육성돈 사료 내 생약제 또는 항생제 첨가시 일당증체량, 혈액 내 백혈구수와 IgG 함량을 증가시키고 분내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Cloning and Characterization of Mannheimia succiniciproducens MBEL55E 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 (pckA) Gene

  • Lee, Sang-Yup;Lee, Pyung-Cheon;Hong, Soon-Ho;Chang, Ho-Nam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7권2호
    • /
    • pp.95-99
    • /
    • 2002
  • A pckA gene encoding 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 (PEPCK) was cloned and sequenced from the succinic acid producing bacterium Mannheimia succiniciproducens MBEL55E. The gene encoded a 538 residue polypeptide with a calculated molecular mass of 58.8 kDa and a calculated pI of 5.03. The deduced amino acid sequence of the M. succiniciprodutens MBEL55E PEPCK was similar to those of all known ATP-dependent PEPCKS.

인간 대장암 세포주에서 capsaicin 처리에 의한 차별적인 유전자 발현의 p53 의존성 분석 (Analysis of p53-Dependency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by Capsaicin in Human Colorectal Cancer Cell)

  • 김효은;장민정;임승현;김효림;김순영;이건주;김종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13-218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대장암 세포주 모델에서 파이토케미칼 capsaicin에 의한 항 생장 활성과 유전체 수준에서의 유전자 발현 변화를 연구하였다. 그 결과, 처리한 capsaicin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 생존율이 감소함을 확인하였고, capsaicin은 다양한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유도하였다. DNA microarray 실험결과 $100\;{\mu}M$ capsaicin의 처리에 의해 2배 이상 증가되는 유전자 103개가 확인된 반면, 2배 이상 발현이 감소되는 유전자 153개가 확인되었다. 발현이 증가되는 유전자 중 4개(NAG-1, DDIT3, GADD45A 그리고 PCK2)를 선택하여 RT-PCR을 수행한 결과, DNA micorarray 실험과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100\;{\mu}M$ capsaicin의 처리에 의해 암 억제유전자인 p53의 발현이 증가됨을 RT-PCR과 real-time PCR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게다가, NAG-1, DDIT3 그리고 GADD45A 유전자는 p53의 존재에 관계없이 발현이 증가되는 반면, PCK2 유전자는 반드시 p53에 의해 발현이 유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대장암 세포주에서 capsaicin에 의한 항암 기전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PACK-P 교육 프로그램이 예비 교사의 TPACK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he TPACK-P Education Program on TPACK of Pre-service teachers')

  • 김성원;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7년도 제5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5권2호
    • /
    • pp.229-230
    • /
    • 2017
  • 테크놀로지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교사와 예비 교사의 테크놀로지 관련 지식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예비 교사의 TPACK을 향상시키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래밍을 접목한 TPACK-P 모델을 기반으로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을 예비 교사에게 적용하고, 예비 교사의 TPACK 변화를 관찰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은 K 대학의 2016년 2학기 강의의 일부로 진행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수업을 수강하는 예비 교사 19명이었다.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과 후에 박기철과 강성주(2014)의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예비 교사의 TPACK을 측정하였고, 대응 표본 t-검정을 통하여 예비 교사의 TPACK 변화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TPACK-P 기반 교육 프로그램은 예비 교사의 TPACK 발달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영역에서는 PCK를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 PDF

프로그래밍 기반 TPACK 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of the TPACK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Programming)

  • 김성원;이영준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학술대회
    • /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8년도 동계학술대회
    • /
    • pp.21-23
    • /
    • 2018
  • 테크놀로지의 중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영역에 테크놀로지가 활용되고 있다. 교육에서도 효과적인 학습을 촉진하기 위하여 테크놀로지를 도입하고 있다. 하지만 테크놀로지에 대한 교사의 지식 부족으로 인하여 맹목적인 테크놀로지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TPACK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김성원과 이영준(2017)은 프로그래밍을 도입한 TPACK-P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TPACK-P 교육 프로그램은 예비 교사의 Technological Pedagogical Knowledge (TPK),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Technologic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PACK) 발달에는 효과적이었지만, Technological Content Knowledge (TCK)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프로그래밍 기반 수업 사례 탐색 및 분석을 보완한 TPACK-P 교육 프로그램을 개선하였다. 개선한 TPACK-P 교육 프로그램이 예비 교사의 TPACK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K 대학에 다니고 있는 예비 교사 20명을 대상으로 개선한 TPACK-P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예비 교사의 TPACK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박기철과 강성주(2014)의 TPACK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실험을 통하여 TPACK-P 교육 프로그램은 예비 교사의 TPACK 향상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TPACK의 모든 세부 영역의 발달에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단일 집단을 대상으로 개선한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조군을 설정하고, TPACK-P 교육 프로그램이 예비교사의 TPACK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여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