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 agent

검색결과 1,345건 처리시간 0.029초

Houttuynia cordata Thunberg exhibits anti-tumorigenic activity in human gastric cancer cells

  • Hong, Se Chul;Eo, Hyun-Ji;Song, Hoon-Min;Woo, So-Hee;Kim, Mi-Kyeong;Lee, Jin-Wook;Seo, Jeong-Min;Park, Su-Bin;Eom, Jung-Hye;Koo, JinSuk;Jeong, JinBoo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55-160
    • /
    • 2013
  • Objectives : Gastric cancer is a leading cause of cancer-related deaths, worldwide. Houttuynia cordata Thunberg (H. cordata) has been used as a medicinal plants and it has an anti-cancer activity in human colorectal cancer and leukemic cancer. However, the potential anti-cancer activity and mechanisms of H. cordata for human gastric cancer cells have not been tested so far. Thus, this study examined the biological effects of H. cordata on the human gastric cancer cell line SNU-1 and AGS. Methods :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and cell cycle by H. cordata was carried out by MTT assay and Muse cell cycle analysis and the expressions of protein associated with apoptosis and cell cycle regulation were investigated with Western blot analysis. Results : In MTT assay, the proliferation of SNU-1 and AGS cells was significantly inhibited by H. cordata in a time and dose dependent manner,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by H. cordata was in part associated with apoptotic cell death, as shown by changes in the expression ratio of Bax to Bcl-2 by H. cordata. Also, H. cordata regulated the expression of cell cycle regulatory proteins such as pRb, cyclin D1, cyclin E, CDK4, CDK2, p21 and p15. Conclusion : The antiproliferative effect of H. cordata on SNU-1 and AGS gastric cancer cells revealed in this study suggests that H. cordata has intriguing potential as a chemopreventive or chemotherapeutic agent.

감태 추출물이 지니는 Lipase 저해활성의 열 및 pH 안정성 (Inhibitory Effect of Ecklonia cava Extracts against Lipase Activity and Stability Effect of Temperature and pH on Their Activity)

  • 정지연;김꽃봉우리;이청조;곽지희;김민지;김동현;선우찬;김태완;안동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7호
    • /
    • pp.969-974
    • /
    • 2011
  • 본 연구는 감태 추출물의 lipase 저해활성을 알아보고, 산업적으로 이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열 및 pH에 대한 안정성을 실시하였다. 감태의 일반성분을 측정한 결과, 수분함량은 8.1%, 회분함량은 26.5%, 조지방 함량은 1.2%, 조단백 함량은 12.9%, 탄수화물의 함량은 51.4%로 나타났다. 감태 추출물의 색도 및 pH를 측정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에 비해 명도 및 황색도가 높고 적색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에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이 산성과 약산성을 띠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태 추출물을 5, 2.5 및 1 mg/mL의 농도로 lip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59, 34 및 19%의 저해활성을 보여 물 추출물보다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높은 저해활성을 보인 감태 에탄올 추출물의 열 및 pH에 대한 안정성을 측정한 결과, $100^{\circ}C$에서 20분, $121^{\circ}C$에서 15분의 열처리에 의해 lipase 저해활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pH 2~10의 모든 범위에서도 안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lipase 저해활성을 지니는 감태 에탄올 추출물이 열 및 pH에 대해 높은 안정성을 가져 항비만 소재로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폐목질 자원을 이용한 옥상녹화용 식생기반재의 물리 및 화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Vegetation Foundation for Rooftop Greening Using Wood Waste)

  • 김대영;김미미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6권1호
    • /
    • pp.79-87
    • /
    • 2008
  • 경제가 성장함에 따라 도시 곳곳에 인공구조물이 건설되면서 녹지공간이 줄어들고 있다. 녹지공간의 축소는 도시의 열섬현상, 지구온난화 등을 가중시키고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등의 문제를 가져왔다. 최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건물의 옥상과 같이 버려진 공간을 이용한 옥상녹화에 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옥상녹화 시 가장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는 것은 건물에 미치는 토양의 하중으로 건물에 부하되는 하중을 줄이기 위해 경량성 녹화소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경량성 소재인 폐목재칩과 폐지 슬러리를 이용하여 녹화용 식생기반재를 제작하였다. 폐목재칩과 폐지 슬러리의 사용은 자원을 재활용한다는 의미에서도 의의를 가진다. 폐목재칩과 폐지 슬러리를 60 : 40으로 혼합하고 습윤지력증강제의 처리를 달리하였고, 보수력을 위해 표면사이즈제를 처리하여 각 처리 조건에 따라 물리적 특성과 화학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15%의 습윤지력증강제를 첨가한 식생기반재가 습윤 시 최대의 강도를 보였고, 표면사이즈제를 도포하지 않은 식생기반재에서는 도포한 것에 비해 높은 수분증발량을 보여 표면사이즈제가 보수력을 높이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흡수 시 두께변화는 1 mm 이하로 그 변화가 적어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소재임을 알 수 있었다. 식생기반재의 pH는 7.6~8.25로 중성에서 약 알카리성으로 나타났다.

도축 폐기물의 퇴비화에 있어서 수분조절제로서 폐휴지 이용 (Wastepaper as a Bulking Agent for Butchery Wastes Composting)

  • 이석영;유창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83-188
    • /
    • 1998
  • 도축 폐기물과 수분조절제 (bulking agent)로서 버린 종이를 이용하여 퇴비화하면서 변화되는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종이를 수분조절제로 이용한 본 퇴비화 작업에 있어서 pH, 총탄소, 총질소, C/N율 및 염분농도는 퇴비화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주었고, CEC의 경우에는 점차로 증가하였다. 이들 결과로 판단해 볼 때 본 실험의 퇴비화 경향은 다른 여러 가지 퇴비의 안정화 경향과 유사함을 보였으며, 중금속의 함량도 규제범위 이내인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오이종자의 발아율 측정시 Bp-143, BP-192의 경우에는 퇴비량에 관계없이 100% 이었고 BP-34와 BP-96의 경우에는 15 g 이상일 때 발아율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 이들 결과로 미루어 볼 때 염분농도가 높거나 완전히 발효되지 않은 퇴비를 작물에 시용할 경우 작물의 생육에 나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 최종 퇴비의 C/N율은 8.6으로서 낮았지만 퇴비원료를 혼합할 때에 수분조절제로 C/N율을 적절하게 조절한다면, 퇴비의 이용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수분조절제로서 버린 종이를 이용한 퇴비화에서 분해가 비교적 느리게 진행되었는데, 이는 종이를 적당한 크기로 자르고 더 많은 수분조절제를 첨가하여 C/N율을 본 퇴비화에서 보다 높인 다음 뒤집기를 2-3주 간격으로 자주 실시하여 퇴비화 한다면 더욱 분해가 빨리 진행될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 나라 쓰레기 중 비교적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버려진 종이를 값이 비싼 다른 수분조절제를 대신해 이용한다면, 종이쓰레기를 재활용하여 퇴비를 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버린 종이를 수분조절제로 써서 만든 퇴비를 농업에 이용하려면 더 보충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녹차색소의 특성과 염색성 (제 3보) -면섬유에 대한 녹차색소의 염색성- (Characteristics and Dyeing Properties of Green Tea Colorants (Part III) -Dyeing Properties of Cotton with Green Tea Colorants-)

  • 신윤숙;최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510-516
    • /
    • 1999
  • Dyeing properties of cotton fabrics with green tea colorants were studied by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dyeing conditions such as colorants concentration. pH dyeing temperature and time on dye uptakes effects of mordats on dye uptakes and color change and effects of cationizing agent on dye uptakes. And various colorfastnesses of dyed fabrics were evaluated for practical use. Green tea colorants showed low affinity to cotton and produced yellowish red color. Freundlich adsorption isotherm was obtained thus it is considered that hydrogen bondings are formed between colorants and cotton. Dye uptake was maximum at pH 5 and decreased as pH increased. Mordants especially Cu and Sn were effective for increasing dye uptake. Dye uptakes were improved remarkably by cationizing. Cationized cotton showed Langumuir adsorption isotherm indicating that ionic bondings were formed between colorants and cationized cotton. While mordanting did not affect lightfastness cationizing affected adversely. Colorfastness of cationized sample was generally inferior to that of mordanted samples.

  • PDF

생물반응기(生物反應器)에서 지황(地黃)의 신초(新梢) 형성에 관여하는 요인(要因) (Factors Affecting on Shoot Formation in Bioreactor Culture of Rehmannia glutinosa Lib.)

  • 박주현;채영암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23-128
    • /
    • 2000
  • 지황 기내 식물체의 줄기 조직을 재료로 생물반응기에서 부정아 발생 과정을 통하여 기내 종묘를 생산하기 위해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공기부양형 생물반응기가 교반형에 생물반응기의비해 신초 형성에 유리하였다. 2.5L 규모의 생물반응기에서 적절한 배양 밀도는 배지 1.5L에 시료 50g(줄기절편 90개)이었고, 이 때 공기의 주입량은 0.5 v.v.m으로 조절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신초의 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해 배지에 pH 완충제인 MES를 첨가한 결과, 생성된 신초의 수가 증가하였다. 유리화 억제제를 5g/1의 농도로 배지에 첨가하였을 경우 신초의 유리화 현상이 뚜렷하게 억제됨과 동시에 신초의 형성도 증가되었다.

  • PDF

해수 콘크리트에 대한 수중불분리 혼화제와 방청제의 효과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Antiwashout Admixture and Corrosion Inhibitor on the Seawater Concrete)

  • 강현주;이경희;조인성;한형섭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39권10호
    • /
    • pp.970-976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수중불분리혼화제와 수중불분리혼화제+방청제를 병용(1 type)한 혼화제를 사용하여 콘크리트의 slump flow, 탁도, pH, 방청효과, 블리딩, 압축강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slump flow, 탁도, pH, 압축강도등 콘크리트의 물리적인 특성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부식촉진서험결과 수중불분리혼화제만을 사용한 콘크리트와 방청제를 병용(1 type)하여 사용한 것의 방청율이 큰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수중불분리혼화제만을 사용하였을 경우 5.4, 방청제와 병용하여 사용하였을 경우 0.07%로 방청제를 병용(1 type)하여 사용한 큰크리트의 내부식성이 높게 나타났다.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eat-Tolerant Protease Produced by Bacillus polyfermenticus SCD

  • Choi, Gooi Hun;Jo, Mi Na;Kim, Jin-Man;Kim, Cheon-Jei;Kim, Kee-Tae;Paik, Hyun-D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11호
    • /
    • pp.1554-1559
    • /
    • 2013
  • A protease produced by Bacillus polyfermenticus SCD was purified and characterized as a new detergent material. The protease was purified from supernatant produced by B. polyfermenticus SCD, by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ion-exchange chromatography on a DEAE-Sephadex A-50, and finally gel filtration chromatography on Sephadex G-50. The molecular mass of this enzyme was 44 kDa based on SDS-PAGE. The optimum temperature and pH were $50^{\circ}C$ and pH 8.0. The ranges of its stability to the pH and temperature were 7.0 to 9.0 and under $40^{\circ}C$, respectively. The enzyme was highly stable in the presence of the surfactants like Triton X-100 (0.1%), showing a 2-fold increase in its proteolytic activity. However, the enzyme was slightly inhibited by the chelating agent EDTA (1 mM). The enzyme has a maximum activity at $50^{\circ}C$ and the activity can be increased by surfactants such as Triton X-100 and Tween 80.

수열합성법으로 합성된 나노 SmxCe1-xO2-2/x 분말의 수계 분산 (Dispersion of SmxCe1-xO2-2/x Nanoparticles which is Synthesized by Hydrothermal Process in Aqueous System)

  • 배동식;김은정;한경섭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2-114
    • /
    • 2005
  • Dispersion stability of the $Sm_xCe_{1-x}O_{2-2/x}$ nanoparticles, which was produced by hydrothermal process, was studied in aqueous suspension using ESA (Eletrokinetic Sonic Amplitude).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synthesized $Sm_xCe_{1-x}O_{2-2/x}$ at nanoparticles was about $5{\pm}2nm$. The dispersion and rheological behavior of the $Sm_xCe_{1-x}O_{2-2/x}$ nanoparticles aqueous suspension was investigated using $NH_4OH\;and\;HNO_3$ as a disperse agent. The colloidal stability of aqueous suspensions with $Sm_xCe_{1-x}O_{2-2/x}$ nanoparticles at different pH values has been investigated by means of zeta potential, average particle size, and the distribution of synthesized $Sm_xCe_{1-x}O_{2-2/x}$ nanoparticles. The isoelectric point of the $Sm_xCe_{1-x}O_{2-2/x}$ nanoparticles was at pH around 11 and the value of zeta potential was at its maximum near pH 6.5.

DFA IV를 생산하는 levan fructotransferase의 포괄고정화

  • 임승;이기영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bio-venture fair
    • /
    • pp.567-570
    • /
    • 2000
  • DFA IV를 생산하는 levan fructotransferase를 ${\kappa}\;-carrageenan$을 이용하여 고정화한 결과 카라기난의 농도가 2%일 때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때에 고정화 담체에 포괄되어지는 효소의 활성도는 0.81 units으로서 soluble enzyme 7.7 units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활성을 보여주었다. 고정화 및 soluble enzyme의 최고 활성온도와 최적 pH는 동일하게 $55^{\circ}C$, pH6.0 이었다. 가교제를 처리할 경우에 적당한 농도는 0.5%로 생각되어진다. $37^{\circ}C$에서 시간에 따른 고정화 및 soluble enzyme의 DFA IV 생산량을 HPLC로 분석한 결과 60시간 이후의 전환률이 각각 32%, 61%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