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

검색결과 43,991건 처리시간 0.066초

산성 pH가 박테리오로돕신의 분광학적 성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cidic pH on the Spectral Properties of Bacteriorhodopsin)

  • 채쾌
    • 대한화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320-324
    • /
    • 1979
  • Halobacterium halobium으로부터 분리 정제된 퍼플멤브레인을 7.5% 폴리아크릴아미드겔에 혼합시켰다. 이 겔을 사용하여 pH 변화에 따른 흡수 스펙트라와 원편광 이색성스펙트라를 얻었다. pH 7.0에서 보여준 이들 스펙트라의 성질들은 수용액내에 부유하고 있는 퍼플멤브레인으로부터 얻은 것들과 동일하였다. pH 2.7에서는 최대흡광도를 605nm에서 나타내었으며 pH 0.8에서는 565nm에서 보여주었다. 광에 노출되지 않았던 겔의 경우는 광에 노출되었던 겔과는 달리 등흡광점을 보여주었다. pH 2.7과 pH 0.8에서 측정한 원편광 이색성스펙트라는 pH 7.0에서 보여준 bilobed형을 유지하였으며 UV영역에서 분자편광도나 스펙트라의 모양도 pH에 따라 큰 영향을 받지 않았다. pH 2.7에서 생성된 bR605acid 가 퍼플멤브레인의 정상 광화학 순환기 중간 생성물인 $O^{640}$와 유사한 성질을 가진종이 아닐까 추측된다.

  • PDF

순환골재의 pH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pH of Recycled Aggregate)

  • 김대봉;김종환;박제철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권1호
    • /
    • pp.62-67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순환골재 용출수의 pH가 실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기존 순환골재 pH 측정방법 중 용매의 종류, 용출시간, 순환골재 크기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순환골재가 현장에 재활용 되었을 때를 가정하여 토양에 의한 pH 완충능력을 평가하였고, 현장재현 모형시험을 통해 순환골재 pH가 실제 하천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순환골재에 의한 pH의 오염도는 자연계에서의 실제 오염농도와는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실제 현장에서 토양층의 확보가 이뤄진다면 토양의 자연정화 능력에 의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은 작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순환골재로부터 발생하는 알칼리성의 pH 유출수가 유입되더라도 하천의 자정능력에 의해 pH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도축돈에서 TLC와 EEC-4 plate법을 이용한 항생물질 잔류조사 (Detection of residual antibiotics by TLC and EEC-4 plate method in slaughtered pigs)

  • 권오성;김순태;김영욱;손재권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13-321
    • /
    • 1997
  • The antibiotic residues of the urine, the liver, the lung, the kidney and the spleen in slaughtered pigs at Kyongbuk province were detected by TLC(505 kit) and EEC-4 plate method. 1. The positive rate of residual sulfamethazine which was detected by 505 kit in the urine (n=200) was 0.0%. 2. The positive rate of residual sulfamethazine which was detected by EEC-4 plate in the urine (n=126), the liver(n=98), the kidney(n=72), the spleen (n=68) and the lung(n=48) were 63%, 49%, 36%, 34% and 24%, respectively. 3. By EEC-4 plate method, the positive detection rates of the urine were 53.0% in BS(pH 6.0), 29.0% in BS(pH 7.2), 11.5% in BS(pH 8.0) and 13.0% in ML(pH 8.0) medium, that of the liver 41.5% in BS(pH 6.0), 22.0% in BS(pH 7.2), 6.5% in BS(pH 8.0) and 5.0%, in ML (pH 8.0) medium, that of the lung 21.0% in BS(pH 6.0), 9.5%, in BS(pH 7.2) and 8.5% in BS(pH 8.0) medium, and that of the kidney 31.5% in BS(pH 6.0), 14.5% in BS(pH 7.2), 20.0% in BS(pH 8.0) and 3.0% in ML(pH 8.0) medium. In the spleen, only in BS(pH 6.0) medium the positive rate was detected as 33.5 %. 4. The positive rates of samples which shown TLC-positive detected by EEC-4 plate method were 53.9% in no band, 77.8% in one band, 80.9% in two bands, 66.7% in three bands, respectively. In conclusion, the EEC-4 plate method could be applied for the detection of residual antibiotics in samples which shown as out of standard Rf values by TLC-method (SOS kit).

  • PDF

pH 변화와 인산 제한이 Closoidium acetobutylicum의 연속발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 variation and phosphate limitation on the continuous fermentation of Clostridium acetobutylicum)

  • 신순영;김병흥
    • KSBB Journal
    • /
    • 제5권1호
    • /
    • pp.9-17
    • /
    • 1990
  • Clostridium acetobutyloicum KCTC 1037의 용매 생성조건을 알기 위하여 pH변화와 인산제한의 조건 하에서 회분 배양과 연속 배양을 실시하였다. C. acetobut-ylicum KCTC 1037은 pH5.5나 6.5에서 보다 pH 4.5에서 잘 자라는 호산성이었으며, pH4.5의 진리되지 않은 부티르산이 약 20mM인 조건에서 용매 발효로 전환되었으나, pH5.5의 전리되지 않은 부티트산이 17mM인 조건에서는 용매 발효가 일어나지 않았다. 인산 제한 조건에서 배지에 인산이 KH$_2PO_4$$K_2HPO_4$0.1g/l이하인 경우 용매 생성량이 증가하였으나, 생육 속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인산제한 이단 연속배양에서 pH5.5인 stage1에서는 산생성기가 유지 되었고 한편 pH4.5인 stage2에서는 초기에는 용매가 생성 되었으나 150시간 이후에는 용매의 양이 감소되었으며 산생성기로 전환되는 등 불규칙한 발효 양상을 보였다. 또 pH5.0, 희석율 $0.05h^{-1}$인 stage2에서 전리되지 않은 유기산이 36mM인 조건에서도 용매 발효가 일어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서 C.acelobutylicumd의 용매 생성 조건은 산성 pH나 인산 제한 조건외에 균의 최대 에너지 생성을 유지하려는 대사와 관련 되었을 것으로 추측하였다.

  • PDF

발효오이의 산패예견표의 개발 (Development of Preservation Prediction Chart for Long Term Storage of Fermented Cucumber)

  • 김재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2호
    • /
    • pp.1616-1621
    • /
    • 2007
  • 발효된 오이의 산패는 원하지 않는 미생물의 2차적 생장에 의한 결과이며 장기보관을 원하는 발효오이 식품은 일반적으로 고농도의 염을 사용한다. 염의 농도를 최소한으로 하면서 산패를 방지할 수 있는 pH의 범위를 모색하기 위하여 다양한 조합의 pH와 NaCl 농도를 갖는 발효오이즙(FCS) 배양액에 3가지 종류의 산패액을 각각 접종하여 발효오이의 산패여부를 조사하였다. pH3에서는 NaCl의 첨가가 없더라도 산패는 일어나지 않는데 비하여 pH 5.0에서는 4%의 NaCl에서도 모두 산패가 진행되었다. pH 3.5, pH 4, pH 4.5 에서는 0%와 2% NaCl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결과를 보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발효오이의 산패를 예견할 수 있는 조견표를 작성하였다. 조견표의 사용은 발효오이의 장기보관을 위한 적절한 산도와 염의 농도의 선택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죽력 (Bambusae Caulis in Liquamen)의 투여량에 따른 생쥐의 항산화효소 활성과 간과 신장의 조직병리학적 변화 (Changes of the Antioxidant Enzymes and Histopathological Changes of Liver and Kidney According to the Administered Dosage of Bambusae Caulis in Liquamen in Mice)

  • 김정상
    • Applied Microscopy
    • /
    • 제32권4호
    • /
    • pp.399-410
    • /
    • 2002
  • 죽력의 투여에 따른 생쥐 간세포의 항산화효소 활성변화와 간과 신장의 조직병리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통하여 치료약물로써 죽력의 안전성 확보에 기여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조군은 생리식염수를 투여하였으며, 실험군은 죽력을 생리식염수에 5% (H1군), 10% (H2군), 20% (H3군)로 희석하여 0.2 ml씩 48시간 간격으로 28일 동안 구강 투여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의 간조직을 절취하여 SOD와 catalase의 활성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간과 신장의 조직학적변화 및 미세구조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MnSOD의 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H1 (46%, P<0.05), H2 (40%, P<0.05), H3군 (34%, P<0.05)에서 증가하였다 (Fig. 1). CuZnSOD의 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H1군 (11%, P<0.05)에서는 증가하였으나, H3군 (13%, P<0.05)에서는 감소하였다. Catalase의 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H1 (39%, P<0.05), H2 (34%, P<0.05), H3군 (31%, P<0.05)에서 감소하였다. 간과 신장의 조직병리학적 관찰 결과, H3군에서 간세포의 팽창과 중심정맥 내피세포의 파괴현상이 뚜렷이 나타났으며, 신장의 곱슬세관 상피세포의 파괴현상이 뚜렷하였다. H2군의 간세포는 핵질이 매우 응축되어 있었으며, 사립체의 팽대현상이 현저하였다. H3군은 핵질의 전자밀도가 매우 낮게 나타났다. 사립체의 내강은 매우 팽대되어 있고 크리스테의 형태는 관찰되지 않으면서 기질의 전자밀도는 낮게 나타났다. H3군 근위곱슬소관의 원주상피세포는 핵의 괴사가 뚜렷하였으며, 세포질내에서 관찰되는 사립체들은 대부분 팽대되거나 파괴된 양상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 보아 죽력은 투여 농도에 따라 간세포의 항산화효소 활성의 변화와 간과 신장의 조직 병리학적 변화를 초래한다고 생각된다.

24-웰 마이크로 플레이트를 이용한 미생물 발효공정에서 pH 및 용존산소의 모니터링 (Monitoring of pH and dissolved oxygen in microorganism fermentation processes using a 24-well microplate)

  • 김선용;김춘광;손옥재;이종일
    • KSBB Journal
    • /
    • 제24권2호
    • /
    • pp.207-21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광학적 특성이 우수한 GPTMS 졸-겔에 pH와 용존산소를 검출할 수 있는 6-aminofluorescein과 $Ru(dPP)_3\;^{2+}$를 고정화하였다. 제조한 검출막의 광학적 특성을 조사하였고 E.coli JM109와 P.pastoris X-33의 발효중 pH와 용존산소를 모니터링하는데 사용하여 오프라인으로 측정 된 데이터와 비교, 고찰하였다. 여기파장 480 nm와 방출파장 600 nm에서 최적 형광 검출파장을 나타내는 용존산소 검출막에 흑연이 혼합된 절광층을 재코팅한 막이 0%와 100% 용존산소 조건에서 800 [RFU]의 형광세기 차이를 나타냈다. 제조한 용존산소 검출막을 사용하여 E.coli JM109와 p.pastoris X-33의 발효중 배양액내의 용존산소를 모니터링한 결과, 미생물의 성장에 따른 용존산소량의 변화를 잘 모니터링 할 수 있었다. 한편, GPTMS 졸-겔에 6-aminofluorescein을 고정화하여 제조한 pH 검출막은 여기파장 480 nm와 방출파장 520 nm에서 최적 검출파장을 나타내었고 절광막을 재코팅한 검출막이 pH의 변화에 따라 높은 감도를 나타내었다. 제조한 pH 검출막에 E. coli JM109와 P.pastoris X-33을 배양하여 발효시간에 따른 배양액의 pH 변화를 오프라인으로 측정하고 형광세기 변화와 비교하였다. 발효중 미생물의 유기산 생산과 단백질분해로 인한 pH 변화를 pH 검출막이 잘 모니터링 함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조한 pH와 용존산소 검출막은 높은 감도등 우수한 광학적 특성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미생물 발효중 pH와 용존산소를 온라인 모니터링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산성비의 pH 측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lectrometric Measurement of the pH of Acid Rain)

  • 이화심;김명수
    • 대한화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0-16
    • /
    • 2000
  • 일반적으로 산성비는 이온세기가 낮아 저항이 크고 완충능이 없는 용액이다. 그러므로 산성비의 pH측정 시, 시료용액의 액간접촉전위는 이온세기의 차이로 인해 pH표준용액의 액간접촉전위와 달라서 pH 측정값에 오차가 발생될 수 있다. 실제 1998년도 대덕연구단지에 내린 빗물의 평균 전도도 값이 12.8 ${\mu}S/cm$인데 비해, pH 표준용액의 전도도 값은 약 5,980 ${\mu}S/cm$으로 이온세기의 차이가 크다. 본 연구에서는 산성비의 pH를 측정할 때 액간접촉전위로 인해 발생되는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빗물과 비슷한 pH와 전도도를 가지는 묽은 황산의 물성조절표준물(Quality Control Standard, 이하 QCS로 표기)을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QCS의 pH값을 액간접합이 없는 수소전극 시스템으로 인증한 다음, 유리전극으로 다시 pH를 측정하여 그 차이값 만큼 보정하였다. 아울려 이 방법으로 1998년도 대덕연구단지에 내린 빗물의 pH를 측정하였다.

  • PDF

지능형 약물전달시스템을 위한 pH 감응형 P(MAA-co-EGMA) 수화젤 미세입자의 탑재거동 (Loading Behavior of pH-Responsive P(MAA-co-EGMA) Hydrogel Microparticles for Intelligent Drug Delivery Applications)

  • 신영찬;김규식;김범상
    • 폴리머
    • /
    • 제32권5호
    • /
    • pp.421-426
    • /
    • 2008
  • pH감응형 P(MAA-co-EGMA) 수화젤을 분산 광중합을 이용하여 마이크로 크기의 미세입자로 합성하고 화장품 제형으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모델 탑재물질인 Rh-B와 화장품 분야에서 기능성 물질로 사용되는 ascorbic acid, adenosine, EGCG, arbutin을 이용하여 탑재 및 방출 거동을 조사하였다. Rh-B 탑재의 경우, pH 6.5인 수용액에서 이온화에 의한 P(MAA-co-EGMA) 수화젤의 음전하와 Rh-B의 양전하 사이의 정전기적 인력으로 인하여 가장 높은 탑재효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화장품 기능성 물질들의 경우, pH 6.5 수용액에서 이온화된 P(MAA-co-EGMA) 수화젤의 음전하와 기능성 물질들이 나타내는 음전하 사이의 정전기적 반발력 때문에 상대적으로 낮은 탑재효율을 나타내었다. Rh-B를 사용한 방출실험 결과, p(MAA-co-EGMA) 수화젤 미세입자는 높은 pH에서는 다량의 Rh-B를 그리고 낮은 pH에서는 소량의 Rh-B를 방출하는 pH 감응성 방출거동을 나타내었다.

우식유발식품에 의한 인공타액내 pH 변화와 당 분해 효소 활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rtificiality Salivary pH and Sugar Fermentation Test of Caries Potentiality Foods)

  • 지윤정;박수경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03-309
    • /
    • 2012
  • 청소년을 대상으로 간식섭취실태를 조사하고, 간식품의 총당도, 간식품의 pH, S. mutans의 산생성능과 당분해효소활성도를 측정하여, 치아우식유발지수가 낮은 간식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치아우식유발지수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간식품 28종류의(고체군 21가지, 액체군 7가지) 당도를 측정한 결과 오레오가 43.5로 가장 높았고, 스윙칩과 마이쮸가 39.3, 땅콩카라멜 38.8, 츄파춥스 37.2, 소보루빵 33.9 순이었으며, 포카리스웨트와 녹차가 0으로 가장 낮았다. 설탕이 많이 함유된 음식에서 총당도의 값이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2. S. mutans의 산생성능에 의한 pH 평균값은 pH 5.33이였으며, 실험군의 S. mutans 산생성능에 의한 평균 pH변화는 10분 배양 후 pH 5.27, 30분 후 pH 5.21, 1시간 후 pH 5.15, 24시간 배양 후에는 pH 4.80으로 S. mutans의 당분해효소활성에 의한 산생성도 증가로 대조군보다 pH값이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3. S. mutans의 당분해효소활성도를 비색법으로 관찰한 결과 glucose의 활성도는 78.58%, sucrose의 활성도는 75%, galactose의 활성도는 71.42%로 대부분의 시료에서 Positive인 orange & yellow color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