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H, red pepper.

검색결과 260건 처리시간 0.036초

시설재배토양에서 돈분뇨정화처리수 관비가 고추의 생육, 수량 및 토양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tigation of Piggery Waste Water on the Growth, the Yield of Red Pepper and the Chemical Properties of Soil under Protected Cultivation)

  • 김기덕;이병일;박창규;원선이;유창재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5-124
    • /
    • 1999
  • 돈분뇨 정화 처리수를 이용하여 시설재배 토양에서 고추를 관비재배시 관비량(표준시비량의 질소 50%, 75%, 및 100%) 및 관비간격(관수시마다, 1주 간격 및 2주 간격 관비)이 작물의 생육, 수량 및 토양의 화학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돈분뇨 정화 처리수 관비구의 고추 초기생육은 표준시비구와 대등하나 돈뇨 관비량이 증가할수록 양호하였고, 후기생육 및 총수량은 75% N 관비구에서 가장 좋았다. 고추잎의 질소, 인산, 가리 등 무기성분함량과 엽록소함량은 돈뇨관비량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한편 생육초기의 착과율은 각분지 공히 돈뇨량이 증가할수록 높았고, 50% N 관비구에서 가장 낮았다. 시험후 토양의 무기성분 함량은 돈뇨관비량이 많을수록 pH는 다소 낮아지는 반면, EC, 인산, 치환성 가리 등은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표준 시비구보다는 낮은 수준이었다. 관비간경에 따른 고추생육과 수량의 차이가 없었고, 토양의 화학성도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아 돈분뇨 정화처리수의 인위적 보충이 필요없는 간이자동관수장치에 의해 관수시마다 관비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경운깊이 및 퇴비 시용량이 고추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illage Depth and Amount of Compost on Red Pepper Growth)

  • 이경자;김영상;송인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798-803
    • /
    • 2010
  • 노지 고추재배시 경운 깊이에 따른 유기물 함량을 구명하여 지속적 안전생산에 활용하고자 경운 깊이는 10, 30 및 50 cm로 하고 퇴비의 양을 1, 3 및 5 톤 $10a^{-1}$으로 처리하여 고추를 재배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시험후 토양의 pH는 모든 처리에서 시험전 토양보다 낮아졌으며 EC를 비롯한 Av. $P_2O_5$, K, Ca, Mg, Na는 시험전보다 높았다. 퇴비 시용량 별로는 퇴비 1 톤 $10a^{-1}$ 및 3 톤 $10a^{-1}$ 처리에 비해 퇴비 5 톤 $10a^{-1}$에서 높았다. (2) 고추 생육은 퇴비 1 톤 $10a^{-1}$처리에 비하여 퇴비 3 톤 및 5 톤 $10a^{-1}$에서 좋았으며, 경운깊이 10 cm 및 30 cm에 비해 경운깊이 50 cm에서 좋았다. (3) 고추 수량은 경운깊이 10 cm에서는 퇴비 3 톤 $10a^{-1}$ 처리에서 5,880 kg $ha^{-1}$으로 가장 좋았고, 경운깊이 30 cm 에서는 퇴비 5 톤 $10a^{-1}$ 처리에서 5,610 kg $ha^{-1}$으로 가장 좋았다. (4) 고추식물체의 T-N 함량 및 흡수량은 퇴비 3 톤 $10a^{-1}$ 및 5 톤 $10a^{-1}$ 처리에서 1 톤 $10a^{-1}$처리에 비해 높았다.

김치의 숙성중 색상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 in Color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 김미경;하귀현;김미정;김순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74-278
    • /
    • 1994
  • Correlation between pH and color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was investigated to visually evaluate the fermentation degree of Chinese cabbage Kimchi. Color "a" and 'H" values in the white part, "a", "H" and "C" values in the green part of the Kimchi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pH, respectively. "a" and "H" values of Kimchi juice. "L" and "V" values of red pepper attached to kimchi had a high correlation with pH. The color of the white part was light greenish white in unripended Kimchi, but changed to redish in ripended kimchi. Green part changed from light green to redish green as ripening. Red pepper powder attached to kimchi showed redish color in unripening, but changed to yellowish re din over ripening.

  • PDF

한국산 일시 수확형 고추 후레이크의 특성 및 다양한 드레싱에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Characteristics of Korean Single-harvested Pepper(Capsicum annuum, L.) Flakes and the Effects on the Quality of Various Dressings)

  • 김선아;구혜진;김경선;박재복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2-21
    • /
    • 2006
  •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single-harvested pepper flakes and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addition of red and green pepper flakes on the quality of various dressings. Moisture contents of red and green pepper flakes were $14.57{\pm}0.13%\;and\;11.86{\pm}0.12%$, capsaicinoids contents on a dry-weight basis were $207.91{\pm}6.68\;mg/100\;g\;and\;172.32{\pm}5.94\;mg/100\;g$, and total free sugars were $21.63{\pm}1.81%\;and\;12.49{\pm}0.56%$, respectively. ASTA color of red pepper flakes was $150.93{\pm}4.56$. Viable cell numbers of red and green pepper flakes were $3.9X10^4\;CFU/g\;and\;5.2X10^5\;CFU/g$, respectively. The pH values in French dressing and Italian dressing, with added red and green pepper flakes, were slightly increased, but not in American Caesar dressing. Acidity and viscosity weren't statistically different in the 3 kinds of dressings by the addition of red and green pepper flakes. The color difference $({\Delta}E^*_{ab})$ for the storage periods was calculated in each dressing and that of American Caesar dressing with added red pepper flakes was extremely high. Viable cell number in each dressing was maintained at 2 log CFU/g during the storage periods. The sensory characteristics during the storage periods were assessed by members of a trained panel, and showed that the color and pungency of red and green flakes increased the overall preference in the Italian dressing and American Caesar dressing.

고춧가루의 저장 온도와 기간에 따른 이화학적 품질 특성 변화 (Change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d Pepper Powder According to the Storage Method)

  • 최정인;오혜인;조미숙;오지은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25-132
    • /
    • 201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optimal storage conditions by examining the effects of the storage conditions on the quality of red pepper powder during storage in households. Red pepper powder was stored at room temperature ($20^{\circ}C$), refrigeration (2 and $-1^{\circ}C$) and frozen (-5 and $-20^{\circ}C$) for 3, 6, 9 and 12 months. The ASTA color value, capsanthin content and redness ($a^{\ast}$) of the red pepper powders stored at -5 and $-20^{\circ}C$ were not decreased significantly depending on the storage temperatures until 9 months. The pH of red pepper powder stored at $20^{\circ}C$ decreased significantly until 9 months and increased at 12 months. The microbiological quality of the red pepper powder stored at -5 and $-20^{\circ}C$ was more stable during long-term storage. In the sensory evaluation of red pepper powder stored under all conditions, the overall freshness, redness, hot flavor, moisture release, and edibility decreased with increasing storage period from the control to 12 months. Moisture release increased from 3 months to 12 months. Overall, red pepper should be stored at low temperatures (2, $-1^{\circ}C$) for up to 6 months, and frozen (${\geq} -5^{\circ}C$) for 6 to 9 months. The optimal temperature for long-term storage (${\geq}9$ months) was $-20^{\circ}C$.

강릉지방의 오징어 식해 개발에 관한 연구 -4. 식해숙성에 미치는 고추가루 및 곡류 첨가량의 영향- (The Development of Squid(Todarodes pacificus) Sik-hae in Kang-Nung District -4. The Effects of Red Pepper and Grain Contents on the Properties of Squid Sik-hae-)

  • 김상무;백운두;이근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66-372
    • /
    • 1994
  • 고추가루 및 곡류 첨가량을 달리하였을 경우의 오징어 식해 숙성중의 일반성분변화를 측정하였다. 고추가루 첨가량을 달리하였을 경우의 일반성분의 변화에는 별다른 차이점은 없었으며, 곡류 $50\%$ 첨가비율에서 탄수화물량이 높게 측정되었는데 이는 원료의 배합비율에서 오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pH변화는 고추가루 $10\%$ 및 곡류 $30\%$ 첨가 비율에서 고추가루 $5\%$ 및 곡류 $50\%$ 보다 각각 숙성초기에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숙성기간이 증가할 수록 원료의 첨가비율에 따른 pH 변화는 거의 없었다. 젖산의 변화는 고추가루 첨가량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단지 곡류 $30\%$ 비율에서 $50\%$ 비율보다 숙성초기에 젖산 생성량이 다소 많았으나 숙성 후기에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총 arginine량은 고추가루 $10\%$ 및 곡류 $30\%$ 첨가비율에서 고추가루 $5\%$ 및 곡류 $50\%$ 첨가비율보다 다소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숙성 10일까지 다소 증가경향을 보이다가 그 이후로 다소 감소하였는데 전체 숙성기간 중의 함량을 볼 때 큰 변화는 없었다고 보여진다. 고추가루 첨가량에 따른 TMAO및 TMA량의 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곡류 $30\%$ 첨가비율에서 $50\%$ 첨가비율보다 TMAO 및 TMA 량은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고추가루 및 곡류의 첨가량에 다른 식해 숙성중의 품질변화는 뚜렷하지 않았으며, 외관 등 관능적인 측면에서 보다 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 PDF

고추씨 첨가 된장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Added with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Seed)

  • 구경형;최은정;박완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1호
    • /
    • pp.1587-1594
    • /
    • 2009
  • 이 연구는 고추씨가 첨가된 된장의 이화학 및 관능적 품질을 조사하였다. 수분함량은 된장 제조 직후 52.03-53.79%에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였고, 염도는 13.28-14.05%에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pH는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고추씨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적성산도는 발효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고, 고추씨 첨가구가 대조구보다 높은 적정 산도를 보였다. 된장의 색도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L값과 b값은 약간 감소하고 a값은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전반적으로 고추씨 첨가량이 많을수록 적색도(+)를 나타내는 a와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과 밝기를 나타내는 L값이 약간 높게 나타났다. 또 아미노태 질소 함량은 된장 제조 초기에 497-623 mg%에서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여 발효 120일에 대조구는 1,000 mg%이상, 고추씨 첨가구는 756-896 mg%로 증가하였다. 총 균수의 경우 제조 직후부터 발효 120일까지 고추씨 첨가에 관계없이 제조 직후에는 $10^7{\sim}10^8$ CFU/g의 총 균수에서 발효 진행되면서도 $10^7$ CFU/g을 유지한 반면 효모와 곰팡이 수는 $10^5$ CFU/g에서 $10^3{\sim}10^4$ CFU/g으로 감소하였다. 한편 된장의 관능검사 결과 고추씨의 첨가량에 관계없이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된장의 고유 향미가 증가되었다.

감마선과 훈증처리가 건고추의 저장 중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rradiation and Fumigation o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ed Pepper during Storage)

  • 김병근;권중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91-498
    • /
    • 2004
  • In order to study the quarantine and sanitization methods for dried red pepper, comparative effects of commercial fumigation (methyl bromide/MeBr, $phosphine gas/PH_{3}$ and gamma irradiation (5, 10 kGy)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its physicochemical properties. There were no noticeable chances in pH and soluble solids among the untreated control, irradiated and fumigated samples soon after treatments, but some decrease was found in stored samples (especially soluble solid in fumigated samples) for 8 months under room temperature. Total sugar content was influenced by storage time rather than both treatments. Immediately after treatments, reducing sugar content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samples including pericarp when exposed to fumigants (p<0.05), while an apparent decrease was observed in the stored samples including seeds with negligible differences among treatment groups. The electron donating ability (EDA) of the extracts was high in the order of pericarp, whole pepper, powdered pepper and seeds, which was reduced during storage for 8 months particularly in the samples containing seeds. The EDA of irradiated samples during storage was equal to that of the control sample, whereas that of fumigated samples was relatively low (p<0.05).

$Pyoverdin_{2112}$ of Pseudomonas fluorescens 2112 Inhibits Phytophthora capsici, a Red-Pepper Blight-Causing Fungus

  • Kim, Sang-Dal;Lee, Eun-Tag;Lim, Si-Kyu;Nam, Doo-Hyun;Khang, Yong-H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3호
    • /
    • pp.415-421
    • /
    • 2003
  • A bacterium, Pseudomonas fluorescens 2112, that is antagonistic against a red-pepper blight-causing fungus, Phytophthora capsici, was isolated from the local soil of Gyongju, Korea. This strain formed an orange-colored clear halo zone on chrome azurol S (CAS) blue agar, suggesting the production of a siderophore in addition to an antifungal antibiotic. The optimal culture conditions for siderophore production by P. fluorescens 2112 were 30-h cultivation at $25^{\circ}C$ and pH 6.5 in King's B medium. The presence of $20{\mu}g/ml\;of\;Fe^3+$ ion or EDDHA promoted the production of siderophore in King's B medium. The siderophore was purified from culture broth by CM-Sephadex C-25 and Sephadex G-25 column chromatographies. The UV spectra of the purified siderophore was the same as that of pyoverdins or pseudobactins. The molecular mass was 1,958 Da determined by FAB-rlass spectrometer, and the amino acid composition analysis showed that the purified siderophore consisted of glycine/threonine/serine/glutamic acid/alanine/lysine with the molar ratio of 3:2:1:1:1:1, DL-Threo-${\beta}$-hydroxyaspartic acid and $N^{\delta}$-hydroxyornithine, two of the essential constituents of pyoverdin, were also found. The purified siderophore pyoverdin showed strong in vitro and in vivo antagonistic activities against phytophthora blight-causing P. capsici. Especially in an in vivo pot test, the siderophore protected red-pepper Capsicum annum L. very well from the attack of P. capsici.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urified siderophore of P. fluorescens 2112 played a critical role in the biocontrol of the red-pepper blight disease, equivalent to treatment by P.fluorescens 2112 cells.

간장, 고추장 및 된장 양념으로 발효한 진공포장 돈육의 저장기간 동안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Vacuum Packaged Fermented Pork with Soy Sauce, Red Pepper and Soybean Paste Seasoning during Storage)

  • 진상근;김일석;하경희;류현지;박기훈;이제룡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7권5호
    • /
    • pp.825-836
    • /
    • 2005
  • 이 연구는 간장, 고추장 및 된장 양념을 이 용한 발효 돈육의 품질 특성에 관한 것으로 돼지 뒷다리를 채취하여 7 × 10 × 2 cm3 크기로 자른 후 육을 동일한 비율의 소스(간장소스 T1, 고추장소스 T2, 된장소스 T3)에 침지하여 1±1℃에서 10일간 발효숙성한 후 진공포장하여 1±1℃에서 1, 14 및 28일 동안 저장하면서 품질 변화를 측정한 것으로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는 된장 발효 돈육이 저장 1일과 28일에 간 장과 고추장 발효 돈육에 비해 높았지만, 저장 14일에는 낮았다. 보수성은 간장 발효 돈육이 저장 28일에 고추장과 된장 발효 돈육에 비해 높았다. 전단가는 된장 발효 돈육이 간장과 고 추장 발효 돈육에 비해 낮았다. 표면 육색의 L*값은 된장 발효 돈육이 간장과 고추장 발효 돈육에 비해 높았지만, a*와 b*값은 고추장 발 효 돈육이 간장과 된장 발효 돈육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 VBN은 저장 1일과 28일에 된장 발효 돈육이 간장 발효 돈육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다. TBARS는 된장 발효 돈육이 간장과 고 추장 발효 돈육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다. 총균 수는 저장 14일에 된장 발효 돈육이 간장과 고 추장 발효 돈육에 비해 높았지만, 저장 28일에 는 현저하게 낮았다. 대장균수는 저장 1일에 간장과 된장 발효 돈육이 고추장 발효 돈육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고, 저장 14일과 28일에는 고추장과 된장 발효 돈육은 대장균 성장을 나타내지 않았다. 유산균수는 고추장 발효 돈육 이 간장과 된장 발효 돈육에 비해 현저하게 낮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된장 발효 돈육은 간장 과 고추장 발효 돈육에 비해 전단가, 단백질변 패, 지방산화도가 낮게 나타났고 미생물 중 총 균수와 대장균수가 적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