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11

검색결과 20,291건 처리시간 0.044초

우울증과 항우울작용에 관한 p11(S100A10)의 역할 (Role of p11 (S100A10) in Depression and Antidepressant Effects)

  • 박성우;서미경;이정구;김영훈
    • 생물정신의학
    • /
    • 제23권1호
    • /
    • pp.24-28
    • /
    • 2016
  • p11 protein (S100A10) is downregulated in depressive-like states of human and rodent. Antidepressant drug treatment increases p11 levels in rodent models. We reviewed studies demonstrating that p11 levels are regulated in depression and by antidepressant treatment and that p11 upregulation exerts antidepressant effects. Current studies on p11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p11 as a potential antidepressant target.

장기간 예측 불가능한 스트레스를 받은 마우스 해마에서 p11 유전자의 히스톤 아세틸화 및 메틸화의 조절 (Regulation of Histone Acetylation and Methylation of the p11 Gene in the Hippocampus of Chronic Unpredictable Stress-induced Depressive Mice)

  • 서미경;석대현;박성우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1호
    • /
    • pp.995-1003
    • /
    • 2021
  • 크로마틴 리모델링은 후성유전기전을 통해 유전자 발현을 조절한다. 비정상적인 히스톤 변형이 우울증 발생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11 (S100A10)은 인간과 설치류에서 우울증의 병태생리에 관여한다고 보고되었다. 본 연구는 우울증 동물모델인 장기간 예측 불가능한 스트레스가 마우스 해마에서 p11 유전자 promoter의 히스톤 변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C57BL/6 마우스에 21일 동안 스트레스를 가하고, 강제수영검사를 수행하여 우울 유사 행동 양상을 측정하였다. Real time PCR 및 Western blotting 분석법으로 p11 발현 변화를 조사하였으며, 염색질 면역침전분석법을 수행하여 p11 promoter의 히스톤 H3 아세틸화 및 메틸화 양을 측정하였다. 장기간 예측 불가능한 스트레스는 강제수영검사에서 부동시간을 증가시켜 우울 유사 행동을 나타내었으며, 해마의 p11 mRNA 및 단백질 발현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또한 p11 promoter의 히스톤 H3 아세틸화(Ac-H3) 및 H3-K4 트리메틸화(H3K4met3)를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H3-K27 트리메틸화(H3K27met3)를 증가시켰다. 본 연구결과는 만성 스트레스가 해마에서 p11 유전자의 후성유전적 억제를 야기하여 p11 유전자의 발현을 감소시킴을 시사한다.

무선 랜 기반 V2X 통신에서의 보조 수신기를 활용한 동작에 따른 영향 (The effects of Wake-up Radio in WLAN V2P Communication)

  • 홍한슬;김용호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302-310
    • /
    • 2018
  • 자율주행을 현실화하기 위해 각국에서는 관련통신표준을 기반으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으며, 그 중 무선랜 표준을 제정하는 IEEE에서는 IEEE 802.11p와 WAVE 계열표준을 제정하여 차량통신용 무선통신을 지원하고 있다. 최근 저전력 동작이 부각됨에 따라 보조수신기를 활용하는 표준인 IEEE 802.11ba이 진행 중이며, 그 사용 예시에는 V2P 동작을 포함하고 있다. 이때, V2X 통신에 사용되는 무선 랜 표준인 IEEE 802.11p가 IEEE 802.11ba와 같이 사용 될 경우, 기존 IEEE 802.11ba에서의 추가적인 wake-up frame의 전송으로 인해 채널용량이 지나치게 낮아져 지연시간 요구사항을 맞추지 못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차량용 무선랜 표준인 IEEE 802.11p 및 WAVE가 최근 개발되고 있는 저전력 표준인 IEEE 802.11ba 표준과 결합될 때의 시스템 구성방법을 제시하고 성능분석과 고찰을 통해 미래 자율주행 통신에서 IEEE 802.11ba를 이용한 저전력 V2P 동작을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고려사항 및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Induction of p21 and apoptosis by C11 in human hepatocarcinoma cells

  • Kim, Won-Ho;Kang, Kyung-Hwa;Choi, Kyung-Hee
    • 한국동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학회 1998년도 한국생물과학협회 학술발표대회
    • /
    • pp.360-360
    • /
    • 1998
  • C11, a chloride-containing VK3 analog, acts as a mediator of programmed cell death in SK-Hep-1 cell lines, but its molecular mechanisms linked to cell death are not understoo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xpression of p21 gene and its relationship to apoptosis induced by C11. In SK -hep-1 cells, the addition of C11 resulted in time-dependent growth suppression and DNA fragmentation characteristics of apoptosis. p21 protein was induced during this process, while the protein level of p53 was not changed at the same condition. This apoptotic cell death with p21 induction was also observed in the Hep3B cells lacking functional p53 after treatment of C11. These results suggest that C11-induced apoptosis is associated with up-regulation of p21 protein in p53-independent pathway. Next, in order to confirm whether the p53-independent p21 induction is required for C11-induced apoptosis, we introduced the p21 gene into Hep3B. Overexpression of p21 did not affect the expression of the bcl-2 gene, but DNA fragmentation and PARa cleavag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ese data indicate that p21 is involved in C11-induced apoptosis. Although Bcl-2 has been implicated to interfere with an essential signaling molecule involved in the apoptosis pathway, its molecular mechanism and target molecule are poorly understoo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bcl-2 overexpression on apoptosis and to investigate whether BcI-2 interfers with the p53-independent p21 pathway, we transfected the bcl-2 expression vector into SK - Hep-1 cels. Overexpression of Bcl-2 prevented C11-induced apoptosis. Taken together, C11-induced apoptosis is regulated by p52-independent p21 pathway and bcl-2 may inhibit functional activity of p21, therebe may inhibit the C11-induced apoptosis.ptosis.

  • PDF

IEEE 802.11p 구현을 위한 RF 회로 설계 (RF Circuit Design for IEEE 802.11p Implementation)

  • 이세연;이명호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54-61
    • /
    • 2012
  • 차세대 ITS 환경을 위한 차량용 무선 통신 규격인 WAVE 규격은 IEEE 802.11p와 IEEE P1609 규격을 통칭하며, IEEE 802.11p의 규격제정이 마무리됨에 따라 최근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고속 차량 환경과 실내 환경의 차이는 무선 통신 채널 모델이 훨씬 가혹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설계 시 온도, 잡음, 다중 경로 페이딩과 같은 시스템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는 사항들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1p PHY/MAC을 기반으로 하는 WAVE 무선 통신 시스템을 위한 RF 회로를 설계하고 실제로 구현하면서 나타나는 문제들을 보이고 이를 해결하는 과정을 보였다.

IEEE802.11p 기반의 OFDM-DSRC 통신을 위한 임베디드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Embedded System for IEEE802.11p based OFDM-DSRC Communications)

  • 곽재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2062-2068
    • /
    • 2006
  • 본 논문은 IEEE802.11p 기반의 OFDM-DSRC 통신을 위한 임베디드 시스템의 구현에 대 한 것이다. IEEE802.11p 표준의 물리계층 규격에 대해 먼저 설명하고, 규격에 따른 모뎀의 BER 성능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평가하고, 본 논문에서 구현한 시스템 구조와 설계방식, 구현 결과에 대해 설명한다. OFDM-DSRC 통신을 위해 구현한 임베디드 시스템은 FPGA, 플래쉬 메모리, ARM9 CPU 및 기타 주변장치들로 구성하였다. 구현 결과로부터, 본 논문에서 구현한 IEEE802.l1p를 따르는 OFDM-DSRC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동작함을 확인하였다. 구현한 IEEE802.11p에 따른 임베디드 시스템에 대한 최적화를 통해 ITS와 같은 무선 통신 응용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IEEE 802.11p 기반 통신시스템의 대용량 전송 성능 측정 (Performance Measurement of IEEE 802.11p based Communication Systems in Large Capacity Transmission)

  • 조웅;최현경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1359-1364
    • /
    • 2014
  • IEEE 802.11p는 차량통신 시스템의 대표적인 물리계층 및 매체접근제어계층 표준이다. IEEE 802.11p를 기반으로 한 통신시스템의 일대일 통신성능은 링크접속시간, 오류율, 전송용량 (throughput), 등의 다양한 형태로 측정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1p기반 통신시스템을 이용하여 대용량으로 신호 전송 시 성능을 측정한다. 일대일 통신을 포함하여 최대 32개의 통신시스템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였을 경우에 대한 성능을 측정한다. 전송방식은 브로드캐스트와 유니캐스트 두 가지 경우에 대해 고려하며, 통신시스템의 성능은 수신율 및 전송용량을 이용하여 나타낸다.

Self-Sufficient Catalytic System of Human Cytochrome P450 4A11 and NADPH-P450 Reductase

  • Han, Song-Hee;Eun, Chang-Yong;Han, Jung-Soo;Chun, Young-Jin;Kim, Dong-Hyun;Yun, Chul-Ho;Kim, Dong-Hak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17권2호
    • /
    • pp.156-161
    • /
    • 2009
  • The human cytochrome P450 4A11 is the major monooxygenase to oxidize the fatty acids and arachidonic acid. The production of 20-hydroxyeicosatetraenoic acid by P450 4A11 has been implicated in the regulation of vascular tone and blood pressure. Oxidation reaction by P450 4A11 requires its reduction partners, NADPH-P450 reductase (NPR). We report the functional expression in Escherichia coli of bicistronic constructs consisting of P450 4A11 encoded by the first cistron and the electron donor protein, NPR by the second. Typical P450 expression levels of wild type and several N-terminal modified mutants was observed in culture media and prepared membrane fractions. The expression of functional NPR in the constructed P450 4A11: NPR bicistronic system was clearly verified by reduction of nitroblue tetrazolium. Membrane preparation containing P450 4A11 and NPR efficiently oxidized lauric acid mainly to $\omega$-hydroxylauric acid. Bicistronic coexpression of P450 4A11 and NPR in E. coli cells can be extended toward identification of novel drug metabolites or therapeutic agents involved in P450 4A11 dependent signal pathways.

신 균주 Bacillus amyloliquefaciens NBF11-1을 이용하여 발효한 청국장의 항산화효과 (The Antioxidant Effect of Cheonggukjang, Fermented Using the New Strain, Bacillus amyloliquefaciens NBF11-1)

  • 김한수;윤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343-535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대나무 줄기표면에서 처음 발견 하였으나, 아직까지는 연구가 미흡한 신 균주 Bacillus amyloliquefaciens NBF11-1의 생리활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청국장 전통 발효 균주인 Bacillus subtilis NG24를 대조군으로 하여 항산화효과에 대한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청국장 추출물의 항산화 실험 결과에서 Total Polyphenol 추출물 함량의 측정 결과는 B.subtilis NG24에 비해 B.amyloliquefaciens NBF11-1 시료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32). SOD 유사활성과 DPPH radical 소거능 및 NO radical 소거능에서 B.subtilis NG24에 비해 B.amyloliquefaciens NBF11-1을 포함한 시료에서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추가적으로, 각 항산화 실험의 $IC_{50}$은 B.subtilis NG24에 비해 B.amyloliquefaciens NBF11-1 시료에서 SOD 유사활성(p=0.045), DPPH radical 소거능(p=0.041), NO radical 소거능(p=0.019)과 같이 유의한 차이로 감소하였다.

Impact of Co-transfection with Livin and Survivin shRNA Expression Vectors on Biological Behavior of HepG2 Cells

  • Xu, Wei;Chang, Hong;Qin, Cheng-Kun;Zhai, Yun-Pe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9호
    • /
    • pp.5467-5472
    • /
    • 2013
  • Objective: To construct short hairpin RNA (shRNA) eukaryotic expression vectors targeting Livin and Survivin genes, and to explore the impact of co-transfection of Livin and Survivin shRNA expression vectors on the biological behavior of HepG2 cells. Methods: shRNA eukaryotic expression vectors pSD11-Livin and pSD11-Survivin were designed and constructed then transfected into HepG2 cells separately or in combination. mRNA and protein expression in transfected cells was assessed by quantitative fluorescence PCR and Western blotting, respectively. Cell proliferation was measured by MTT assay and cell apoptosis by TUNEL assay. Results: The Livin and Survivin shRNA eukaryotic expression vectors were successfully constructed and transfected into HepG2 cells. The relative mRNA expression levels of Livin and Survivin in HepG2 cells co-transfected with pSD11-Livin and pSD11-Survivin were $0.12{\pm}0.02$ and $0.33{\pm}0.13$, respectively, which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levels in cells transfected with either pSD11-Livin or pSD11-Survivin (P<0.05). The relative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Livin and Survivin in the co-transfected cells were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single-transfection (P<0.05). The inhibition rate of cell growth in the co-transfection group was higher than that in the single-transfection groups at 48 h, 60 h, or 72 h after transfection (P<0.01). The apoptotic rate increased to the greatest extent in the co-transfection group relative to any other group (P<0.05). Conclusions: Co-transfection with pSD11-Livin and pSD11-Survivin was more efficient than transfection with either vector alone in reducing the mRNA and protein expression of Livin and Survivin genes in HepG2 cells. Co-transfection also inhibited the proliferation of transfected cells more than the other groups, and induced cellular apoptosis more eff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