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AMPK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3초

Betulinic acid의 PI3K와 AMPK경로 활성화를 통한 3T3-L1 지방세포에서 포도당 흡수 촉진 효과 (Betulinic Acid Stimulates Glucose Uptake through the Activation of PI3K and AMPK in 3T3-L1 Adipocytes)

  • 이정경;박재은;한지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32권10호
    • /
    • pp.762-770
    • /
    • 2022
  • 제 2형 당뇨병은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 대사성 질환으로 인슐린 민감성및 저항성을 개선하여 세포속으로 포도당 흡수를 촉진시킴으로서 완화될 수 있다. 본 연구는 triterpenoid 화합물인 betulinic acid가 3T3-L1 지방세포에서 인슐린 신호전달체계를 개선하여 포도당 흡수를 촉진시키는지를 조사하고 그 작용기전을 규명하였다. Betulinic acid는 3T3-L1 지방세포에서 농도의존적으로 포도당 흡수를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이는 PM-GLUT4의 발현 증가와 관련이 있음을 관찰하였다. Betulinic acid는 인슐린 신호전달 경로에서 PI3K의 활성화 및 IRS-1tyr, Akt의 인산화를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또한 AMPK의 활성화를 나타내는 pAMPK와 AMPK 하위인자인 pACC의 수준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Betulinic acid에 의한 PI3K 및 AMPK 경로의 활성화를 증명하기 위해, PI3K 억제제(Wortmannin)와 AMPK의 억제제(Compound C)를 사용하여 이들 처리에 의한 포도당 흡수능과 PM-GLUT4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 이들의 발현이 유의하게 저해되었다. 본 연구에서 betulinic acid는 3T3-L1 지방세포에서 PI3K 및 AMPK 경로의 활성화를 통해 세포막으로 포도당 수송체인 GLUT4 전위를 촉진시키고 포도당 흡수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betulinic acid가 인슐린 민감성을 증진시키고 고혈당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탄력밴드 운동이 여성노인의 체조성, 혈중지질 및 AMPK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astic Band Exercise on Body Composition, Blood lipids and AMPK in the Elderly Women)

  • 최미리나;하수민;김도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995-1007
    • /
    • 2019
  • 본 연구는 12주간 탄력밴드 운동이 체조성, 혈중지질 및 AMPK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해 만 65세 이상 75세 이하의 여성 노인을 대상으로 운동군 12명, 대조군 12명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탄력밴드 운동 방법은 주 3회, 60분으로 1-4주는 OMNI-RES 3-4의 저강도, 5-8주는 OMNI-RES 5-6의 중강도, 9-12주는 OMNI-RES 7-8의 고강도로 실시하였다. 탄력밴드 운동 전 후 그룹 및 시기 간 상호작용을 검증하기 위하여 two way repeated measures ANOVA로 처리하였고, 측정된 자료의 그룹 내 차이는 paired t-test, 그룹 간 차이는 independent t-test, 집단 간 오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공변량 분석 analysis of covariance ANCOVA를 실시하였으며, 각 항목별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체지방률은 운동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5), 골격근량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1). 혈중지질 중 TC, TG, LDL-C는 운동군과 대조군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HDL-C는 대조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AMPK는 운동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1), 대조군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공변량분석 결과에 의하면 운동 후 그룹 간 AMPK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OMNI 저항운동 척도를 이용한 12주간 탄력밴드 운동이 여성노인의 체조성 및 AMPK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사료된다.

후코이단의 3T3-L1 지방세포에서 PI3K/AMPK 경로를 통한 포도당 흡수 촉진 및 인슐린 민감성 증진 효과 (Fucoidan Stimulates Glucose Uptake via the PI3K/AMPK Pathway and Increases Insulin Sensitivity in 3T3-L1 Adipocytes)

  • 이지희;박재은;한지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9
    • /
    • 2021
  • 본 연구는 갈조류 유래 물질인 후코이단이 인슐린 민감성을 증진시키는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3T3-L1 지방세포에서 포도당 흡수에 미치는 후코이단의 영향을 측정하고 그 작용기전을 조사하였다. 후코이단은 지방세포에서 포도당 흡수를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며 이는 PM-GLUT4의 발현 증가와 관련이 있음을 관찰하였다. 후코이단은 인슐린 신호전달 경로에서 PI3K의 활성화 및 pIRS1tyr, Akt, PKCλ/ζ의 인산화를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또한, AMPK의 활성화를 나타내는 pAMPK 수준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들 PI3K 및 AMPK 활성화는 포도당 수송체인 GLUT4를 세포막으로 이동시켰으며 이로 인하여 PM-GLUT4의 발현이 증가되고 포도당 흡수가 촉진되었다. 후코이단에 의한 PI3K 및 AMPK 경로의 활성화를 증명하기 위해, PI3K 억제제인 Wortmannin과 AMPK의 억제제인 Compound C를 사용하여 이들 처리에 의한 포도당 흡수능과 PM-GLUT4의 발현을 측정한 결과 이들의 발현이 유의하게 저해되었다. 따라서 후코이단은 3T3-L1 지방세포에서 PI3K 및 AMPK 경로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인슐린 민감성을 증진하고 포도당 흡수를 촉진시킬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서로 다른 식이 섭취와 일회 지구성 운동 후 쥐 골격근 내 AMPK와 MAPK 발현 (The effect of different dietary on expression of AMPK and MAPK in rat muscle after a bout endurance exercise)

  • 어수주;김효식;이미숙;김종규;이종삼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2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07-408
    • /
    • 2012
  • 요약은 이 연구는 다양한 식이 섭취와 일회 지구성 운동으로 야기되는 근육(백색 비복근) 내 AMP-activated protein kinase(AMPK),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ERK 1/2)와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MAPK)의 신호전달체계를 구명해 보고자 실시되었다. 실험에 사용된 쥐(Sprague-Dawley)는 총 160마리로 크게 일반 탄수화물 식이(CHO; 40마리), 포화지방 식이(SAFA; 40마리), 단일불포화 식이(MUFA; 40마리)와 다불포화 식이(PUFA; 40마리)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운동 프로그램은 일회 지구성 운동으로 30분 운동 후 5분 휴식의 사이클을 지속적으로 6번 반복하여 총 3시간의 지구성 수영 운동을 실시하였고, 분석을 위한 조직 샘플링은 운동 전, 운동 후 0시간, 1시간, 4시간, 24시간에 걸쳐서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는 서로 다른 식이 섭취와 운동에 따른 AMPK의 신호전달 단백질의 발현은 유의한 치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서로 다른 식이를 섭취한 쥐의 근육에서 ERK 1/2(p<.01)와 p38 MAPK(p<.001)의 신호전달 단백질의 발현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흥미로운 결과는 운동에 대한 유의한 차이는 AMPK, ERK1/2와 p38 MAPK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일회 지구성 운동보다 서로 다른 식이의 섭취가 근육 내(백색 비복근)의 대사적 변화를 일으키는데 주도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할 수 있다.

  • PDF

Losartan Inhibits Vascular Smooth Muscle Cell Proliferation through Activation of AMP-Activated Protein Kinase

  • Kim, Jung-Eun;Choi, Hyoung-Chul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4권5호
    • /
    • pp.299-304
    • /
    • 2010
  • Losartan is a selective angiotensin II (Ang II) type 1 ($AT_1$) receptor antagonist which inhibits vascular smooth muscle cells (VSMCs) contraction and proliferation. We hypothesized that losartan may prevent cell proliferation by activating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in VSMCs. VSMCs were treated with various concentrations of losartan. AMPK activation was measured by Western blot analysis and cell proliferation was measured by MTT assay and flowcytometry. Losartan dose- and time-dependently increased the phosphorylation of AMPK and its downstream target, acetyl-CoA carboxylase (ACC) in VSMCs. Losartan also significantly decreased the Ang II- or 15% FBS-induced VSMC proliferation by inhibiting the expression of cell cycle associated proteins, such as p-Rb, cyclin D, and cyclin E. Compound C, a specific inhibitor of AMPK, or AMPK siRNA blocked the losartan-induced inhibition of cell proliferation and the $G_0/G_1$ cell cycle arrest. These data suggest that losartan-induced AMPK activation might attenuate Ang II-induced VSMC proliferation through the inhibition of cell cycle progression.

Chromium acetate stimulates adipogenesis through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and phosphorylation of adenosine monophosphate-activated protein kinase in bovine intramuscular or subcutaneous adipocytes

  • Kim, Jongkyoo;Chung, Kiyong;Johnson, Bradley J.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3권4호
    • /
    • pp.651-661
    • /
    • 2020
  • Objective: We hypothesized that Cr source can alter adipogenic-related transcriptional regulations and cell signaling.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the biological effects of chromium acetate (CrAc) on bovine intramuscular (IM) and subcutaneous (SC) adipose cells. Methods: Bovine preadipocytes isolated from two different adipose tissue depots; IM and SC were used to evaluate the effect of CrAc treatment during differentiation on adipogenic gene expression. Adipocytes were incubated with various doses of CrAc: 0 (differentiation media only, control), 0.1, 1, and 10 μM. Cells were harvested and then analyzed by real-time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in order to measure the quantity of adenosine monophosphate-activated protein kinase-α (AMPK-α), CCAAT enhancer binding protein-β (C/EBPβ), G protein-coupled receptor 41 (GPR41), GPR43,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γ (PPARγ), and stearoyl CoA desaturase (SCD) mRNA relative to ribosomal protein subunit 9 (RPS9). The ratio of phosphorylated-AMPK (pAMPK) to AMPK was determined using a western blot technique in order to determine changing concentration. Results: The high dose (10 μM) of CrAc increased C/EBPβ, in both IM (p = 0.02) and SC (p = 0.02). Expression of PPARγ was upregulated by 10 μM of CrAc in IM but not in SC. Expression of SCD was also increased in both IM and SC with 10 μM of CrAc treatment. Addition of CrAc did not alter gene expression of glucose transporter 4, GPR41, or GPR43 in both IM and SC adipocytes. Addition of CrAc, resulted in a decreased pAMPKα to AMPKα ration (p<0.01) in IM. Conclusion: These data may indicate that Cr source may influence lipid filling in IM adipocytes via inhibitory action of AMPK phosphorylation and upregulating expression of adipogenic genes.

Lactobacillus plantarum DR7 Reduces Cholesterol via Phosphorylation of AMPK That Down-regulated the mRNA Expression of HMG-CoA Reductase

  • Lew, Lee-Ching;Choi, Sy-Bing;Khoo, Boon-Yin;Sreenivasan, Sasidharan;Ong, Kee-Leong;Liong, Min-Tze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350-361
    • /
    • 2018
  • Hypercholesterolemia is one of the primary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s. The use of lactobacilli probiotics to reduce blood cholesterol levels have been extensively reported. However, more information is needed to evaluate the possible mechanisms involved and to identify possible targets for further therapeutic development. In this study, strains of lactobacilli were screened based on the ability to assimilate cholesterol, and prevention of cholesterol accumulation in hepatic (HepG2) and intestinal (HT-29) cells. Cell free supernatant (CFS) from Lactobacillus plantarum DR7 showed a higher ability to assimilate cholesterol, reduction in cholesterol accumulation in both HepG2 and HT-29 cells, accompanied by reduced mRNA expression of HMG-CoA reductase (HMGCR) in HepG2 (p<0.05), compared to other lactobacilli. The reduction of HMGCR expression was also diminished in the presence of an AMPK inhibitor (Compound C), suggesting that L. plantarum DR7 exerted its effect via the AMPK pathway, typically via the phosphorylation of AMPK instead of the AMPK mRNA expression in HepG2 (p<0.05). Altogether, our present study illustrated that lactobacilli could exert cholesterol lowering properties along the AMPK pathway, specifically via phosphorylation of AMPK that led to reduced expression of HMGCR.

당뇨유발 흰쥐에서 당수송 인자와 AMP-Activated Protein Kinase의 조절에 대한 데커신과 데커시놀 안젤레이트의 효과 (Glucose Transporters and AMP-Activated Protein Kinase Modulation Effects of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 on Diabetic Rats)

  • 옥선;이주희;김익환;강재선
    • 약학회지
    • /
    • 제55권4호
    • /
    • pp.301-308
    • /
    • 2011
  • Diabetes has been one of major health risks in industrialized countries.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has been focused as a novel therapeutic target for the treatment of metabolic syndromes, because AMPK increases glucose uptake through independent insulin signal pathwa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diabetic effect of Angelica gigas Nakai extract (AGNEX), a mixture of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 (53 : 47), decursin and decursinol angelate on blood glucose, glucose transport (GLUT) and AMPK expression levels in streptozotocin (STZ)-induced diabetic rats. To induce diabetes, 50 mg/kg of STZ was injected via i.v. route and AGNEX 2 mg/kg (STZ+AG), decursin 2 mg/kg (STZ+D), decursinol angelate 2 mg/kg (STZ+DA), and metformin 100 mg/kg (STZ+M) were administered orally for 21 days. STZ+DA group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fasting blood glucose levels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Decursinol angelate significantly upregulated expression of glucose transporter 4 (GLUT4) and phosphorylation of AMPK (p-AMPK) in skeletal muscle of rats. In pancreas of rats, decursinol angelate significantly increased expression of GLUT2 through down-regulation of p-AMPK. In addition to the result of pancreatic islets morphology, AGNEX, decursin, decursinol angelate, and metformin treated group recovered ${\beta}$-cell damage by hyperglycemia.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ecursinol angelate might be a potential anti-diabetic agent and AGNEX could be useful in the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진피 에탄올 추출물의 AMPK signaling pathway를 통한 3T3-L1 지방전구세포의 adipogenesis 억제에 관한 연구 (Ethanol Extracts of Citrus Peel Inhibits Adipogenesis through AMPK Signaling Pathway in 3T3-L1 Preadipocytes)

  • 조현균;한민호;홍수현;최영현;박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85-29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3T3-L1 지방전구세포가 지방세포로 분화되는 과정에서 진피 에탄올 추출물(ethanol extracts of citrus peel, EECP)이 유발하는 항비만 효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3T3-L1 세포의 생존율 및 증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농도의 EECP를 처리하였을 경우 지방세포에서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lipid droplet의 형성과 triglyceride의 생성도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EECP가 유발하는 지방세포로의 분화억제에는 PPARγ, C/EBPα, C/EBPβ 및 SREBP-1c 등과 같은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의 발현억제가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결과로 aP2 및 Leptin과 같은 adipocyte expressed genes의 발현도 억제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EECP는 AMPK 및 ACC의 인산화를 유발하였으며, AMPK 억제제인 Compound C를 이용하여 AMPK의 활성을 억제하였을 경우 EECP에 의한 AMPK의 인산화와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의 억제현상이 회복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EECP는 AMPK signaling pathway를 통하여 항비만 효능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 비만 예방 및 억제와 관련된 기능성 소재로서의 진피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한 것으로서 그 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차전초 잎의 물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로 비만이 유도된 C57BL/6 생쥐에서 지질대사 단백질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aginis asiaticae Folium water extract on expression of lipid-related protein expression metabolism in high fat-induced obese C57BL/6 mice)

  • 김소영;정미진;김유진;이은탁;추성태;김미려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63-70
    • /
    • 2018
  • Objective :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water extract of Plantago asiatica (Plantaginis asiaticae Folium, PAF) significantly controlled in body weights, adipose tissue weights and blood lipid profiles in obese C57BL/6 mice. To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anti-obesity action of PAF, expressions of obesity-related proteins were identified such as p-AMPK and p-ACC in hypothalamus, UCP-1 in brown adipose tissue, p-AMPK, p-ACC, SREBP-1c, $PPAR{\gamma}$, HMGCR and CPT-1 in liver. Method : Five-weeks old male C57BL/6 mice were divided into 5 groups; ND (normal diet + 0.9% saline), HFD (high-fat diet + 0.9% saline), PC (high-fat diet+Garcinia cambogia 500 mg/kg), PAF 100 and 300 (high-fat diet + PAF 100 or 300 mg/kg). PAF was treated orally for 6 weeks. The protein expression of AMPK, p-AMPK, ACC, p-ACC, $PPAR{\gamma}$, SREBP-1c, HMGCR, CPT-1 and UCP-1 were identified by expression levels of proteins through western blot analysis. Result : The results showed that protein expressions on hypothalamic p-AMPK and p-ACC did not differ between the HFD and PAF groups. In addition, PAF did not affect the increase of UCP-1 in brown adipose tissue. The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hepatic p-AMPK, p-ACC and CPT-1 increased in PAF groups compared to HFD group. And those of $PPAR{\gamma}$, SREBP-1c and HMG-CoA decreased in PAF groups compared to HFD group.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AF administration induce weight loss via inhibition of lipid metabolism-related protein expressions in hepatic tissues. Therefore, PAF could be used as a potent material of anti-obesity product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be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