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zone and temperature

검색결과 361건 처리시간 0.03초

대기복사전달모델을 이용한 제주지역 도심 및 배경지점에서의 온실가스에 따른 복사강제력 영향 연구 (Influence of Greenhouse Gases on Radiative Forcing at Urban Center and Background Sites on Jeju Island Using the Atmospheric Radiative Transfer Model)

  • 이수정;송상근;한승범
    • 대기
    • /
    • 제27권4호
    • /
    • pp.423-433
    • /
    • 2017
  • The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in radiative forcing (RF) and mean temperature changes of greenhouse gases (GHGs), such as $CO_2$, $CH_4$, and $N_2O$, were analyzed at urban center (Yeon-dong) and background sites (Gosan) on Jeju Island during 2010~2015, based on a modeling approach (i.e., radiative transfer model). Overall, the RFs and mean temperature changes of $CO_2$ at Yeon-dong during most years (except for 2014) were estimated to be higher than those at Gosan. This might be possibly because of its higher concentrations at Yeon-dong due to relatively large energy consumption and small photosynthesis and also the difference in radiation flux due to the different input condition (e.g., local time and geographic coordinates of solar zenith angle) in the model. The annual mean RFs and temperature changes of $CO_2$ were highest in 2015 ($2.41Wm^{-2}$ and 1.76 K) at Yeon-dong and in 2013 ($2.22Wm^{-2}$ and 1.62 K) at Gosan (except for 2010 and 2011). The maximum monthly/seasonal mean RFs and temperature changes of $CO_2$ occurred in spring (Mar. and/or Apr.) or winter (Jan. and/or Feb.) at the two sites during the study period, whereas the minimum RFs and temperature changes in summer (Jun.-Aug.). In the case of $CH_4$ and $N_2O$, their impacts on the RF and mean temperature changes were very small (an order of magnitude lower) compared to $CO_2$. The spatio-temporal differences in these RF values of GHGs might primarily depend on the atmospheric profile (e.g., ozone profile), surface albedo, local time (or solar zenith angle), as well as their mass concentrations.

충청남도 서산시 기온의 통계적 모형 연구 (Analysis of statistical models on temperature at the Seosan city in Korea)

  • 이훈자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5권6호
    • /
    • pp.1293-1300
    • /
    • 2014
  • 기온의 변화는 국가 정책에 여러 가지 영향을 준다. 본 연구에서는 충청남도 서산시 2003년 ~ 2012년 기온을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기상자료, 온실가스자료, 대기자료를 이용하여 자기회귀오차 (autoregressive error)모형으로 월별과 계절별로 분석하였다. 기온을 위한 기상자료로는, 풍속, 강수량, 일사량, 운량, 습도를 사용했고, 온실가스자료는 이산화탄소 ($CO_2$), 메탄 ($CH_4$), 아산화질소 ($N_2O$), 염화불화탄소 ($CFC_{11}$), 대기자료는 미세먼지 ($PM_{10}$), 이산화황 ($SO_2$), 이산화질소 ($NO_2$), 오존 ($O_3$), 일산화탄소 (CO)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자기회귀오차모형으로 월별 기온을 39%-63% 정도 설명할 수 있다.

모발 및 피부 개선의 오존화 올리브 오일 생산에 대한 안전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Safety of Olive Oil Production Ozonized of Hair and Skin Improvement)

  • 박선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583-587
    • /
    • 2015
  • 본 연구는 부작용 없고 문제성 두피 및 피부개선 등에 효과가 좋지만 온도와 습도에 민감한 오존크림을 일정한 과산화물가와 방전관 내구성 안정적인 생산을 위한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올리브 오일과 오존과 반응시켜 제조하는 기술에 적용하고자 한다. 오존화 올리브 오일의 과산화물가가 1200 meg/kg 넘을 경우 미생물 살균에는 좋으나 두피 및 피부에 과민반응을 보이기 때문에 위험을 최소화하여 생산되도록 하는 것이 본 연구 및 실험의 목적이다. 그리고 안정된 생산을 위하여 제조 장치중에 방전관의 내구성도 실험하였다. 그 실험 결과 오존화 올리브오일의 과산화물가가 1300 meg/kg 로 적정하게 측정되었고, 방전관도 안정된 결과를 보였다.

Experimental Study on Air Decomposition By-Product Under Creepage Discharge Fault and Their Impact on Insulating Materials

  • Javed, Hassan;LI, Kang;Zhang, Guoqiang;Plesca, Adrian Traian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3권6호
    • /
    • pp.2392-2401
    • /
    • 2018
  • Creepage discharge faults in air on solid insulating material play a vital role in degradation and ageing of material which ultimately leads to breakdown of power equipment. And electric discharge decompose air in to its by-products such as Ozone and $NO_x$ gases. By analyzing air decomposition gases is a potential method for fault diagnostic in air. In this paper, experimental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study the effect of creepage discharge on rate of generation of air decomposition by-products using different insulating materials such as RTV, epoxy and fiberglass laminated sheet. Moreover XRF analysis has been done to analyze creepage discharge effect on these insulating materials. All experiments have been done in an open air test cell under constant temperature and pressure conditions. While analysis has been made for low and high humidity conditions. The results show that the overall concentration of air decomposition by-products under creepage discharge in low humidity is 4% higher than concentration measured in high humidity. Based on this study a mathematical relationship is also proposed for the rate of generation of air decomposition by-products under creepage discharge fault. This study leads to indirect way for diagnostic of creepage discharge propagation in air.

미세기포 오존과 생물여과 시스템을 이용한 생활하수의 3차 처리에 관한 연구 (Tertiary Treatment of Sewage by Micro Bubble Ozone and BAF System)

  • 강동한;장영호;김종수;김극태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877-884
    • /
    • 2011
  • In this paper, the removal characteristics of dissolved organic carbon (DOCs) by micro bubble ozonation process and $O_3/UV$ process were comparatively studied. In the point of DOC removing reaction coefficient, micro bubble ozonation system and $O_3/UV$ process had not significant difference, $0.0120sec^{-1}$ and $0.0141sec^{-1}$. Therefore micro bubble ozonation process is more suitable for tertiary treatment of sewage in the point of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st-reducing. The optimum ozone injection rate was 2.0 g $O_3/g$ DOC and HRT was 3 min for the micro bubble ozonation process. The removal efficiency of DOC and SUVA in micro bubble ozonation system was 32.8% and 58.3% respective. Biological aerated filter (BAF) process was installed to remove soluble organic material increased by micro bubble ozonation system. And the effluent BOD of BAF was below 1.0 mg/L. In the view of cost-effectiveness, $O_3/BAF$ process was more profitable than $O_3/UV/BAF$ process for tertiary treatment of sewage. In order to nitrify ammonia in the BAF process completely, $NH_4{^+}-N$ concentration in the influent water of BAF should be designed considering low water temperature in the winter season.

도시농업의 도시열섬현상 저감효과에 대한 계량화 평가연구 (Evaluation of the Effect of Urban-agriculture on Urban Heat Island Mitigation)

  • 엄기철;정필균;박소현;유성녕;김태완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848-852
    • /
    • 2012
  • 도시지역의 식물에 의한 도시열섬 현상 저감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서울, 부산, 대구, 대전, 광주, 수원 등 6개 도시지역의 근래 30년간 (1979-2008) 폭염기의 최고온도, 식물에 의한 온도 하강, 작물 증발산량, 대기오염 방지 기능 등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서울, 수원 등 6개 도시의 30년간 (1979-2008) 년 중 폭염기인 7월 하순과 8월 상순의 순 평균최고기온의 평균값은 $35.03^{\circ}C$ 이었다. 2. 6개 도시의 폭염기 (7월하순 - 8월상순) 동안 벼와 콩의 최대 일평균증발산량은 각각 $6.86ton\;10a^{-1}day^{-1}$$6.00ton\;10a^{-1}day^{-1}$ 이었다. 3. 수원시 중심지에 위치한 도시 농경지의 도시열섬 저감 효과의 지표로 볼 수 있는, 벼 및 콩 군락의 온도와 기온과의 차이는 각각 $10.5^{\circ}C$$3.0^{\circ}C$ 이었다. 4. 안성시 외각에 위치한 도시농경지에서 폭염기간 동안벼 및 콩 군락과 대기의 온도 차이는 각각 평균 $2.6^{\circ}C$$2.2^{\circ}C$ 이었다. 5. 2012년 년 중 최고 폭염일 (8월 5일)의 수원시 중심지에 위치한 도시 정원 식물 체 잎 표면온도는 대기온도 대비 $2.0^{\circ}C$, 도시건물 외벽 대비 $14.5^{\circ}C$ 더 낮았다. 6. 수원시 중심지의 식물에 의한 도시열섬 저감효과를 전력량으로 비교하면 벼 5,250. 콩 2,200, 도시정원 식물 $1,000MW\;day^{-1}$ 이었다. 7. 수원시 중심지 폭염기의 작물 증발산량과 잠열에 의한 도시 열섬 현상 저감 효과를 원유의 양으로 비교하면, 벼 462.9, 콩 401.4 L원유 $10a^{-1}day^{-1}$ 이었다. 8. 수원시 중심지 폭염기의 작물에 의한 $CO_2$ 흡수량은, 벼 20.27, 콩 $15.54kg\;CO_2\;10a^{-1}day^{-1}$ 이었다. 9. 수원시 중심지 폭염기의 작물에 의한 $O_2$ 발생량은 벼 14.74, 콩 $11.30kg\;O_2\;10a^{-1}day^{-1}$ 이었다. 10. 수원시 중심지 폭염기의 작물에 의한 오존 농도 저감 효과는 벼 21.0, 콩 8.8 및 도시정원 식물 4.0 ppb 이었다.

Dimethyl Phthalate의 오존산화 반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f Ozonation of Dimethyl Phthalate)

  • 이철규;송준오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703-709
    • /
    • 2013
  • 실험실적 규모의 순환형 회분식 반응기에서 Dimethyl phthalate (DMP)성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Al_2O_3$촉매의 주입 그리고 반응온도의 조건을 달리하여 오존산화 반응을 수행하였다. 산화 반응에서 오존의 유량은 $1.0Lmin^{-1}$, 오존 농도를 $300{\pm}10mgL^{-1}$로 일정하게 유지 하였으며, 산화 반응이 진행되는 60분 동안 10분 간격으로 pH, $COD_{Cr}$와 TOC를 측정하여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O_3/Al_2O_3$에서는 $O_3$ 단독 공정에 비해 $COD_{Cr}$ 및 TOC 측정값에 기초한 제거효율은 증가하였으며, $20^{\circ}C$에서 $COD_{Cr}$ 및 TOC의 반응속도상수는 $3.65{\times}10^{-4}sec^{-1}$, $2.52{\times}10^{-4}sec^{-1}$, 활성화 에너지는 $0.75kcal{\cdot}mol^{-1}$, $0.70kcal{\cdot}mol^{-1}$로 각각 나타났다.

펄스 코로나 방전에 의한 액체상 페놀 전환 특성 (Phenol Conversion Properties in Aqueous Solution by Pulsed Corona Discharge)

  • 이현돈;정재우;조무현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40-46
    • /
    • 2007
  • 펄스 코로나 방전에 의한 페놀 수용액 처리 특성에 관해 실험실 규모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페놀 전환에 미치는 인가전압, 유입 산소, 전극 구조의 영향을 관찰하였다. 액체상 내에서 일어나는 방전은 전류 흐름으로부터 용액으로의 열전달에 의해 용액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페놀을 분해하여 각종 유기산을 생성시킴으로써 pH를 감소시키며, 하전입자의 생성과 유기산 생성으로 인해 용액의 전도도 값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산소는 용액 내에서 오존 생성과 용해를 통해 OH 라디칼을 생성시킴으로써 페놀의 분해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전이 액체상 및 기체상에서 동시에 발생하는 series type의 전극 구조를 사용하면 기체상에서 높은 농도의 오존을 생성시킬 수 있으므로 액체상에서만 방전이 발생하는 reference type의 전극 구조에서보다 높은 페놀 분해 속도와 TOC 제거 효율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Flux-gradient similarity theory 적용에 따른 태화산 산림지표 토양NO플럭스 분석 (Practical Use of Flux Gradient Similarity Theory for Forest Soil NO Flux at Mt. Taewha)

  • 김득수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531-537
    • /
    • 2014
  • Terrestrial vegetation has been known as a main source of biogenic volatile organic compounds (BVOCs). Isoprene and monoterpene among the BVOCs are most abundant species emitted by forests, an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tmospheric chemistry. Abundancy of these species could lead to an increase or decrease in the production of natural tropospheric ozone in forests, depending on the nitric oxide (NO) concentration. Soil is the most significant source of natural NO. Understanding of NO emission from forest soil could be critical in evaluation of air quality in the forest area. Flux-gradient similarity theory (FGST) was applied for practical use to estimate forest soil NO emission at Mt. Taewha where is available micro-meteorological data near surface monitoring from flux tower. NO fluxes calculated by FGST were compared to flux results by flow-through dynamic chamber (FDC) measurement. Surface NO emission trends were shown between two different techniques, however their magnitudes were found to be different. NO emissions measured from FDC technique were relatively higher than those from theoretical results. Daily mean NO emissions resulted from FGST during Aug. 13, 14 and 15 were $0.28{\pm}8.45$, $2.17{\pm}15.55$, and $-3.18{\pm}13.65{\mu}gm^{-2}hr^{-1}$, respectively, while results from FDC were $2.26{\pm}1.44$, $5.11{\pm}3.85$, and $2.23{\pm}6.45{\mu}gm^{-2}hr^{-1}$. Trends of daily means were shown in similar pattern, which NO emissions were increasing during late afternoon ($r^2$=0.04). These emission trends could be because soil temperature and moisture influence importantly soil microbiology.

Trans-octylene rubber(TOR)의 첨가가 NBR/EPDM 고무블렌드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rans-octylene rubber(TOR) on the properties of NBR/EPDM rubber blends)

  • 신영식;장영욱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35권2호
    • /
    • pp.149-156
    • /
    • 2000
  • trans-octylene rubber(TOR)를 비상용성 블렌드인 NBR/EPDM(70/30)에 첨가하고, 이에 따른 혼합 특성 모폴로지 및 물성의 변화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TOR이 첨가됨으로써 블렌드 시 혼합에너지가 감소하였고, 혼합 시 수반되는 온도상승도 저하됨을 볼 수 있었다. 블렌드의 모폴로지를 SEM으로 관찰한 결과, EPDM이 NBR 매트릭스에 분산된 형태인 것을 알았으며, TOR의 첨가에 의해 분산상인 EPDM상이 균일하고 미세해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TOR이 첨가됨으로써 NBR/EPDM의 인장강도, 파단신율 및 모듈러스 둥의 인장물성이 향상되었다. 오존저항성은 임계 응력-변형관계로부터 정량적으로 평가하였으며, TOR이 첨가된 블렌드에서 오존크랙을 일으키는 임계에너지값이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TOR의 첨가로 인한 NBR/EPDM 블렌드의 물성 향상은 모폴로지의 미세화와 사슬얽힘으로 인한 가교밀도의 변화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