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xygenation

검색결과 406건 처리시간 0.034초

운동과제에 대한 클로피도그렐의 약리적 뇌자기공명영상 (Pharmacological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Cloropidol on Motor Task)

  • 장용민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6권2호
    • /
    • pp.136-141
    • /
    • 2012
  • 목적: 정상인에서 항혈소판제제인 클로피도그렐이 손운동기능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운동기능의 생리학적 반응에 대한 약리적 조절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10명의 오른손잡이 정상인을 대상으로 클로피도그렐 사용전, 최대 복용량 복용후, 정상상태 유지시로 세번에 걸쳐 뇌기능 자기공명영상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운동과제로는 주먹을 쥐었다 폈다하는 운동을 시행하였고 3.0 테슬라 자기공명영상기기에서 혈액산소의존성(BOLD) 대조도를 획득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T2^*$ 강조 EPI 영상기법을 사용하였다. 뇌기능 자기공명영상 데이터의 영상전처리 및 통계분석은 SPM2를 사용하였다. 결과: 이차수준 분석에서 주운동영역을 포함하는 편측 감각운동중추의 활성화가 나타났다. 클로피도그렐 사용전의 활성화 화소수는 173, 최대 복용량 복용후 활성화 화소수는 1049, 정상상태 유지시 활성화 화소수는 673 이었다. 최대 T값을 기준으로 측정한 BOLD 신호의 강도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클로피도그렐에 의해 대뇌 운동 활성이 조절된다는 사실과 또한 뇌기능 자기공명영상이 이러한 변화를 감지할수 있을만큼 높은 민감성을 가진다는 사실을 제안하고 있다.

마산-진해만의 수질 부영양화 및 계절 변동 (Eutrophica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in Masan-Jinhae Bay)

  • 조경제;최만영;곽승국;임성호;김대윤;박종규;김영의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3권4호
    • /
    • pp.193-202
    • /
    • 1998
  • 마산-진해만에서 1996년 1월부터 1997년 8월까지 영양염류, 용존산소, 해수 투명도 등 수질의 부영양화 요인과 식물플랑크톤 생물량의 수직변동, 공간분포 및 계절변동 등을 조사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은 4월부터 10월까지 번무하였으며, 이 기간에는 편모조류가 단독으로 발생하거나 여러 종이 혼합 발생하는 등 매우 역동적인 양상을 보였다. 식물플랑크톤 대발생 시기에는 염분이 감소하였고, 편모조류의 번무로 수색이 변하거나 물의 투명도가 떨어졌다. 여름에 하층은 빈산소상태였으나 상층은 산소의 과포화상태로서 상 하층에 용존산소의 성층화가 형성되었고, 그 구배가 컸다. 반면 겨울에는 영양염류의 수직 분포가 균일하였고, 마산 내만에서 진해 외만에 걸쳐 영양염류의 수평적 구배가 발달하였다. 마산-진해만 수질은 여름에는 저질 퇴적층에서 용출되는 영양염류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나, 겨울에는 마산시와 창원시 등 주변 집수역에서 유입되는 오 폐수의 영향을 주로 받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과거 마산-친해만 일원의 수질 분석 자료를 수집하여 마산만 돌섬과 부도 사이의 수질을 연 평균값으로 표준화시킨 결과, COD와 $PO_4$가 비교 가능하였다. 1970년부터 1990년까지 마산만에서 COD와 $PO_4$ 농도는 점진적으로 증가하였으나, 1991년 이후 다소 둔화되거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991년부터 1994년까지 마산 내만에서 행한 저질 퇴적층의 준설이 이 지역의 수질 악화를 다소 완화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우심방 이성체를 동반한 복잡 심기형에 대한 적극적인 수술적 치료 (Aggressive Surgical Treatment for Complex Cardiac Anomalies Associated with Right Atrial Isomerism)

  • 황의동;정성호;장원경;김영휘;윤태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8호
    • /
    • pp.569-573
    • /
    • 2007
  • 기능성 단 심실, 폐동맥 폐쇄, 주 대동맥-폐동맥 측부 혈관, 총폐정맥 환류 이상이 동반된 우심방 이성체의 진단을 받은 여아가 청색증의 악화로 생후 3개월째 좌측 주 대동맥-폐동맥 측부 혈관 단일화 수술 및 좌측 변형 Blalock-Taussig 단락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흉부 x-ray 상 폐정맥 울혈의 소견을 보여 시행한 심장 초음파 검사 상 폐정맥 협착이 발견되어 총폐정맥 환류 이상에 대한 무 봉합 술식 및 우측 주 대동맥-폐동맥 측부 혈관에 대한 단일화 수술을 같이 시행하였다. 수술 후 저산소증으로 인한 심폐기 이탈 실패로 8일간 체외 막형 산화기로 보조하였으며, 전신-폐 단락술을 추가하면서 체외 막형 산화기를 이탈할 수 있었다. 환아는 장기간의 기관 삽관으로 유발된 기관 협착으로 기관지 절개를 한 상태에서 1차 수술 후 104일째 퇴원하였고, 산소 투여 없이 산소 포화도 80% 정도로 유지하면서 2개월째 외래 관찰 중이다.

심한 이첨판 역류를 가진 개에 실시한 이첨판 성형술의 실패 원인 (Failure of Mitral Valve Repair in a Dog with Severe Mitral Regurgitation)

  • 김민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16-421
    • /
    • 2012
  • 10살령의 4 kg 암컷 치와와가 심한 울혈성심부전의 수술적 치료를 위해서 내원하였다. 여러 가지 진단을 통해 이 환자는 심한 이첨판 폐쇄부전과 중등도의 삼천판 폐쇄부전이 확인되었다. 약물에 대한 치료적인 반응이 여의치 않아, 수술적으로 이첨판을 교정하는 치료방법으로 지시되었다. 체외순환을 이용한 심폐순환기하에서 이첨판교정술이 실시되었다. 하지만 이 환자는 교정 후에 마취에서 회복되지 못하고 사망하였다. 심장수술에 있어 실패를 유발하는 여러 가지 원인들에는 심폐순환기 운용, 저체온증, 장기부전, 출혈, 저혈압, 전해질과 산-염기 불균형, 그리고 감염 등이 있다. 비록 이 환자는 사망하였지만, 그 원인을 밝혀 내는 일은 수의학 분야에서 중요한 일이다. 이 증례의 사망원인을 고찰해 본 결과, 심한 저체온증에 의한 가스환기와 산소공급의 이상 그리고 심장수술과 관련한 저심박출량 증후군으로 인한 낮은 심박동수를 동반한 저혈압으로 사망한 것으로 생각되었다. 이 증례의 원인 규명을 위한 고찰은 이첨판성형술의 성공을 위해서는 좀더 세심한 주의가 요구됨을 알 수 있게 해주었고, 나아가 앞으로의 수술에서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Nafamostat Mesilate Inhibits TNF-${\alpha}$-Induced Vascular Endothelial Cell Dysfunction by Inhibiting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 Kang, Min-Woong;Song, Hee-Jung;Kang, Shin Kwang;Kim, Yonghwan;Jung, Saet-Byel;Jee, Sungju;Moon, Jae Young;Suh, Kwang-Sun;Lee, Sang Do;Jeon, Byeong Hwa;Kim, Cuk-Seo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9권3호
    • /
    • pp.229-234
    • /
    • 2015
  • Nafamostat mesilate (NM) is a serine protease inhibitor with anticoagul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NM has been used in Asia for anticoagulation during extracorporeal circulation in patients undergoing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and extra 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Oxidative stress i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atherosclerotic vascular disease and is associated with vascular endothelial function. We investigated whether NM could inhibit endothelial dysfunction induced by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s) were treated with TNF-${\alpha}$ for 24 h. The effects of NM on monocyte adhesion, vascular cell adhesion molecule-1 (VCAM-1) and intracellular adhesion molecule-1 (ICAM-1) protein expression, p38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MAPK) activation, and intracellular superoxide production were then examined. NM ($0.01{\sim}100{\mu}g/mL$) did not affect HUVEC viability; however, it inhibited the increases in reactive oxygen species (ROS) production and p66shc expression elicited by TNF-${\alpha}$ (3 ng/mL), and it dose dependently prevented the TNF-${\alpha}$ -induced upregulation of endothelial VCAM-1 and ICAM-1. In addition, it mitigated TNF-${\alpha}$ -induced p38 MAPK phosphorylation and the adhesion of U937 monocytes. These data suggest that NM mitigates TNF-${\alpha}$ -induced monocyte adhesion and the expression of endothelial cell adhesion molecules, and that the anti-adhesive effect of NM is mediated through the inhibition of p66shc, ROS production, and p38 MAPK activation.

활성자극 파라다임 fMRI에서 저주파요동 성분분석 (Low Frequency Fluctuation Component Analysis in Active Stimulation fMRI Paradigm)

  • 나성민;박현정;장용민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14권2호
    • /
    • pp.115-120
    • /
    • 2010
  • 목적 : 활성자극 파라다임을 사용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데이터에서 자발적 요동에 해당하는 저주파 BOLD 신호의 존재여부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명의 여자 양궁선수들과 양궁 경험이 없는 23명의 여자들을 대상으로 finger-tapping 파라다임은 30초간의 운동기와 휴지기를 3회 반복하였다. 혈액산소수준의존(BOLD) fMRI 영상은 3.0 T MR 기기에서 경사자장 반향 EPI 영상을 해부학적 영상은 3차원 T1 강조영상을 사용하였다. 뇌활성화 차이는 SPM-5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저주파 요동성분을 찾기 위해 GIFT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결과 : 두군 모두에서 finger-tapping에 따라 대뇌좌측의 주운동영역과 보조운동영역 그리고 우측 소뇌에서의 활성화가 관찰되었다. GIFT를 사용한 ICA 분석에서 피검자들의 반측 감각운동망, 동측 감각운동망 그리고 인지기능과 연관된 신경망에 해당하는 독립적인 성분들이 구별되었다. 결론 : Finger-tapping fMRI 데이터에서 BOLD 신호의 자발적 요동에 해당하는 저주파 신호 성분들을 ICA 기법을 사용하여 분리해 낼수 있었고 이러한 독립성분들이 일차운동감각 신경망 그리고 운동 인지기능을 담당하는 신경망의 휴지기 신경활동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규명할 수 있었다.

흰쥐의 출혈성 쇼크에서 관류와 젖산 농도 비를 이용한 새로운 생존 예측 지표 개발 (A New Shock Index for Predicting Survival of Rats with Hemorrhagic Shock Using Perfusion and Lactate Concentration Ratio)

  • 최재림;남기창;권민경;장경환;김덕원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48권4호
    • /
    • pp.1-9
    • /
    • 2011
  • 쇼크(shock)란 조직에 필요한 산소 요구량과 공급 간의 불균형에 의해 유발되는 임상증후군을 말한다. 환자의 치료효과와 생존율 향상을 위해서 쇼크의 조기 진단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 쇼크 진단에 사용되는 맥박, 혈압 등 생체 징후의 경우 출혈 정도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여 환자에 대한 처치가 늦어질 수 있다. 따라서 쇼크의 조기 진단을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며, 조직의 저산소증, 대사성 산증을 반영해주는 지표인 젖산 농도와 관류 측정의 유용성이 입증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흰쥐를 대상으로 정량적 출혈을 유도한 후, 젖산 농도 측정과 laser Doppler flowmeter를 통해 관류를 측정하였으며, 지혈 후 젖산 농도/관류의 비(ratio)를 생존 예측을 위한 새로운 지표로써 제안하였다. 새로 제안된 지표를 통한 생존예측을 ROC 커브 방법에 적용한 결과, 민감도 90.0%, 특이도 96.7%, 정확도 94.0%를 보였으며, 생존군과 사망군 간 새로운 지표의 유의한 차이도 가장 조기에 보여주었다. 향후 임상 적용 연구를 통해 새롭게 제안한 지표의 임상 적용이 가능하다면, 쇼크 환자를 조기 진단하고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Short-term Mechanical Circulatory Support with a Centrifugal Pump - Results of Peripheral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or According to Clinical Situation

  • Lee, Woo-Surng;Chee, Hyun-Keun;Song, Meong-Gun;Kim, Yo-Han;Shin, Je-Kyoun;Kim, Jun-Seok;Lee, Song-Am;Hwang, Jae-Joon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4권1호
    • /
    • pp.9-17
    • /
    • 2011
  • Background: A peripheral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or (p-ECMO) has been developed to support patients who are dying due to a serious cardiopulmonary condition. This analysis was planned to define the clinical situation in which the patient benefits most from a p-ECMO. Material and Methods: Between June 2007 and Aug 2009, a total of 41 adult patients used the p-ECMO. There were 23 males and 18 females (mean age $54.4{\pm}15.1$ years). All patients had very unstable vital signs with hypoxia and complex cardiac problems. We divided the patients into 4 groups. In the first group, a p-ECMO was used as a bridge to cardiac operation. In the second group, patients did not have the opportunity to undergo any cardiac procedures; nevertheless, they were treated with a p-ECMO. In the third group, patients mostly had difficulty in weaning from CPB (cardiopulmonary bypass) after cardiac operation. The fourth group suffered from many complications, such as pneumonia, bleeding, infections, and LV dysfunction with underlying cardiac problems. All cannulations were performed by the Seldinger technique or cutting down the femoral vessel. A long venous cannula of $DLP^{(R)}$ (Medtronic Inc, Minneapolis, MN) or $RMI^{(R)}$ (Edwards Lifesciences LLC, Irvine, CA) was used together with a 17~21 Fr arterial cannula and a 21 Fr venous cannula. As a bypass pump, a Capiox emergency bypass system ($EBS^{(R)}$; Terumo, Tokyo, Japan) was used. We attempted to maintain a flow rate of $2.4{\sim}3.0\;L/min/m^2$ and an activated clotting time (ACT) of around 180 seconds. Results: Nine patients survived by the use of the p-ECMO. Ten patients were weaned from a p-ECMO but they did not survive, and the remainder had no chance to be weaned from the p-ECMO. The best clinical situation to apply the p-ECMO was to use it as a bridge to cardiac operation and for weaning from CPB after cardiac operation. Conclusion: Various clinical results were derived by p-ECMO according to the clinical situation. For the best results, early adoption of the p-ECMO for anatomical correction appears important.

스마트올인원 심폐순환보조장치의 안전성 및 성능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afety and Performance Evaluation of Smart All-in-one Cardiopulmonary Assist Device)

  • 박준현;호예지;이예림;이덕희;최재순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197-205
    • /
    • 2019
  • The existing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ECMO) and Cardiopulmonary bypass system(CPB) have been developed and applied to various devices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indications. However, due to the complicated configuration and difficult usage method, it causes inconvenience to users and there is a risk of an accident. Therefore, smart all-in-one cardiopulmonary circulation device is being developed recently. The smart all-in-one cardiopulmonary assist device consists of a blood pump for cardiopulmonary bypass, a blood oxidizer for cardiopulmonary bypass, a blood circuit for cardiopulmonary bypass, and an artificial cardiopulmonary device. It is an integrated cardiopulmonary bypass device that can be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such as emergency, intraoperative, post-operative intensive care, and long-term cardiopulmonary assist, combined with CPB used in open heart surgery and ECMO used when patient's cardiopulmonary function does not work normally. The smart all-in-one cardiopulmonary assist device does not exist as a standard and international standard applicable to advanced medical devices. Therefore, in this study, we will refer to the International Standard for Blood Components, the International Standard for Blood, the Guideline for Blood Products, and prepare applicable performance and safety guidelines to help quality control of medical devices, and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the health of people. The guideline, which is the result of conducted a survey of the method of safety and performance test,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all-in-one cardiopulmonary aiding device, related domestic foreign standards, the status of domestic and foreign patents, related literature, blood pump(ISO 18242), blood oxygenator (ISO 7199), and blood circuit (ISO 15676) for cardiopulmonary bypass.The items on blood safety are as follows: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ASTM F1841-97R17), and in the 2010 Food and Drug Administration's Safety Assessment Guidelines for Medical Assisted Circulatory Devices. In addition, after reviewing the guidelines drawn up through expert consultation bodies including manufacturers / importers, testing inspectors, academia, etc. the final guideline was established through revision and supplementation process. Therefore, we propose guidelines for evaluating the safety and performance of smart all-in-one cardiopulmonary assist devices in line with growing technology.

헌혈이 헌혈자의 혈유변학적 지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lood Donation on the Donor's Hemorheological Properties)

  • 이병권
    • 대한수혈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29-239
    • /
    • 2018
  • 순환계는 혈액의 흐름이 원활하게 되도록 그 해부학적 구조와 혈류의 물리학적 특성이 연결되어있다. 혈액의 흐름에 영향을 주는 혈액의 물리학적 특성을 혈유변학적 인자(Hemorheologic factors)라 하며, 혈액의 점도(blood viscosity) 및 적혈구 응집도(erythrocyte aggregation)와 같은 혈유변학적 특성은 헤마토크리트(hematocrit; Hct)와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헤마토크리트가 높을수록 혈액 점도가 증가하고 적혈구 응집도는 증가하며 순환을 저해하고 조직에 산소 전달 능력을 방해한다. 혈청 페리틴은 과도하게 있을 경우 산화유리기(oxygen free radial)를 통하여 혈관 내피세포(vascular endothelial cell)와 혈구 세포(blood cell)에 산화 손상을 유발하여 심혈관계 손상을 유발한다. 이러한 기전을 근거로 사혈 혹은 헌혈을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응용하려는 시도가 오랫동안 있었다. 사혈은 의학에 있어 오랜 역사를 가지면서 특히 한방의 치료적 개념으로 최근까지도 사용되고 있으나 그 과학적 근거가 불충분하고 아직까지 논란의 여지도 있어 근거 중심의 의학을 근간으로 하는 의학에서는 도외시되어왔다. 하지만 혈액량이 증가하면 혈유변학적 인자들(hemorheological factors) 역시 악화되면서 대 순환에서 동맥경화의 발생 및 진행에 영향을 주고, 모세순환(microcirculation)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심뇌혈관 사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정기적인 헌혈자(regular blood donors)에게 혈유변학적 인자들을 저명하게 호전시키고 과도한 철분의 함량을 줄여서 산화유리기에 의한 혈구 및 내피세포의 산화 손상을 줄임으로써, 순환계내에서 혈액순환을 촉진시킬 수 있다는 증거들이 보고되고 있다. 헌혈의 효과가 심혈관계 질환에 이익이 된다는 확고한 장기적 코호트 연구결과가 도출된다면 절대적으로 헌혈 혈액량이 부족한 현실과 심혈관계 질환의 예후를 호전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