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variectomized-rat

검색결과 175건 처리시간 0.023초

The effects of Cudrania tricuspidata extract on bone metabolism in ovariectomized rats

  • Jo, You-Young;Seo, Sang Deog;Kim, Ji-Won;Cho, Hyun-Ji;Chon, Jeong-Woo;Lee, Kwang Gill;Lee, Heui-Sam;Park, Yoo-Kyoung;Kweon, HaeYong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32권2호
    • /
    • pp.80-89
    • /
    • 2016
  • The effects of Cudrania tricuspidata (CT) extract on markers of osteoporosis were examined in ovariectomized rats. We classified 26 rats into five groups and provided a pellet chow diet and tap water throughout the 27-wk experimental period. During the last 15 wk, we added oral injections to each group as follows: sham-operated (SHAM, n=4) and ovariectomized-control (OVX, n=5) with distilled water, alendronate with 10 mg/kg/d of alendronate sodium (ALEN, n=5), CT (CT100, n=6) with 100 mg/kg/d of CT, and CT (CT300, n=6) with 300 mg/kg/d of CT. After the experimental period, blood, urine, and micro-CT images were assessed. The CT100 and OVX groups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urinary n-terminal telopeptide (NTx) (p<0.05 ), but with increases in CT concentration, the NTx level was slightly reduced. Serum osteocalci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T groups than in all other groups (p<0.05 ). Notably, the serum calcium levels of all groups were within the normal range, but urinary calcium levels in the CT group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OVX group (p<0.05 ). In addition, the CT groups exhibited higher trabecular BMD than the OVX groups while showing similar BMD to the ALEN group (p<0.05 ). The Tb.Th of the ALEN group was lower than all other groups. Based on the overall analysis of results, CT prevented bone loss by inhibiting bone resorption and enhancing bone formation. Although alendronate showed a similar effect in preventing bone loss, it did so by solely inhibiting bone resorption, and its long-term use reportedly causes paradoxical effects such as hip fractures. Thus, for osteoporosis induced by ovariectomy, we conclude that CT extract is an effective natural treatment without severe side effects.

흰쥐 발정주기와 난소절제에 따른 질상피의 glycoconjugates, estrogen receptor-α, c-fos 및 c-jun 분포변화 (Differential expression of glycoconjugates, estrogen receptor-α, c-fos and c-jun in the vagina of normal and ovariectomized rat)

  • 최병태;길영기;김강련;김순옥;최영현;이준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17-324
    • /
    • 2002
  • 흰쥐 발정주기와 난소절제에 따른 질의 GCs, ER-$\alpha$, c-fos 및 c-jun 변화를 조직화학적 및 면역조직화학적으로 관찰하였다. 질상피는 발정사이기와 발정전기로 이어 지는 점액세포화과정에서 현저한 GCs의 양적 증가를 관찰할 수 있으며 발정사이기의 SBA, 발정전기와 발정기의 Con A와 같이 발정주기에 따른 특이적 GCs가 관찰되었다. 난소절제시에는 매우 위축된 표면층 평평세포에서만 미량의 GCs가 관찰되었다. 질에서 ER-$\alpha$, c-fos, c-jun등은 주로 핵에서 반응을 나타내는데, ER- $\alpha$는 상피세포 중 바닥층에서 주로 관찰되며, 반응세포수로 보아 발정주기에 따른 변화는 없었으나 버팀질세포에서는 발정사이기부터 발정기사이에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c-fos는 상피의 바닥층과 중간층세포 그리고 버팀질세포에서 발정전기와 발정기사이에 가장 많이 관찰되며 c-jun은 발정기의 상피 바닥층에서 가장 많이 관찰되나 버팀질세포에서는 발정기에만 관찰되었다. 난소절제시 ER-$\alpha$, c-fos, c-jun모두 상피의 적은 세포에서만 관찰되며 버팀질 세포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발정주기와 난소절제에 따라 특이적인 GCs분포를 보일 뿐 아니라 ER-$\alpha$, c-fos, c-jun 같은 단백질의 상이한 분포를 보여 주고 있어 이들이 질상피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관여함을 알 수 있다.

The Effect of Genetically Modified Lactobacillus plantarum Carrying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Gene on an Ovariectomized Rat

  • Jin, Eun-Sun;Kim, Ji Yeon;Yang, Jung-Mo;Kim, Jun-Sub;Min, JoongKee;Jeon, Sang Ryong;Choi, Kyoung Hyo;Moon, Gi-Seong;Jeong, Je Hoo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5권2호
    • /
    • pp.204-214
    • /
    • 2022
  • Objective : Osteoporosis result from age-related decline in the number of osteoblast progenitors in the bone marrow. Probiotics have beneficial effects on the host, when administered in appropriate amoun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robiotics expressing specific genes, especially the effects of genetically modified bone morphogenetic protein (BMP)-2-expressing Lactobacillus plantarum CJNU 3003 (LP) on ovariectomized rats. Methods : Twenty-eight female Wistar rats (250-300 g, 12 weeks old)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 the sham (control), the ovariectomy (OVX)-induced osteoporosis group (OVX), the OVX and LP (OVX/LP), OVX and genetically modified BMP-2-expressing LP (OVX/LP with BMP) groups. The three groups underwent bilateral OVX and two of these groups were administered two different types of LP via oral gavage daily. At 16 weeks post-OVX, blood was collected from the heart and the bilateral tibiae were extracted and were scanned by ex-vivo micro-computed tomography and stained with hematoxylin-and-eosin (H&E) and Masson's trichrome stain for pathological assessment. The serum levels of osteocalcin (OC), rat C-telopeptide of type I collagen (CTX-I), BMP-2, and 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ĸB ligand (RANKL) were measured. Results : The 3D-micro-computed tomography images showed that the trabecular structure in the OVX/LP with BMP group was maintained compared with OVX and OVX/LP group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tected in trabecular thickness (Tb.Th) between control and OVX/LP with BMP groups (p>0.05). Furthermore, a tendency toward increased BMD, trabecular bone volume, Tb.Th, and trabecular number and decreased trabecular separation was found in rats in the OVX/LP with BMP groups when compared with the OVX and OVX/LP groups (p>0.05). The H&E and Masson's trichrome stained sections showed a thicker trabecular bone in the OVX/LP with BMP group compared with the OVX and OVX/LP groups.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rum levels of OC, CTX and RANKL control and OVX/LP with BMP groups (p>0.05). In contra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OC and CTX-1 levels between the OVX and OVX/LP with BMP groups (p<0.05). Conclusion : Our results showed that the expression of genetically modified BMP-2 showed inhibition effect for bone loss in a rat model of osteoporosis.

흰쥐의 난소기능(卵巢機能)이 하수체(下垂體)의 성선(性腺) 날극(剌戟)호르몬 분비(分泌)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Ovarian Function on the Hypophyseal Gonadotropin Secretion in Rats)

  • 서길웅;김종섭;박창식;이규승
    • 농업과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169-178
    • /
    • 1989
  • 난소(卵巢)의 기능변화(機能變化)가 시상하부(視床下部)-하수체축(下垂體軸)에 영향(影響)을 주는 feed back 작용(作用)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성숙(成熟) 암흰쥐 144마리를 난소척출군(卵巢剔出群)(Ovx.), Estradiol(Est.) 처리군(處理群), 및 정상대조군(正常對照群)(Conto) 의 3개군(個群)으로 나누어 48마리씩 배치(配置)한 다음 난소척출군(卵巢剔出群)에서는 양측난소(兩側卵巢)를 완전(完全)히 척출(剔出)하였고 Est. 처리군(處理群)에서는 마리당 $200{\mu}g$의 estradiol benzoate를 48시간(時間) 간격으로 주사(注射)하였다. 그리고 각(各) 군별(群別)로 처리후(處理後) 시간경과(時間經過)에 따라 3, 6, 12, 18 및 24시간후(時間後)와 5, 10 및 15일후(日後)에 각각(各各) 6마리씩 도살(屠殺)하여 하수체(下垂體)의 중량측정(重量測定), 및 조철학적(組鐵學的) 검색(檢索)을 실시(實施)하였고 아울러 혈청중(血淸中)의 FSH, LH 및 prolactin의 농도변화(濃度變化)를 radioimmunoassay로 측정(測定)하여 비교검토(比較檢討)한바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하수체(下垂體)의 중량(重量)은 난소척출군(卵巢剔出群)이 정상대조군(正常對照群)에 비(比)하여 증가(增加)하였고 Est. 처리군(處理群)은 감소(減少)하는 석향(碩向)이었는데 처리(處理)5 일후(日後)부터 비교군간(比較群間)에 유의성(有意性)이 측정(測定)되었다. 2. 하수체조직(下垂體組織)의 변화(變化)는 난소척출군(卵巢剔出群)에서는 처리(處理) 5일후(日後)부터 염기호성세포(鹽基好性細胞)가 증식(增殖) 비대(肥大)되기 시작하였고 10일후(日後)부터는 색소혐성세포(色素嫌性細胞)의 경미(輕微)한 비대(肥大)와 산호성세포(酸好性細胞)의 위축(萎縮)이 인지(認知)되었으며 Est. 처리군(處理群)에서는 난소척출군(卵巢剔出群)과 반대(反對)되는 조직소견(組織所見)을 보였다. 3. FSH의 농도변화(濃度變化)는 모든 관찰시간(觀察時間)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으며 두 처리군(處理群) 모두 정상대조군(正常對照群)에 비(比)하여 높은 값을 나타냈는데 처리(處理) 18시간후(時間後)까지는 난소척출군(卵巢剔出群)이 그 후(後)로는 Est. 처리군(處理群)이 최고치)最高値_를 보였다. 한편 난소척출군(卵巢剔出群)은 처리(處理) 3시간후(時間後)부터 급속(急速)히 증가(增加)하여 처리(處理) 18시간후(時間後)에 가장 높은 농도(濃度)를 나타냈고 Est. 처리군(處理群)은 처리(處理) 18시간후(時間後)부터 증가(增加)하여 처리(處理) 24시간후(時間後)에는 최고치(最高値)를 보였다. 4. LH의 농도변화(濃度變化)는 난소척출군(卵巢剔出群)과 Est. 처리군(處理群)이 처리(處理) 3시간후(時間後)부터 증가(增加)하여 각각(各各) 처리후(處理後) 12시간(時間)과 24시간(時間)에 최고치(最高値)를 나타냈는데 모든 관찰시간(觀察時間)에서 비교군간(比較群間)에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고 처리후(處理後) 18시간(時間)까지는 난소척출군(卵巢剔出群)이 그 후(後)로는 Est. 군(群)이 높은 값을 나타냈다. 그러나 다중검정결과(多重檢定結果) 처리후(處理後)18시간(時間)과 5일이후(日以後)부터는 난소척출군(卵巢剔出群)과 Est. 처리군(處理群) 상호간(相互間)에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5. prolactin의 농도변화(濃度變化)는 각(各) 관찰시간(觀察時間)에서 비교군간(比較群間)에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는데 난소척출군(卵巢剔出群)은 정상대조군(正常對照群)에 비(比)하여 낮은 값을 나타냇고 Est. 처리군(處理群)은 높은 값을 나타냈다.

  • PDF

갈근이 비만 랫드 간조직의 비만관련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ueraria lobata extract on gene expression in liver tissue of rat with estrogen-deficient obesity)

  • 신윤상;황귀서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17-128
    • /
    • 2014
  • Objective : It is known that Pueriaria lobata has an anti-osteoporetic effect, anti-cancer effect, anti-pyretic effect, and anti-diabetic effe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ti-obesity effect of Pueriaria lobata extract (PLE), and elucidate the effect of it on gene expression related to lipid metabolism. Method : The experiments were performed with the use of ovariectomized rats as estrogen-deficient obesity model. They were grouped NC (normal control), OC (estrogen-deficient control), PLH (100mg/kg of PLE), PLL (20mg/kg). PLE was orally administered for 6 weeks. Body weights and serum lipid level were estimated, and real-time PCR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LE on gene expression in liver. Results : PLE decreased the body weight and serum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but increased HDL-cholesterol. And PLE increased leptin, CYP27, CPT1, CYP8B1, ACAT2, LDLR, and SCD1, but reduced $PPAR{\gamma}$, PGC1A, HMG-CoA-R, ACAT1, SCD1, and APoB gene expression in liver tissue of rat with estrogen-deficient obesity. Conclusion : It is concluded that Pueriaria lobata reduced body weight, and its effect was expressed by regulation of gene expression related to lipid metabolism in rats with estrogen-deficient obesity.

난소 절제 쥐의 골격근에서 갈근 및 지황 섭취와 운동이 후성 유전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ueraria and Rehmannia Glutinosa Intake and Exercise on Epigenetic Modification in Ovariectomized Rat Skeletal Muscle)

  • 정현지;김혜진;권오란;이원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11호
    • /
    • pp.1214-1222
    • /
    • 2015
  • 본 연구는 난소 제거 수술을 시행하여 폐경기를 유도시킨 뒤 고지방 식이를 섭취한 쥐에게서 나타난 신체 변화에 있어 운동과 갈근/지황 섭취에 의한 개선 효과를 관찰하고, 그러한 효과가 골격근에서의 후성 유전적 발현 변화에 의한 것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8주령의 쥐(rat, n=60)의 난소를 제거한 뒤 고지방 식이를 유도하면서 트레드밀 운동(exercise)을 실시하는 그룹과 비운동(sedentary) 그룹으로 나누었다. 두 그룹을 각각 estradiol, 갈근과 지황의 3:1 복합물(HT051), 그리고 물 섭취 군으로 다시 나누어 총 8주간 경구 투여를 함께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운동 그룹과 갈근/지황 섭취 그룹에서 체중이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가자미근과 족저근의 근질량 또한 운동 그룹과 갈근/지황 섭취 그룹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한편, 가자미근에서 물을 섭취하며 운동하지 않은 그룹의 H3K9 아세틸화가 억제 되었고 H3K9의 메틸화에는 변화가 없었다. 족저근의 경우 운동 그룹에서 H3K9 아세틸화가 현저하게 눈에 띄었고, 반대로 메틸화는 줄어든 것이 관찰되었다. 나아가 H3K9의 아세틸화와 메틸화를 조절하는 대표적인 효소 중 HDAC4, HDAC5, G9a 유전자의 mRNA 발현양을 정량한 결과, 가자미근에서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족저근에서 운동 한 그룹의 HDAC5와 G9a 유전자의 mRNA 발현양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 HDAC4의 mRNA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운동과 갈근/지황의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운동과 갈근/지황 섭취가 체중 감소, 근질량 증가에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현상은 히스톤 H3K9 부분의 아세틸화와 메틸화에 의한 유전자 발현 조절이 그 기전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흰쥐 자궁에서 난소 스테로이드 호르몬에 의한 Adhesion 수용체 유전자 발현조절에 대한 연구 (Differential Expressions of Adhesion Receptor Genes in the Rat Uterus Associated with Ovarian Steroid Hormone)

  • 강한승;이채관;문덕환;강성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7권1호
    • /
    • pp.41-48
    • /
    • 2003
  • 본 연구는 생식주기 중의 흰쥐 자궁에서 발현되는 유전자들 중 adhesion수용체 유전자들의 발현이 프로게스테론(P$_4$)에 의하여 차별적으로 조절되는 실험을 하였다. 첫째 실험군은 난소절제 흰쥐와 배란기 흰쥐를 사용하였고(OVX/estrus), 둘째 실험군은 난소절제 흰쥐와 난소절제 후 P4를 주사한 흰쥐를 사용하였다(OVX/OVX+P$_4$). 적출한 자궁조직에서 total RNA를 추출, [$\alpha$$^{32}$P]-dATP로 probe를 제작한 후 Rat Atlas away 1.2 II(Clontech)을 이용하여 발현되는 유전자들을 선별하였으며, 그 중 adhesion 수용체 유전자들의 발현양상을 RT-PCR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OVX/estrus 자궁의 유전자 발현을 비교한 경우, 전체 1176개의 유전자들 중 P4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는 adhesion 수용체 유전자들은 embigin protein, activated leukocyte cell adhesion molecule, afadin, neuroligin 2, semaphorin Z, osteonectin 등 이었다. OVX/OVX+P$_4$자궁의 유전자 발현을 비교한 경우, P$_4$에 의해 발현이 증가되는 adhesion수용체 유전자들은 osteonectin, afadin, neuroligin 2, semaphorin Z 등 이었다. 그리고 afadin, neuroligin 2, semaphorin Z은 두 실험 군에 서 모두 유전자 발현이 증가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이 유전자들은 P$_4$에 의하여 발현이 조절되어 배란 후 착상 준비에 관여할 것으로 추측된다.

  • PDF

돈피 젤라틴 효소분해물이 난소 적출쥐의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ig Skin Gelatin Hydrolysates on the Bone Mineral Density of Ovariectomized Rats)

  • 박정은;함준상;김혜경;이치호;김동욱;설국환;오미화;김동훈;장애라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34-240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난소 제거로 인위적으로 골다공증이 유발된 흰쥐를 대상으로 돼지껍질에서 추출한 젤라틴과 저분자 젤라틴 효소분해물 급여가 골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실험군의 구성은 10주령의 암컷 총 6군으로 난소 적출을 시행 하지 않은 일반 대조군과 난소 적출한 대조군은 일반식이를 급여하였으며, 난소 적출한 실험쥐에 3kDa 이하의 저분자 젤라틴 효소분해물을 0.1, 0.8% 첨가하고, 고분자 젤라틴을 0.1과 0.8% 첨가하여 급여한 후 그 효과를 비교하였다. 체중 증가량은 GH0.1, GH0.8 및 G0.8 급여구에서 NC와 OC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특히 GH0.1과 GH0.8처리군은 사료섭취량이 NC와 OC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사료효율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대퇴골의 골밀도는 GH0.8처리군이 OC군에 비해 높았으나(p<0.05) NC의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혈중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처리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젤라틴 급여군과 GH 급여군의 HDL-C은 OC군에 비해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내었다. 혈중 alkaline phosphatase(ALP)와 osteocalcin은 각각 GH0.1과 GH0.8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나타내었다(p<0.05). 간질환의 지표인 혈중 GOT와 GPT도 모든 처리구에서 OC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돼지껍질에서 분리한 저분자 젤라틴 효소분해물은 골밀도를 증진시키고 폐경기 여성의 골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수용성 기능성 소재로 이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되지만 젤라틴 급여구의 높은 단백질 함량으로 젤라틴 효소분해물의 효과가 미미하여 비교시 골밀도 증진 효과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어 추후 적정농도 설정에 관한 연구가 추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