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smotic dehydration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33초

건조방울토마토 제조와 품질 특성 (Development and Quality of Dried Cherry-Tomatoes)

  • 윤경영;김미현;이광희;신승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1283-1287
    • /
    • 199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new processed food from cherry tomatoes. The dried cherry tomatoes were prepared by using a sequence of osmotic dehydration, air drying, vacuum drying and freeze drying. The moisture contents of dried cherry tomato products by nontreatment and osmosis treatment were about 11~13% and 7.5~ 10%, respectively. The vitamin C contents of the dried product after osmotic dehydration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dried products by nontreatment. The vitamin C content of the freezing dried product was the highest of the others. The vacuum dried product by nontreatment was retained color of fresh fruit in the change of color. The ΔE value of the air dried product was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s. As a result to microscopic analysis, fresh cherry tomato was observed regular tissue, while cherry tomato treated by osmosis was observed a cell collapse following the loss of water. The dried product had cell shrinkage and dense tissue. And the cell wall of dried products after osmotic dehydration were much more damage than those of nontreatment dried product. The palatability of the air dried product was the best of three drying methods. The dried cherry tomatoes treated by osmosis were superior to the dried cherry tomatoes by nontreatment.

  • PDF

건조단호박 제조를 위한 삼투건조공정의 최적화 (Optimization of Osmotic Dehydration Process for Manufacturing a Dried Sweet Pumpkin)

  • 나경민;홍주헌;차원섭;박준희;오상룡;조영제;이원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433-438
    • /
    • 2004
  • 건조단호박의 제조시 건조공정에 의한 품질열화를 줄이기 위한 전처리 공정으로서 삼투공정을 행하였으며 반응표면분석법으로 최적화를 수행하여 최적조건을 얻고자 하였다 삼투건조시 침지온도와 농도 및 시간을 독립 변수로 하고 수분함량, 무게감소량, 수분감소량, 고형분증가랑, 당농도, 비타민 C 함량 및 경도를 반응변수로 하였다. 삼투건조시 물질이동 특성은 침지온도, 농도, 시간이 증가할수록 변화가 많이 일어났으며, 농도와 온도의 상호작용에 의해 삼투효과가 증가되었다. 당농도의 변화는 침지온도, 농도,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농도의 증가에 더 큰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비타민 C 함량은 낮은 온도와 고농도의 처리에서 당의 보호작용으로 손실이 적게 나타났고 경도의 변화는 전반적으로 농도와 온도가 증가할수록 측정값이 낮아졌으며, 침지 시간이 증가할수록 값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모형에 대한 적합성은 경도를 제외하고 대부분이 1%이내의 유의성을 보여 수린됩 반응표면 모형이 통계 적으로 유의 하다고 할 수 있었다. 독립 변수의 영향은 침지온도와 시간보다농도에서 1%의 유의성이 인정되어 농도의 영향을 가장많이 받음을 확인하였다 독립 변수중 가장 영향이 적은 침지 시간을 80분으로 고정하고 수분함량을 60∼70%로 하고 비타민 C 함량과 경도를 각각 3 mg/100 g, 10 kg/$\textrm{cm}^2$ 이상으로 하는 온도와 농도는 20∼$25^{\circ}C$, 48∼56$^{\circ}$Brix로 나타나, 건조 단호박 제조를 위한 삼투건조처리의 최적조건은 중심값인 23$^{\circ}C$, 52$^{\circ}$Brix, 80분으로 결정할 수 있었다.

저온삼투압탈수법으로 제조(製造)한 반염건(半鹽乾)고등어의 저장안정성(貯藏安定性) (The Quality of Salted and Semi-Dried Mackerel Processed by Cold Osmotic Dehydration during Storage)

  • 이정식;주동식;김진수;조순영;이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422-427
    • /
    • 1994
  • 영양생리적 기능이 우수하며, 식품위생적인 면으로도 안전하여 소비자들의 기호에 맞는 반염건고등어를 제조한 다음, 이의 효율적 이용을 위해 저온저장 중 품질안정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제조직 후 반염건고등어의 수분함량은 $59.4{\sim}62.4%$의 범위였으나 저온저장 중 전제품이 약간씩 감소하였다. 저장 중 생균수는 저장 5일 초기의 경우 탈수방법의 차이에 관계없이 거의 변화가 없거나 약간 감소하였으나 저장 중기 이후에는 계속 증가를 하였고, 그 증가폭에 있어서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Histamine 함량의 경우 전제품 모두 제조직 후 $2.5{\sim}3.6mg/100g$의 범위였고, 저장 15일째에도 $3.6{\sim}4.1mg/100g$을 수준으로 histamine의 식중독 한계선인 100mg/100g에는 훨씬 못미치는 함량이었다. 저장 중 반염건고등어의 과산화물값, 혼합지방산 조성 및 갈변도 변화의 결과로 미루어 탈수시트로 탈수하여 제조한 반염건고등어가 재래식 건조법에 의하여 제조한 반염건고등어보다 저장 중 지질산화가 억제되었다. 저장일수가 경과할수록 염용성질소의 용해도는 감소하였고, 그 감소폭은 탈수시트로 제조한 반염건고등어가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것보다 적었다. 텍스튜어의 경우 제조방법에 관계없이 저장일수가 경과할수록 경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응집력은 거의 변화가 없거나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이등의 값은 탈수시트로 제조한 반염건고등어가 재래식건조법에 의하여 제조한 반염건고등어보다 높았다. 이화학적 검사 및 관능검사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탈수시트로 제조한 반염건고등어가 재래식방법으로 제조한 것보다 품질유지기간이 긴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

전처리 방법에 따른 냉동 복숭아의 품질 특성 (Effects of Various Pretreatments on Quality Attributes of Frozen and Thawed Peaches)

  • 박종진;손영란;김경미;조용식;김하윤
    • 산업식품공학
    • /
    • 제22권4호
    • /
    • pp.328-336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품종 및 전처리방법에 따른 복숭아의 냉해동 특성을 비교하였다. 전처리 없이 냉해동한 대옥계와 황도는 변색과 maximum force 증가, 드립로스 발생 현상을 보였는데, 이러한 문제점들은 전처리 방법에 의해 개선할 수 있었다. 전처리 직후 냉동 전에 전처리 별로 수분함량을 비교했을 때 sucrose를 포함한 삼투건조 시 수분이 감소하였으며 이는 해동 후 drip loss 감소에 영향을 주었다. 변색과 성분 및 항산화능력의 감소는 SB 3분 이상, ascorbic acid를 포함한 삼투건조 시 크게 개선되었다. Maximum force는 steam blanching, water blanching 시간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ACS의 경우 다른 삼투건조 처리구에 비해 높은 값을 보였다. 두 품종 모두 sucrose를 포함한 삼투건조 시 Brix가 크게 증가하였으며 pH와 산도는 품종 별로 차이는 있었으나 전처리 방법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물성 및 색도, 드립로스 등으로 판단하였을 때 steam blanching 3분 처리구가 전처리 조건 중 가장 적절한 방법으로 생각된다.

당근의 삼투건조시 물질이동 특성 (Mass Transfer Characteristics in the Osmotic Dehydration Process of Carrots)

  • 윤광섭;최용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87-393
    • /
    • 1995
  • 삼투건조시 물질이동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분과 용질의 이동을 확산식으로 평가하여 침지온도와 농도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또한 품질변화 정도는 carotene 함량을 지표로 하여 반응속도식으로 구명하고자 하였으며 삼투공정시 수분의 이동을 기존의 건조모델로 표현하고자 적합도를 알아보았다. 수분손실이나 용질의 증가는 온도와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높은값을 보였으며 농도보다는 온도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확산계수 또한 고온과 고농도에서 높은 값을 가져 확산이 빠르게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고온에서는 수분 손실이 용질의 증가보다 높아 용질의 확산계수가 수분의 확산계수보다 높았으며, 품질변화를 나타내는 반응속도상수는 온도의 증가보다 농도의 증가에 따라 더 큰 값을 가져 고농도에서 파괴가 많이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확산계수와 품질변화 속도상수에 대한 온도의 영향을 알아보고자 Arrhenius 식에 적합시켜 본 결과 낮은 농도인 $20^{\circ}Brix$에서 확산에 많은 활성화에너지가 필요하고 고농도인 $60^{\circ}Brix$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활성에너지로도 용질의 확산이 일어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활성화 에너지의 크기로 보아 수분의 이동은 $40^{\circ}Brix$에서, 용질의 이동은 $60^{\circ}Brix$에서 이동이 효과적으로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침지온도와 농도를 독립변수로 하여 확산계수와 반응속도상수를 예측하고자 각 독립 변수의 최적함수를 구하여 수립한 최적 함수 모델식과 polynomial 형태로 모델화 하였을 경우 수분이나 용질의 확산계수는 높은 적합도를 결정계수를 가지나 품질변화를 나타내는 반응속도강수는 다소 낮아 온도와 농도의 함수로 예측하기에는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삼투건조 공정 중 수분의 이동을 시간의 함수로 표현하기 위한 가장 적합한 모델은 quadratic 모델의 $R^{2}$값이 침지온도와 농도에 관계없이 전반적으로 0.99 이상으로 나타나 다른 모델보다 더 높은 적용 가능성을 보였다. 따라서 quadratic 모델을 이용하여 삼투건조공정에서의 시간에 따른 수분함량을 예측할 수 있으며 확산계수와 아울러 물질이동 특성을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건조방법에 따른 삼투처리 단호박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Osmotic Dehydrated Sweet Pumpkin by Different Drying Methods)

  • 홍주헌;이원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9호
    • /
    • pp.1573-1579
    • /
    • 2004
  • 단호박을 이용하여 새로운 가공제품을 개발하고자 여러가지 잇점을 줄 수 있는 삼투건조를 최적조건에서 처리하고 산업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열풍, 진공건조와 새로운 건조방법의 적용을 위해 선정한 냉풍건조를 행한 후 품질특성을 비교 평가하였다. 삼투처리 후 열풍, 진공, 냉풍건조된 단호박의 수분함량은 sucrose로 삼투처리한 경우가 모든 건조 방법에서 glucose 처리구보다 낮았으며, 건조방법에 따른 비타민 C의 함량은 glucose로 삼투처리 후 냉풍건조한 경우가 35.69 ㎎/100 g으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전반적으로 침지 용액에 따른 L, a, b값은 유사한 경향이었으며, 냉풍건조가 색도변화가 가장 작게 일어나 생단호박의 색상과 유사하였다. 건조 단호박의 표면구조는 삼투용액과 건조방법에 따라 상이하였는데, 삼투처리 후 냉풍건조된 단호박을 제외하고 열풍 및 진공건조된 단호박의 조직 손상이 크게 나타났다. 건조방법 및 건조시간에 따른 수분함량과 비타민 C함량을 살펴보면 수분함량의 경우 건조효율성을 고려할 때 sucrose로 삼투처리 후 진공건조한 단호박이 가장 우수하였으나, 비타민 C함량에서는 glucose로 삼투처리 후 냉풍건조한 단호박이 가장 양호하였다. 삼투용액에 따른 건조방법별 건조속도는 sucrose로 삼투처리한 단호박의 건조속도가 glucose 처리구보다 빠름을 알 수 있었다.

건조키위 제조를 위한 삼투건조공정의 최적화 (Optimization for the Process of Osmotic Dehydration for the Manufacturing of Dried Kiwifruit)

  • 홍주헌;윤광섭;최용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48-355
    • /
    • 1998
  • 건조키위의 제조시 건조에 의한 품질열화를 줄이기 위한 전처리공정으로서 삼투공정을 행하여 부분실시 계획법으로 실험계획을 수립한 후 반응표면분석법으로 최적화를 수행하여 최적조건을 얻고자 하였다. 삼투건조시 침지온도와 당농도 그리고 침지시간을 독립 변수로 하고 수분함량, solid gain, weight reduction, moisture loss, 적정산도, 당도, vitamin C를 반응변수로 하였다. 삼투건조 시 물질이동의 특성은 침지온도, 농도, 시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분함량은 침지온도, 농도, 시간이 증가할수록 낮은 값을 보였고 당도는 침지온도와 농도 및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적정산도와 vitamin C는 낮은 온도와 고농도의 처리에서 당의 보호작용으로 손실이 적게 나타났다. 수립된 회귀모형에 대한 적합성 결여분석 결과 반응변수 모두 유의성이 없어(P>0.05) 수립된 반응표면 모형이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할 수 있었으며 다중회귀분석 결과 일차항은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독립변수의 영향은 온도와 농도보다 유의성이 있었으나 시간에 대해서는 반응변수 모두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독립변수중 가장 영향이 적은 침지시간인 1.5시간으로 고정하고 온도와 농도만을 변수로하여 수분함량을 $66{\sim}69%$로 하고, 당도와 vitamin C함량을 각각 $24^{\circ}Brix,\;23mg%$이상으로 하는 온도와 농도는 $34{\sim}39^{\circ}C,\;52{\sim}58^{\circ}Brix$로 나타나, 건조키위 제조를 위한 삼투처리의 최적조건을 $37^{\circ}C,\;55^{\circ}Brix$, 1.5시간으로 결정할 수 있었다.항균 효소제인 lysozyme을 분리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었다.제로 재차 이용할 경우 비드가 일정한 크기를 갖고, 감소한 표면적과 같은 양의 새로운 비드를 첨가한다면 사용된 비드의 재활용 가능성도 있다고 사료되었다.로 제조된 간장의 구수한 맛, 신맛, 짠맛과 종합적 기호도에서 유의차가 있어서 CM-메주로 제조한 간장보다 우수하였다. MCM-메주로 제조된 간장이 성분과 기호도에 있어서도 CM-메주로 제조된 간장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일본인의 우리나라 전통적인 김치에 대한 종합적인 기호도는 염농도 2.03%, 2.63%, 1.07%의 김치 순으로 아주 싱거운 김치는 선호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8%+{\;}CO_2{\;}15%$ 조건이 보다 적합하였다.신증후군 재발을 경험한 응답자가 9명, 백신접종에도 불구 해당 질병 발병을 경험한 접종자가 3명, 생백신 접종 후 백신 균주에 의한 발병을 경험한 접종자가 2명이었다. 결론 : 국내의 소아 신장학 전문가들은 일반 소아에서 권장되는 예방접종 지침과는 다른 수정된 방식에 따른 예방접종을 실시하고 있었으나 아직 질병 경과와 스테로이드 사용에 따른 접종 시기에 다양성을 보이고 있었고, 또한 예방접종 후의 부작용을 경험한 경우도 다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다수의 소아를 대상으로 한 전향적인 연구를 통하여 소아 신질한 환아에서 추천되는 예방접종 지침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생리활성효과에 손색없는 것으로 판단되고, 이러한 기능성에 기초하여 chocolate, 음료 등의 식품이나 의약품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산업적 응용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대장균군이 역시 난각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분리되었고, 난황(Yolk)에서는 극히 낮은 수준의 세균오염도를 보였다. 다양한 동물종유래 S. aureus

  • PDF

형질전환 담배의 내건성 개선 (Improvement of Drought Tolerance in Transgenic Tobacco Plant)

  • 박용목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73-179
    • /
    • 2016
  • Leaf water and osmotic potential, chlorophyll content, photosynthetic rate, and electrolyte leakage were measured to evaluate tolerance to water stress in wild-type (WT) and transgenic tobacco plants (TR) expressing copper/zink superoxide dismutase (CuZnSOD) and ascorbate peroxidase (APX) in chloroplasts. Leaf water potential of both WT and TR plants decreased similarly under water stress condition. However, leaf osmotic potential of TR plants more negatively decreased in the process of dehydration, compared with WT plants, suggesting osmotic adjustment. Stomatal conductance (Gs) in WT plants markedly decreased from the Day 4 after withholding water, while that in TR plants retained relatively high values. Relatively low chlorophyll content and photosynthetic rate under water stress were shown in WT plants since $4^{th}$ day after treatment. In particular, damage indicated by electrolyte leakage during water stress was higher in WT plants than in TR plants. On the other hand, SOD and APX activity was remarkably higher in TR plan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ransgenic tobacco plants expressing copper/zink superoxide dismutase (CuZnSOD) and ascorbate peroxidase (APX) in chloroplasts improve tolerance to water stress.

당 삼투액을 달리한 삼투건조가 망고의 열풍건조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smotic Dehydration with Different Type of Agents on Hot-air Drying of Mangoes)

  • 오현빈;심현정;백채완;장현욱;황영;조용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426-434
    • /
    • 2022
  • In this study, the effect of osmotic drying conditions of mangoes on hot air drying was investigated. Four different osmotic agents of 60 Brix, such as S60, SM10, HF80, and SG25, were prepared. Mango slabs were osmotically dried with the agents at a ratio of 1:4 (w/w) for up to 8 hours. SG25 showed the lowest weight reduction and moisture loss during the process. As a result of hot-air drying, all samples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the Page model (0.9761~0.9997), and the required drying time of all samples that were osmotically dried was reduced compared to the non-osmotically dried group. After hot-air drying, the pH value increased according to the drying temperature. The L, a, and b values and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lso decreased. Through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osmotic drying was confirm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hot air drying of mangoes, which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industrial use of domestic mangoes.

사과의 삼투압농축과 열품건조시 갈색화 반응에 미치는 효과 (Osmotic Concentration of Apples and Its Effect on Browning Reaction during Air Dehydration)

  • 김명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1-126
    • /
    • 1990
  • Internal mass transfer during osmotic concentration of apples in sugar solutions was exami-ned as a function of concentration temperature and immersion time of those solutions using moisture loss sugar gain molality and rate parameter. Influence of osmotic concentration processes on browning reaction was also evaluated compared to control In creasin the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of sugar solutions increased moistrue loss sugar gain molality and rate parameter. Water loss was rapid early in the process and then levelled off, The same phenomena were occurred on sugar gain only in higher concentration(60$^{\circ}$ brix). IN lower concentration (30$^{\circ}$brix) sugar gain was gradually increased during whole process. Moisture loss during osmotic concentration using a sugar solution(60$^{\circ}$ brix 6$0^{\circ}C$) with 180min immer-sion time was 45.79% Effect of osmotic concentration befor air dried to 4% M.C(wet basis) on browning reaction was significant. Minimum browning reaction during air drying was carried out using a pretreatment such as osmotic concentration in sugar solution(60$^{\circ}$brix 45$^{\circ}C$) with 150min immersion time(O.D=0.01) compared to control(O.D=0.17)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