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thodontic bracket

검색결과 176건 처리시간 0.026초

교정용 각형선재에 부여된 torque가 브라켓에 발생시키는 모멘트에 관한 유한요소법적 분석 (The moment generated by the torque of the orthodontic rectangular wire :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 하도원;김영석;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35-346
    • /
    • 2001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정치료의 마무리 단계에서 비람직하지 못한 순설측 경사를 가진 한 개 치아의 이동을 원할 때 브라켓 슬롯의 크기와 각형선재의 종류, 크기에 따라 부여하여야 할 적절한 임상적 torque (SWA의 각형선재에서 나머지 편평한 부분과 이동을 위해 변형시킨 부분의 단면이 이루는 각도만큼의 torque)의 양을 구하고자 하는 것이다. 임상적 torque는 play와 active torque(브라켓에 모멘트를 전달할 수 있는 torque)의 합으로 구성되는데, play는 수학적 공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고 active torque는 컴퓨터를 이용한 삼차원 유한요소법으로 구하였다. 유한요소모델은 일렬로 배열된 세 개의 브라켓과 여기에 삽입된 stainless steel, TMA , NiTi 이렇게 3가지 종류의 교정용 각형선재로 구성된 다. 양쪽의 브라켓을 일정한 각도로 비틀어서 가운데 브라켓에 발생하는 모멘트를 계산하였다. 선재의 크기는 많이 사용되는 각형선재인 .016"X.022", .017"X.022", .017"X.025", .018"X.025", .019"X.025", .020"X.025". .021"X.025"의 7개로 디자인하였다. .018" 브라켓에는 .016"X.022", .017"X.022", .017"X.025" 선재를 삽입하여 실험하였고, .022" 브라켓에는 .016"X.022" 선재를 제외한 나미지 선재를 삽입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삽입된 브라켓 슬롯의 크기에 상관없이 같은 크기와 재질의 교정용 각형선재에 같은 active torque를 가하면 동일한 모멘트가 발생하였다. 2. 선재의 크기가 증가될 수록 동일한 active torque에 의해 발생되는 모멘트의 양은 증가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가장 굵은 선재인 .021"X.033" 선재는 동일한 재질의 가장 가는 .015"X.022" 선재에 비해 약 1.75배 더 큰 torsional stiffness를 가졌다. 3. 선재의 재질에 따라서는 stainless steel, TMA, NiTi순으로 torsional stiffness가 감소하였는데 stainless steel에 비해 TMA는 0.35배, NiTi는 0.16배였다. 4. 브라켓간 거리의 증가와 발생되는 torsional .stiffness는 반비례하였다. 브라켓간 거리의 증가에 의해 감소되는 torsional stiffness의 비율은 선재의 재질과 상관이 있었고 크기에 따라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5. 교정치료의 마무리 단계에서 이상적인 순설측 경사이동을 일으키는 임상적 torque의 공식과 값을 구하였다.

  • PDF

녹차 결명자 추출물의 교정용 브라켓과 치면 사이의 경계부에서 분리된 mutans streptococci에 대한 항균작용 (Effect of Leaf-Extract from Camellia sinensis and Seed-Extract from Casia tora on Viability of Mutans Streptococci isolated from the interface between orthodontic brackets and tooth surfaces)

  • 임성훈;서정순;윤영주;김광원;유소영;김화숙;국중기;이병래;차종희;박재윤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381-389
    • /
    • 2003
  • 본 연구는 치아우식증에 관련된 Hutans streptococci 표준균주 및 임상분리 균주의 성장억제를 유도할 수 있는 천연생약추출물을 검색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녹차추출물은 CHMC-2032를 사용하였으며, 결명자 추출물은 $50\%$ 에탄올을 이용하여얻었다. 이들 추출물의 Mutans streptococci표준균주 및 교정환자들에서 브라켓과 치면 사이의 경계부에서 분리된 각각 10 균주씩의 S. mutans 및 S. sobrinus에 대한 최소성장억제농도를 액체배지 희석법으로 구하였다. 그 결과 CHMC-2032의 S. mutans 및 S. sobrinus의 표준 균주, S. sobrinus의 대부분 임상분리 균주에 대한 최소성장 억제농도는 5mg/ml이었다 그러나 결명자 추출물에 의한 S. mutans 및 S. sobrinus에 대한 세균 성장억제 효과는 미미하였다. 본 연구 결과 치아우식증의 예방적 측면에서 결명자차보다는 녹차를 마시는 것이 유리하며, CHMC-2032를 이용하여 구강양치용액을 제조하여 사용할 경우 교정환자를 포함하여 대부분의 사람에게서 치아우식증 예방 효과가 있으리고 추정된다.

광중합형 레진시멘트를 사용한 치열교정용 브라켓 접착 시 접착제 사용 유무가 산 부식한 법랑질의 전단접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pplying adhesive after enamel etching on the shear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brackets using light curing resin cements)

  • 김응현;김진우;박세희;이윤;조경모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7권4호
    • /
    • pp.209-216
    • /
    • 2021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접착제를 적용하지 않고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접착할 수 있는 레진시멘트의 법랑질에 대한 접착강도를 접착제를 적용한 경우와 비교하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시편을 Transbond XT, GC Ortho Connect 및 Orthomite LC의 3개의 실험군으로 나누고, 노출된 법랑질 표면을 2분획으로 나누어 한 분획에는 37% 인산으로, 다른 한 분획에는 37% 인산 및 접착제 혹은 유니버셜 접착제로 표면 처리를 하였다. 치열교정용 브라켓에 3 종류의 시멘트를 각각 도포하고 접착을 한 뒤 전단접착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Transbond XT와 Orthomite LC는 각각 접착제와 유니버셜 접착제를 적용한 후 치열교정용 브라켓을 접착할 경우 전단접착강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Transbond XT와 Orthomite LC에서 산 부식 후 접착제의 적용이 치열교정용 브라켓의 전단접착강도를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아말감 충전물의 크기와 표면 처리방법에 따른 교정용 브라켓의 전단접착강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hear bond strengths of orthodontic brackets according to surface treatments and sizes of amalgam restorations)

  • 김현희;차경석;이진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81-391
    • /
    • 2001
  • 상, 하악 구치의 협면은 아말감으로 수복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접착 술식과 재료의 발달로 아말감에 교정용 브라켓의 직접 접착 술식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아말감은 치아 협면의 일부분만을 차지하는 경우가 많아 주변의 법랑질에서도 접착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임상적으로 통상의 교정용 레진을 사용하여 직접 접착 술식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아말감 충전물이 있는 치면에 대한 교정용 레진의 직접 접착 술식의 접착강도에 대한 연구가 없는 실정으로 이에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상, 하악 소구치를 포매하여 지름 1.5mm, 2.0mm, 2.5mm, 3.0mm의 아말감 충전물을 형성한 후 sandblasting 시행군과 비시행군으로 나누었다. no-mix type의 교정용 레진인 Ortho-one을 사용하여 브라켓을 접착한 후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접착 파절 형태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아말감 크기에 따른 비교 시 아말감 크기 1.5mm군의 전단 강도가 다른 군들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았고, 2.0mm, 2.5mm, 3.0mm군간에는 전단 강도의 차이가 없었다. (p<0.05) 2. Sandblasting 시행여부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의 차이는 없었다. (p<0.05) 3. 각 군간의 비교시 아말감 충전물의 면적이 브라켓 기저부 면적의 약 $61\%$를 차지하는 G군, H군의 전단결합강도는 대조군의 $50-60\%$ 수준으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p<0.05) 4. 브라켓 접착 파절 형태의 관찰 시 sandblasting을 시행하지 않은 군에 비해 sandblasting시행군의 mARI score가 유의성 있게 높았다. (p<0.05) 이상의 실험결과는 아말감 충전물의 크기가 브라켓 기저부 면적의 약 $50\%$이하일 때 sandblasting시행여부에 관계없이 통상적인 교정용 레진을 사용하여 직접 접착 술식을 시행하여도 임상적으로 적절한 전단강도를 얻을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 PDF

인산칼슘재 브라켓과 강선사이의 마찰저항에 관한 연구 (Friction of calcium phosphate brackets to stainless steel wire)

  • 주효진;박영국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76-385
    • /
    • 2007
  • 고정성 장치를 이용한 교정 치료는 심미적 개선이 주목적 중 하나이나, 금속재 브라켓은 치료기간 동안 비심미적으로 보이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치아색과 유사한 심미적 브라켓이 선호되었으나 호선과의 마찰저항이 금속재 브라켓보다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최근 개발된 심미적 브라켓의 일종인 인산칼슘재 브라켓의 마찰저항을 측정하고 기존 금속재 브라켓과 금속슬롯 삽입형 도재 브라켓과의 마찰저항의 차이를 구명(究明)해 보고자 하였다. 실험군으로서 인산칼슘 재질의 Hyaline II (Tomy, Tokyo, Japan) 브라켓을, 대조군으로서 metal slot이 삽입된 도자기 재질인 Clarity (3M Unitek, Monrovia, CA, USA) 브라켓과 스테인레스 스틸 금속재 브라켓인 Kosaka (Tomy, Tokyo, Japan) 브라켓을 사용하고, $0.019\;{\times}\;0.025$ 인치 스테인레스 스틸 강선 (3M Unitek, Monrovia, CA, USA)을 이용하며 결찰재는 합성고무링 (Ormco, Glendora, CA, USA)을 사용하였다. 치아의 생리학적 환경을 재현하기 위해 모의 생물학적 모형을 고안하였으며 이에 강선을 삽입하여 load cell (Push & pull gauge, RX-2 AIKOH, Osaka, Japan)로 분당 5 mm로 견인하며 만능시험기(Instron4467, Instron, Norwood, MA, USA)로 마찰저항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실험군인 인산칼슘 재질 브라켓의 마찰저항은 대조군인 금속슬롯 삽입형 도재 브라켓 보다 작고 (p < 0.01) 금속재 브라켓의 마찰저항보다 크게 나타나 (p < 0.05), 인산칼슘재 브라켓은 심미적 측면에서 금속재 브라켓을, 효율적 측면에서 금속슬롯 삽입형 도재 브라켓을 대체하여 사용 가능함을 시사하였다.

In vitro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evaluation of commercially available metal orthodontic brackets

  • Kim, Joo Hyoung;Cha, Jung Yul;Hwang, Chung Ju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297-306
    • /
    • 2012
  • Objective: This in vitro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of commercially available metal orthodontic brackets in South Korea, because national standards for these products are lacking. Methods: Four bracket brands were tested for dimensional accuracy, (manufacturing errors in angulation and torque), cytotoxicity, composition, elution, and corrosion: Archist (Daeseung Medical), Victory (3M Unitek), Kosaka (Tomy), and Confidence (Shinye Odontology Materials). Results: The tested racket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nufacturing errors in angulation, but Confidence bracke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manufacturing errors in torque. None of the brackets were cytotoxic to mouse fibroblasts. The metal ion components did not show a regular increasing or decreasing trend of elution over time, but the volume of the total eluted metal ions increased: Archist brackets had the maximal Cr elution and Confidence brackets appeared to have the largest volume of total eluted metal ions because of excessive Ni elution. Confidence brackets showed the lowest corrosion resistance during potentiodynamic polarizat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potentially be applied in establishing national standards for metal orthodontic brackets and in evaluating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개인 맞춤형 장치를 이용한 디지털 교정치료 (Digital Orthodontics using Customized Appliance System)

  • 김윤지;하혜정;이성종;이언화;류재준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4권2호
    • /
    • pp.134-141
    • /
    • 2016
  • Use of ready-made orthodontic appliance can lead to inefficiencies in the final stages of the orthodontic treatment. Because patients' teeth have anatomic variations, brackets that have been designed to fit on average tooth surface may result in positional discrepancies when leveling and alignment is completed. As a result, additional steps such as rebonding, wire bending and use of auxiliaries may be needed. Even in patients who have normal tooth anatomy and proper tooth size relationships, precise bracket placement is crucial in order to efficiently control the tooth positions. Digital models can provide advantages in clinical orthodontics as virtual tooth setup could be performed, and clinicians can easily visualize the predicted final occlusion. Through this setup model, customized brackets with individualized prescription and archwires that optimally fit with the patients' dental arches can be produced using CAD/CAM technology. Also, the brackets can be accurately placed with an aid of 3D-printed jig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the commonly used labial and lingual customized orthodontic appliance systems using digital technology.

  • PDF

A comparative study of metal artifacts from common metal orthodontic brackets 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 Kajan, Zahra Dalili;Khademi, Jalil;Alizadeh, Ahmad;Hemmaty, Yasamin Babaei;Roushan, Zahra Atrkar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5권3호
    • /
    • pp.159-168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metal artifacts from common metal orthodontic brackets 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aterial and Methods: A dry mandible with 12 intact premolars was prepared, and was scanned ten times with various types of brackets: American, 3M, Dentaurum, and Masel orthodontic brackets were used, together with either stainless steel (SS) or nickel titanium (NiTi) wires. Subsequently, three different sequences of coronal and axial images were obtained: spin-echo $T_1$-weighted images, fast spin-echo $T_2$-weighted images, and fluid-attenuated inversion recovery images. In each sequence, the two sequential axial and coronal images with the largest signal-void area were selected. The largest diameters of the signal voids in the direction of the X-, Y-, and Z-axes were then measured twice. Finally, the mean linear values associated with different orthodontic brackets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alysis of variation, and the results were compared using the independent t-test to assess whether the use of SS or NiTi wir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mages. Result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nly observed along the Z-axis among the four different brands of orthodontic brackets with SS wire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along all axes among the brackets with NiTi wire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only along the Z-axis between nickel-free and nickel-containing brackets. Conclusion: With respect to all axes, the 3M bracket was associated with smaller signal-void areas. Overall, the 3M and Dentaurum brackets with NiTi wires induced smaller artifacts along all axes than those with SS wires.

Bracket bonding to polymethylmethacrylate-based materials for computer-aided design/manufacture of temporary restorations: Influence of mechanical treatment and chemical treatment with universal adhesives

  • Goracci, Cecilia;Ozcan, Mutlu;Franchi, Lorenzo;Di Bello, Giuseppe;Louca, Chris;Vichi, Alessandro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9권6호
    • /
    • pp.404-412
    • /
    • 2019
  • Objective: To assess shear bond strength and failure mode (Adhesive Remnant Index, ARI) of orthodontic brackets bonded to polymethylmethacrylate (PMMA) blocks for computer-aided design/manufacture (CAD/CAM) fabrication of temporary restorations, following substrate chemical or mechanical treatment. Methods: Two types of PMMA blocks were tested: $CAD-Temp^{(R)}$ (VITA) and $Telio^{(R)}$ CAD (Ivoclar-Vivadent). The substrate was roughened with 320-grit sandpaper, simulating a fine-grit diamond bur. Two universal adhesives, Scotchbond Universal Adhesive (SU) and Assure Plus (AP), and a conventional adhesive, Transbond XT Primer (XTP; control), were used in combination with Transbond XT Paste to bond the brackets. Six experimental groups were formed: (1) $CAD-Temp^{(R)}/SU$; (2) $CAD-Temp^{(R)}/AP$; (3) $CAD-Temp^{(R)}/XTP$; (4) $Telio^{(R)}$ CAD/SU; (5) $Telio^{(R)}$ CAD/AP; (6) $Telio^{(R)}$ CAD/XTP. Shear bond strength and ARI were assessed. On 1 extra block for each PMMA-based material surfaces were roughened with 180-grit sandpaper, simulating a normal/medium-grit ($100{\mu}m$) diamond bur, and brackets were bonded. Shear bond strengths and ARI score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groups 3, 6. Results: On $CAD-Temp^{(R)}$ significantly higher bracket bond strengths than on $Telio^{(R)}$ CAD were recorded. With XTP significantly lower levels of adhesion were reached than using SU or AP. Roughening with a coarser bur resulted in a significant increase in adhesion. Conclusions: Bracket bonding to CAD/CAM PMMA can be promoted by grinding the substrate with a normal/medium-grit bur or by coating the intact surface with universal adhesives. With appropriate pretreatments, bracket adhesion to CAD/CAM PMMA temporary restorations can be enhanced to clinically satisfactory levels.

Effect of different combinations of bracket, archwire and ligature on resistance to sliding and axial rotational control during the first stage of orthodontic treatment: An in-vitro study

  • Chen, Huizhong;Han, Bing;Xu, Tianmin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21-31
    • /
    • 2019
  • Objectiv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effect of different bracket, archwire, and ligature combinations on resistance to sliding (RS) and rotational control in first-order angulation. Methods: Three types of brackets (multi-level low friction [MLF], self-ligating, and conventional brackets) coupled with four nickel-titanium archwires (0.012, 0.014, 0.016, and 0.018-inch diameter) and two stainless steel ligatures (0.20 and 0.25 mm) were tested in different first-order angulations ($0^{\circ}$, $2^{\circ}$, $4^{\circ}$, $6^{\circ}$, $8^{\circ}$, $10^{\circ}$, $15^{\circ}$, $20^{\circ}$) by using an Instron universal mechanical machine in the dry state at room temperature. RS value was evaluated and compared by one-way ANOVA. Results: Under the same angulation, the RS values showed the following order: conventional brackets > MLF brackets > self-ligating brackets. The RS was the highest for conventional brackets and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The RS for MLF brackets coupled with thinner archwires and ligatures showed a similar tendency as the RS for the self-ligating bracket. In contrast, the RS for MLF brackets coupled with thicker archwires and ligatures increased like that for conventional brackets. MLF brackets showed the greatest range of critical contact angles in first-order angulation. Conclusions: The RS in first-order angulation is influenced by bracket design, archwire, and ligature dimension. In comparison with self-ligating and conventional brackets, MLF brackets could express low friction and rotational control with their greater range of critical contact ang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