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hear bond strengths of orthodontic brackets according to surface treatments and sizes of amalgam restorations

아말감 충전물의 크기와 표면 처리방법에 따른 교정용 브라켓의 전단접착강도에 대한 연구

  • Kim, Hyeun-Hee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
  • Cha, Kyung-Suk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
  • Lee, Jin-Woo (Department of Orthodontics, College of Dentistry, Dankook University)
  • 김현희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 차경석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 이진우 (단국대학교 치과대학 교정학교실)
  • Published : 2001.06.01

Abstract

In orthodontic patients, frequently, amalgam restorations are present on the buccal surface of molars. The ability to successfully bond orthodontic brackets and buccal tubes to amalgam restorations would therefore be of clinical value. But the bond strength to total amalgam surface is probably not critical in most instances. Because there is usually a considerable amount of sound enamel surrounding a buccal amalgam fill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bond strengths of orthodontic brackets according to surface treatments and size of amalgam restorations. Eighty tooth specimen were assigned to four groups according to amalgam size-1.5mm, 2.0mm, 2.5mm, 3.0mm diameter-and then divided into two groups : one half was sandblasting group the other half was no sandblasting group. After Bracket bonding, shear bond strength for each specimen was determined and bond failure patterns was evaluated. 1. Shear bond strength of amalgam size 1.5mm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groups. (p<0.05) 2.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ond strength produced by sandblasting. (p<0.05) 3. Shear bond strength of G and H group of which amalgam restoration ratio to the bracket base sizes were $61\%$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50-60\% level of that of control group. (p<0.05) 4.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andblasting and mARI. (p<0.05)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ndicate that it may be feasible to bond orthodontic bracket clinically successfully to amalgam restoration with conventional orthodontic resin when its size is less than $50\%$ of that of bracket base.

상, 하악 구치의 협면은 아말감으로 수복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접착 술식과 재료의 발달로 아말감에 교정용 브라켓의 직접 접착 술식이 가능하게 되었다. 그러나 아말감은 치아 협면의 일부분만을 차지하는 경우가 많아 주변의 법랑질에서도 접착력을 얻을 수 있으므로, 임상적으로 통상의 교정용 레진을 사용하여 직접 접착 술식을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아말감 충전물이 있는 치면에 대한 교정용 레진의 직접 접착 술식의 접착강도에 대한 연구가 없는 실정으로 이에 본 실험을 시행하였다. 상, 하악 소구치를 포매하여 지름 1.5mm, 2.0mm, 2.5mm, 3.0mm의 아말감 충전물을 형성한 후 sandblasting 시행군과 비시행군으로 나누었다. no-mix type의 교정용 레진인 Ortho-one을 사용하여 브라켓을 접착한 후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접착 파절 형태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아말감 크기에 따른 비교 시 아말감 크기 1.5mm군의 전단 강도가 다른 군들에 비해 유의성 있게 높았고, 2.0mm, 2.5mm, 3.0mm군간에는 전단 강도의 차이가 없었다. (p<0.05) 2. Sandblasting 시행여부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의 차이는 없었다. (p<0.05) 3. 각 군간의 비교시 아말감 충전물의 면적이 브라켓 기저부 면적의 약 $61\%$를 차지하는 G군, H군의 전단결합강도는 대조군의 $50-60\%$ 수준으로 급격히 감소하였다. (p<0.05) 4. 브라켓 접착 파절 형태의 관찰 시 sandblasting을 시행하지 않은 군에 비해 sandblasting시행군의 mARI score가 유의성 있게 높았다. (p<0.05) 이상의 실험결과는 아말감 충전물의 크기가 브라켓 기저부 면적의 약 $50\%$이하일 때 sandblasting시행여부에 관계없이 통상적인 교정용 레진을 사용하여 직접 접착 술식을 시행하여도 임상적으로 적절한 전단강도를 얻을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