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ganic acid chromatography

검색결과 211건 처리시간 0.036초

소금농도 및 저장기간이 깍두기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dium Chloride Concentrations and Storage Periods on Characteristics of Kakdugi)

  • 김소연;김광옥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370-374
    • /
    • 1989
  • 소금농도와 저장기간이 깍두기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깍두기의 관능적 특성, pH 및 적정산도를 측정하였으며 capillary gas chromatography로 비휘발성 유기산을 정성 및 정량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소금농도와 저장기간은 깍두기의 질긴 정도를 제외한 모든 관능적 특성에 영향을 주어 소금농도 2%군은 1%와 3%군에 비해 단단한 정도와 아삭아삭한 정도가 낮고 신맛이 강하였으며, 저장 8일군은 4일군보다 신맛과 이취는 강하나 단단한 정도와 아삭아삭한 정도는 낮았다.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pH는 감소하고 산도는 증가하였으며, 이 현상은 특히 2%군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깍두기에서 추출한 비휘발성 유기산으로는 lactic acid, succinic acid 및 citric acid가 대부분이었으며 소금농도 2%군은 다른 실험군들에 비해 유기산 생성량이 많았다. 이상의 결과에서 볼 때 소금농도 2%는 1%와 3%에 비해 깍두기의 연부를 억제하고 산의 생성을 감소시키는 숙성 억제효과가 낮았으며 깍두기의 신맛은 pH보다는 산도와 비휘발성 유기산 함량에 더 관련이 많았다.

  • PDF

패류의 유기산 조성에 관한 연구 1. 소라, 대합, 전복 및 그 자건품의 비휘발성유기산 조성 (Studies on the Organic Acids Composition in Shellfishes 1. Nonvolatile Organic Acids Composition of Top Shell, Hard Clam, Abalone and their Boiled-Dried Products)

  • 조길석;박영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27-234
    • /
    • 1985
  • 우리나라산 주요패류의 유기산조성과 이의 가공처리에 따른 변화를 밝히고져 실험검토하였다. 본보에서는 소라, 대합 및 전복 등 3종류의 패류를 시료로 하여 생체 및 이를 자건하였을 때의 유기산조성을 GLC로 분석검토하였다. 3종류의 시료중 소라 및 전복에 있어서는 8증류, 대합에 있어서는 9종류의 유기산이 동정 및 정량되었으며, 주요산은 소라에 있어서는 succinic, malic 및 pyroglutamic acid로서 유기산총량의 $89.2\%$를 차지하였고, 대합의 주요산은 succinic, lactic 및 malic acid로서 총량의 $92.9\%$를 차지 하였으며, 전복의 주요산은 succinic, lactic 및 pyroglutamic acid로서 총량의 $85.7\%$를 차지하였다. 3종류의 시료는 모두 succinic acid의 함량이 가장 많아, 소라에 있어서는 총산량의 $46.3\%$, 대합에 있어서는 $63.5\%$, 전복에 있어서는 $34.7\%$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유기산총량에 있어서는 대합이 744.2mg/100g로서 가장 많아 전복의 경우의 약 3배양을 나타내었고, 다음은 소라로서 546.5mg/100g로서 전복의 2배양 이상을 나타내었으며, 전복이 가장 적어 259.4mg/100g이었다. 생시료를 자건하였을 때 유기산총량의 감소율은 전복이 $63.5\%$로 가장 높고, 이어 소라의 $52.1\%$, 대합의 $38.0\%$의 순이었다. 또한, 자건처리에 의한 각 유기산의 감소율은 시료에 따라 많은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전반적로 볼 때 감소율이 큰 유기산은 fumaric, malic 및 citric acid등이고, 감소율이 적은 유기산은 malic, oxalic 및 succinic acid 등이었다.

  • PDF

병원 내 근로자 중 유기용제를 취급하는 부서에서 벤젠, 크실렌, 톨루엔의 노출 여부에 관한 연구 (On Exposure of Workers in Sections Handling Organic Solvents within Hospitals to Benzene, Xylene, and Toluene)

  • 오동선;박미숙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47-152
    • /
    • 2008
  • Due to th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industries and medical standards, the number of workers who handle organic solvents within hospitals is increasing. The authors in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handling of the solvents and to encourage the recognition that the exposure to such solvents may be possible because of insensitivity to safet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exposure of workers within hospitals, the experimental group included the three sections (Pathology department, Central Supply Room, and Operating Room), which handle organic solvents most frequently. Meanwhile, university interns were selected to be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was conducted between May 1 to May 30, 2007, and urine was taken as samples. Hippuric acid, mandelic acid, methylhippuric acid, and phenylglyoxylic acid were analyzed through gas chromatography, and a total of 52 subjects of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were performed of the analysis. As for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exposure to benzene was $42.27{\pm}3.70mg/g$ creatinine, that of xylene was $1.30{\pm}0.18g/g$ creatinine, and that of toluene was $2.36{\pm}0.24g/g$ creatinine. Meanwhil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control group showed that the exposure to benzene was $15.54{\pm}2.85mg/g$ creatinine, that of xylene was $0.52{\pm}0.02g/g$ creatinine, and that of toluene was $0.85{\pm}0.20g/g$ creatinine. The amount of exposure to benzene, xylene, and toluene was shown to be under the maximum permitted level, but as for Pathology department, it was required to educate on working conditions, to educate workers on prevention management about their health, and to install fume hood and exhaust system to improve the environments.

  • PDF

Organic Acid Profiling Analysis in Culture Media of Lactic Acid Bacteria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Lee, Jae-Yeon;Nguyen, Duc-Toan;Park, Young-Shik;Hwang, Kyo-Yeol;Cho, Yong-Seok;Kang, Kyung-Don;Yoon, Jae-Hwan;Yu, Jun-Dong;Yee, Sung-Tae;Ahn, Young-Hwan;Lee, Gwang;Seong, Su-Il;Paik, Man-Jeong
    • Mass Spectrometry Letters
    • /
    • 제3권3호
    • /
    • pp.74-77
    • /
    • 2012
  • Organic acid (OA) profiling analysis was performed in culture media from Lactobacillus pentosus K34 (L. pentosus K34) and Pediococcus lolli PL24 (P. lolli PL24)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following methoxime/tert-butyldimethylsilyl derivatives. 12 OAs were positively identified in culture media. Most of OA levels from L. pentosus K34 of hetero lactic fermentation were found to be higher when compared with those from P. lolli PL24 of homo lactic fermentation, which may explain different OA metabolism in each strain. In addition, the distorted dodecagonal star patterns were readily distinguishable,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train were well represented.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s that the OA metabolic profiling method by GC-MS combined with star pattern recognition is useful for the monitoring study of characteristic OA metabolism in various microorganisms.

홍국 유래 Monacolin K의 안정성 및 분리 (Stability and Isolation of Monacolin K from Red Yeast Rice)

  • 최무영;곽은정;임성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1022-1027
    • /
    • 2004
  • 홍국을 이용한 기능성 건강식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먼저 홍국의 유효성분인 monacolin K의 안정성을 검토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열(20, 40, 60, 8$0^{\circ}C$), pH(2, 4, 8, 10), 유기산(pH 4.0으로 조정하기 위해 6% acetic acid, 0.6% citric acid, 1.5% lactic acid를 첨가) 및 수분량(0∼80%)을 조절하여 저장하면서 monacolin K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중성 aluminum oxide를 이용하여 open column chromatography를 행하여 홍국으로부터 monacolin K를 분리하였다. 그 결과, monacolin K는 4$0^{\circ}C$ 이상의 온도에서 상당히 불안정하여 분해되었다. pH에 대해서는 pH를 조절하지 않은 상태 (pH 5.9) 에서 가장 안정하였고, 이어서 pH 8>4, 2>10의 순이었다. 3종의 유기산에 대한 안정성은 lactic acid>citric acid>acetic acid의 순으로 안정하였고, 산에 의한 안정성은 강산과 약산에 의한 차이보다 산의 종류에 따라 다른 것으로 사료되었다. 또한 monacolin K는 수분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분해율이 현저히 증가하였다. Open column chromatography에 의해 monacolin K는 홍국 중의 적색 및 홍색 색소나 다른 비색소성 성분으로부터 분리 할 수 있었으며, 이의 회수율은 70%로 나타났다.

Pseudomonas fluorescens에 의한 Furfural의 분해대사 조절물질에 관하여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Regulatory Substance of Furfural Biodegradation in Pseudomonas fluorescens)

  • 이병웅;유병설;이계준;하영칠
    • 미생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41-247
    • /
    • 1985
  • Pseudomonas fluorescens에 의해 세포외에 생산된 furfural의 furoic acid로의 생물학적 전환을 촉진시키는 ninhydrin 반응에 양성인 대사물 (Ninhydrin positive Substance=NPS)을 ion exchange chromatography와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그리고 cellulose columm chromatography에 의하여 분리, 정제하였다. IR spectrophotometry와 $^H$-NMR spectrometry 그리고 $^{13}C-NMR$ spectrometry에 의해 이 NPS는 -$^H$ and $-NH_2$와 그리고 $-CH_2-OH$group을 갖는 유기물질로 추정된다.

  • PDF

잎담배 엽육과 주맥의 휘발성 정유성분 및 비휘발성 유기산의 비교 (Comparison of Volatile Aroma Components and Non-volatile Organic Acids in Tobacco Lamina and Stems.)

  • 김영회;박준영;양광규;김옥찬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51-66
    • /
    • 1986
  • Volatile aroma components, non-volatile organic acids in lamina and stems of flue-cured(NC 2326) and burley ( Burley 21) were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and mass spectrometry, respectively. Then compositional differences of these components between lamina and stems were discussed. The contents of volatile components were higher in flue-cured than in burley tobacco, and it was also higher in lamina then in stem. The major aroma components in lamina were neophytadiene , nicotine, solanone and benzyl alcohol but those in stems were palmitic acid, neophytadiene, nicotine, solanone and phenyl ethyl acetate.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s of non-volatile organic acids were higher in burley than in flue-cured tobacco, and these values of burley tobacco were higher in lamina than in stem but flue-cured tobacco were higher in stem than in lamina. The major acids in all the above four tabacco samples were malic, citric, oxalic and linolenic acid.

  • PDF

Optical Resolution of Dabsyl Amino Acids in Reversed-Phase Liquid Chromatography

  • Lee, Sun-Haing;Oh, Tae-Sub;Lee, Young-Cheal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11권5호
    • /
    • pp.411-415
    • /
    • 1990
  • The dabsylation of amino acids has been applied to resolve their optical isomers with the use of chiral mobile phase in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he dabsyl amino acids were successfully separated on reversed phase column($C_{18}$) by adding a chiral L-benzylproline-Cu(II) chelate to the mobile phase. The separation selectivity of the dabsyl amino acid enantiomers was not less than that of dansyl amino acids. The retention order of the dabsyl amino acid enantiomers was as those of the dansyl amino acid enantiomers except dabsyl threonine. The optical selectivity of the dabsyl amino acids increase with pH of the mobile phase and concentration of the chelate, but slightly decreases with concentration of buffer and organic solvent composition. However serine, methionine, valine, and leucine showed a slight decrease in the optical selectivity with increase in pH. The retention times of the dabsyl amino acids decreases with increasing pH and acetonitrile concentration but increases with the concentration of the chiral chelate added. The mechanism of the optical resolution is based on a stereospecific interaction including a intramolecular hydrophobic effect and SN-2 reactivity of the ligand exchange chromatography.It is advantageous to detect absorption at 436 nm, which is less interferent them the other detection systems. The derivatized dabsyl amino acids are stable for a month.

송라(Usnea longissima)추출물로부터 균핵병 병원균(Sclerotinia sclerotiorum)에 대한 항균 활성물질 탐색 (Isolation of Antimicrobial Active Substance from Usnea longissima against Sclerotial Rot (Sclerotinia sclerotiorum))

  • 권유빈;최용화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887-896
    • /
    • 2015
  • 본 연구는 균핵병의 원인균인 Sclerotinia sclerotiorum에 대해 항균활성을 갖는 친환경 유기농자재를 개발할 목적으로 송라(Usnea longissima)로부터 활성물질을 분리하였다. 송라를 MeOH로 추출하여 용매분획을 하였고, 용매분획 중에서 강한 활성을 나타낸 $CHCl_3$ fraction을 column chromatography로 분리하여 40개의 subfractions을 얻었고 9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9개의 subfractions을 bioassay한 결과 G3 subfraction에서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G3 subfraction을 GC-MS로 분석하여 chromatogram 상의 활성물질로 추정되는 peak의 mass spectrum과 Wiley library를 비교하여 profiling한 결과, Usnic acid가 주요 물질로 검출되었다. 항균활성물질로 추정되는 Usnic acid 화합물의 항균활성을 검정하기 위하여 표준품을 사용하여 생물검정한 결과 이 화합물이 강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송라로부터 분리한 Usnic acid가 균핵병의 원인균인 Sclerotinia sclerotiorum에 대한 항균 활성물질인 것으로 추정하였다.

호소수를 원수로 사용하는 정수장의 소독부산물 생성 특성 및 제어 방안 (Formation Characteristics and Control of Disinfection Byproducts in a Drinking Water Treatment Plant Using Lake Water)

  • 이기창;제갈봉창;최일환;이원태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269-276
    • /
    • 2015
  • 본 연구는 경상북도 지역에서 호소수를 원수로 사용하는 한 정수장의 원수 및 공정별 처리수의 자연유기물질(NOM) 및 소독부산물(DBPs) 생성특성을 조사하고 정수공정내 DBPs 제어방안을 제시하였다. Fluorescence excitation-emission matrix (FEEM) 분석결과 원수의 NOM은 토양과 미생물의 복합기원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NOM의 분자량크기 및 분획제거 특성은 liquid chromatography-organic carbon detector (LC-OCD)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체로 휴믹물질과 저분자량 유기물질 분획이 많았고, 고분자량물질은 저분자량물질보다 응집 침전공정에서 제거가 용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염소주입 후 정수공정별로 진행될수록 반응시간이 길어져 DBPs 농도가 증가하였으며 생성된 DBPs는 일반적인 정수처리로 제거되지 않았다. THMs은 chloroform이 74%로 주종을 이루었으며 bromodichloromethane (22%)와 dibromochloromethane (4%)도 발생했다. HAAs는 dichloroacetic acid (50%)와 trichloroacetic acid (48%)가 주종을 이루었고 dibromoacetic acid (2%) 등 브롬계열은 농도가 낮거나 발생되지 않았다. HANs은 dichloroacetonitrile (60%), bromochloroacetonitrile (30%), dibromoacetonitrile (10%)이 발생되었다. 실험기간 동안 해당 정수장에서 DBPs 발생은 용존유기물농도와 수온보다 전염소주입농도에 큰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고, 염소주입농도의 조절로 DBPs 생성농도를 이전에 비해 16~44% 감소시킬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