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egano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43초

저온저장중 Oregano(Origanum vulgare L.)가 Eschetichia coli O157:H7과 Staphylococcus aureus 196E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regano (Origanum vulgare L.) on the Survival of Escherichia coli ) O157:H7 and Staphylococcus aureus 196E during Cold Storage)

  • 박찬성;박금순;김미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40-447
    • /
    • 1997
  • 향신료인 oregano(Origanum vulgare L.)를 액체배지에 첨가하여 2종류의 식중독세균(Escherichia coli O157:H7과 Staphylococcus aureus 196E)의 증식과 저온저장중 생존에 미치는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다. 저농도(0~2%, w/v)의 oregano를 액체배지(TSB)에 첨가하여 E. coli와 S. aureus를 $10^{6}$~$10^{7}$ cells/$m\ell$가 되게 접종한 후 35$^{\circ}C$에서의 증식과 냉장(5$^{\circ}C$)및 냉동(-2$0^{\circ}C$) 저장중 생존억제효과를 생균수의 변화로서 조사하였다. 35$^{\circ}C$에서의 E. coli의 증식은 1% 이내의 향신료 농도에서는 증식이 저해되지 않았으나, 2%의 oregano존재하에서는 짧은 유도기를 거친 후에 증식이 시작되었다. 정상기 이후의 사멸기에서는 첨가한 oregano의 농도가 높을수록 빠른 사멸속도를 나타내었다. 35$^{\circ}C$에서의 S. aureus의 증식은 0.1%의 경우에는 증식이 저해되지 않았으며 0.3%와 0.5%의 oregano 존재하에서는 긴 유도기를 거친 후에 증식이 시작되었으나 1~2%의 경우에는 계속적으로 생균수가 감소되었다. 5$^{\circ}C$에서 냉장한 경우에는 0.5%이상의 oregano에 의해 E. coli와 S. aureus 모두 우수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어 생존이 크게 억제되고 저장말기에 사멸하였다. -2$0^{\circ}C$에 동결저장하였을 때, E. coli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첨가한 향신료의 농도가 높을수록 생존억제효과가 증대되었으나 S. aureus는 저장초기에 급격히 감소한 후 거의 일정수준을 유지하였으며 첨가한 향신료의 농도에 따른 생균수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동결저장에서 0.1%의 oregano를 첨가했을 때 E. coli는 대조구의 생균수에 비해 1/3~l/7로 생균수가 감소하였으나 S. aureu는 대조구에 비해 1/18~l/46로 감소하여 S. aureus에서 더 우수한 항균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생약재 및 향신료의 Streptococcus mutans 증식 억제 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Some Medical Herbs and Spices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 유영선;박기문;김영배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87-191
    • /
    • 1993
  • In order to find out an anticariogenic substance, antibacterial activities of some medical herbs and spices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were investigated. The essential oils of oregano, thyme, sage, fennel, nutmeg, rosemary, calamus and cassia cortex were shown antibacterial effect against S. mutans. The essential oil of oregano among other tested medical herbs and spices showed the most active antimicrobial activity. The essential oil of oregano inhibited the activity of glucosyltransferase from S. mutans. The minimal inhibition concentration of oregano essential oil was determined as 0.05nl/ml. The activity of glucosyltransferase from S. mutans was inhibited in the presence of oregano essential oil.

  • PDF

Rosemary, Sage, Oregano와 Ginger의 메탄올과 헥산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에 대한 카테킨과 아스코르브산의 상승 효과 (Synergistic Effects of Catechin or Ascorbic Acid on Antioxidative Activities of Hexane and Methanol Extracts from Rosemary, Sage, Oregano, and Ginger)

  • 안채경;한대석;이영경;이영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586-592
    • /
    • 2005
  • 역마이셀 미강유를 기질로 하여 rosemary, sage, oregano와 ginger의 메탄올과 헥산 추출물 500ppm에 카테킨 또는 아스코르브산 200 ppm을 각각 첨가하여 Rancimat으로 유도기간을 측정하여 항산화 상승효과를 조사하였다. Rosemary, sage, oregano와 ginger의 메탄을 추출물에 카테킨 첨가시 모두 상승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아스코르브산을 첨가시 ginger를 제외하고는 항산화 상승효과를 보였다. 항산화 상승효과는 전반적으로 아스코르브산보다 카테킨이 높게 나타났다. 헥산 추출물의 경우, 카테킨 첨가시 oregano와 ginger에서 강한 상승효과를 보였으며, ascorbic acid 첨가시, rosemary와 sage에서 상승효과가 나타났다.

용매에 따른 카레 향신료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혼합효과 (Antioxidant and Mixture Effects of Curry Spices Extracts Obtained by Solvent Extraction)

  • 안채경;이영철;염초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491-499
    • /
    • 2000
  • 카레분의 단품향신료와 카레분(curry powder)을 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 헥산으로 추출하여 수율, 항산화 효과, 총페놀함량, 총토코페롤 함량을 측정하였다. 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 헥산의 추출 수율은 각각 $6.4{\sim}42.9$, $3.9{\sim}26.2$, $1.6{\sim}29.2\;%$로 극성이 높아질수록 수율이 증가하였다. 미강유의 각 용매별 추출물을 1,500ppm 첨가하여 Rancimat로 유도기간을 측정한 결과 메탄올 추출물은 rosemary, sage, ginger, turmeric, nutmeg 순으로 우수하였고,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은 rosemary, sage, oregano, thyme, ginger의 순이었으며 헥산 추출물은 rosemary, sage, oregano, ginger, thyme 순이었다. 1,500ppm을 미강유에 첨가하였을 때 BHT보다 유도기간이 길게 나타난 향신료는 3가지 용매 추출물에서 공통적으로 rosemary, sage, ginger, oregano, thyme이었으며 이들 향신료를 200, 500, 1,000, 1,500, 2,000 ppms 농도로 미강유에 첨가한 후 유도기간을 측정한 결과 rosemary와 sage는 헥산 추출물 2,000ppm에서, ginger는 메탄올 추출물 2,000ppm에서 우수한 효과를, oregano와 thyme은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이 1,500ppm과 2,000ppm에서 큰 차이 없이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Rosemary의 혼합에 따라 ginger와 thyme의 항산화 효과가 크게 증가함을 알 수 있었으나 상승효과라기 보다는 rosemary로 인한 유도기간의 연장 효과였다. 총페놀 함량은 메탄올 추출물은 $17,924{\sim}801\;mg%$,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은 $13,893{\sim}57\;mg%$, 헥산 추출물은 $6,864{\sim}12\;mg%$이었으며 총페놀함량과 항산화 효과가 일치하지는 않았다. 토코페롤의 경우 oregano가 3194.8mg%로 가장 높았으며, sage 1014.8 mg%, rosemary 571.1 mg%, thyme 187 mg%였고 ginger에서는 토코페롤이 검출되지 않았으며 토코페롤함량과 항산화 효과는 뚜렷한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 PDF

오레가노(Origanum majorana L.)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Oregano (Origanum majorana L.) Extracts)

  • 임태진;최무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25-430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오레가노 추출물의 유리 라디칼 소거 및 지질과산화 억제 등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Pyrogallol의 억제율을 100%로 기준하였을 때, DPPH 라디칼을 50% 억제시키는데 필요한 오레가노 함량은 $21.8{\mu}g$이었다. 총항산화 활성은 강력한 자유라디칼에 대한 총항산화능으로 측정하였다. 오레가노 추출물 7.5 및 $15{\mu}g$의 총항산화능은 각각 15.1 및 31.4 nmol Trolox와 대등한 수준이었다. 오레가노 추출물 0.2 및 $0.4{\mu}g$의 산소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1.4 및 2.4 nmol gallic acid와 대등한 수준이었다. 오레가노 추출물 30 및 $75{\mu}g$의 총페놀 함량은 각각 40.5 및 83.9 nmol gallic acid와 대등한 수준이었다. 지질과산화에 대한 억제효과는 이황화철/아스코르빈산에 의해 유도된 랫드 간 미토콘드리아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오레가노 추출물 20 및 $50{\mu}g$은 TBARS 수준을 각각 20 및 64% 억제시켰다. 이와같이 오레가노 추출물의 강력한 항산화 효과는 적어도 자유라디칼의 산화억제와 지질과산화 억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향신료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및 Helicobacter pylori 저해효과 (Antioxidative and Inhibition Activities on Helicobacter pylori of Spice Extracts)

  • 차원섭;김정환;이경환;권효정;윤소정;천성숙;최웅규;조영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15-320
    • /
    • 2006
  •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향신료들의 생리활성을 분석하여 기능성소재로의 활용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추출물의 phenolics 함량은 열수 추출물에서 all spice, oregano와 sage가 각각 $23.3{\pm}0.5,\;37.9{\pm}0.4,\;32.4{\pm}0.2mg/g$이었으며, 60% 에탄올 추출물은 all spice, oregano, sage가 각각 $24.5{\pm}0.3,\;32.1{\pm}0.8,\;31.4{\pm}0.4mg/g$으로 열수 추출물보다 phenolics 함량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항산화활성 중 ABTS radical decolorization과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PF)를 살펴본 결과 ABTS는 all spice와 oregano가 열수 추출물과 60% 에탄올 추출물에서 95% 이상의 높은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으며 PF는 sage, all spice와 oregano의 60% 에탄올 추출물과 sage의 열수 추출물에서 1.2이상의 높은 antioxidant protection factor를 나타내 었다. DPPH는 각 향신료의 열수 추출물과 oregano와 nutmeg의 60%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전자공여능을 나타내었으며, 활성산소 중 지방산화를 일으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hydroxyl radical에 대한 각 추출물들의 영향은 대조구 $0.7{\times}100{\mu}M$에 비해 각 향신료의 열수 추출물과 60% 에탄올 추출물 모두 $0.2{\times}100{\mu}M$ 이하의 낮은 TBARS값을 나타내어 산화 촉진인자를 binding하는 능력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H. pylori에 대한 추출물의 항균활성은 열수 추출물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60%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200{\mu}g/mL$의 고농도에서 10mm이상의 저해활성이 관찰되었다. 여러 향신료 중oregano 추출물에서 $200{\mu}g/mL$의 phenolics을 첨가하였을 때 72.2%의 저해율을 나타내어 oregano추출물의 phenolics 첨가량에 따라 항균활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향신료를 이용하여 합성 항산화제가 가지는 단점을 보완한 천연 항산화제와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항균활성 이 높은 oregano를 이용한 천연 항균제 소재로의 개발이 기대되어진다.

Oregano와 김치 첨가가 Pizza의 맛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effects of favor in pizza added oregano and kimchi.)

  • 조용범;박우포;정순경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23-30
    • /
    • 2000
  • Kimchi was added to enhance the acceptability of pizza sauce and pizza for Korean adults, and flavor 1ike oregano was also mixed to investigate the compatibility with kimchi flavor. Pizza sauce with kimchi showed a high crude protein and low crude fat content. Pizza sauce with 20% kimchi showed the highest score in flavor, taste, color and overall acceptabil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control in quality indices except taste. Pizza with 21, kimchi powder in mixing dough showed a higher score in sensory evaluation than that of only 20% kimchi added pizza sauce.

  • PDF

Origanum vulgare and Thymus vulgaris Extract Usability to Improve Silage Hygienic Quality and Reduce Mycotoxin Concentrations

  • Vaiciuliene, Gintare;Bakutis, Bronius;Jovaisiene, Jurgita;Falkauskas, Rimvydas;Gerulis, Gediminas;Baliukoniene, Violet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30권8호
    • /
    • pp.1149-1155
    • /
    • 2020
  • Silage is one of the main feed components of ruminants around the world and can make up about 50-80% of the rations of dairy cows during the wint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oregano (Origanum vulgare L.) and thyme (Thymus vulgaris L.) aqueous and ethanol extracts to improve the hygienic quality of perennial ryegrass, red clover and blue alfalfa silage samples and estimate their effect on mycotoxins concentrations. Under laboratory conditions, 63 silage samples (21 perennial ryegrass, 21 blue alfalfa, 21 red clover) were fermented with inserted aqueous and ethanol extracts of oregano and thyme and two commercial inoculants with mesophilic lactic acid bacteria. After 96 days of fermentation, in silage samples were established fermentation parameters, microbiological status and mycotoxins concentrations. It was determined that the best results for achieving hygienic quality of perennial ryegrass and red clover silage samples was by insertion of aqueous and ethanol extracts of oregano and thyme. In blue alfalfa samples, the best results of silage hygienic indicators were determined by inserting aqueous and ethanol extracts of oregano. Aflatoxin B1 (AFB1), deoxynivalenol (DON), zearalenone (ZEA) and T-2 toxin concentrations in perennial ryegrass, red clover and blue alfalfa silage samples were best reduced by inserting aqueous and ethanol extracts of oregano and thyme. The present study shows that these extracts can be used to improve silage hygienic quality, reduce mycotoxins concentrations and thus ensure the wellness of cattle.

토끼에서 oregano oil의 일차 피부 자극시험 (Primary dermal irritation study of oregano oil in rabbits)

  • 신진영;신동호;김성호;배춘식;박승춘;김기현;배주현;김종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39-43
    • /
    • 2005
  •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kin irritation potential of oregano oil in rabbits. A volume of 0.5 ml of test article was applied to intact and abraded skins, respectively, for 24 h in 6 healthy male New Zealand White rabbits. Parameters measured during 72 h observation period were mortality, clinical signs, body weight changes, and local irritation. Treatment-related toxic symptoms, as evidenced by anorexia and decreased locomotor activity, were observed in all rabbits tested. Two rabbits out of the 6 total died on day 2 after the application of test article due to treatment-related toxicity. The mean body weight of test animals decreased progressively during the 72 h observation period. All animals showed very slight edema at 24 h and then recovered at 72 h. These animals also showed very slight to severe erythema and/or slight eschar formation at both 24 h and 72 h. The eschar formation induced by oregano oil was not recovered at the end of additional 11-day recovery period.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a single dermal application of the undiluted oregano oil caused an increased incidence of clinical signs and death and a decrease in the body weight and showed a primary irritation index score of 2.79 indicating moderate irritation.

Broiler responses to dietary 3,4,5-trihydroxybenzoic acid and oregano extracts under Eimeria challenge conditions

  • Yu, Myunghwan;Jeon, Jong Oh;Cho, Hyun Min;Hong, Jun Seon;Kim, Yu Bin;Nawarathne, Shan Randima;Wickramasuriya, Samiru Sudharaka;Yi, Young-Joo;Lee, Hans;Wan, Vannie;Ng, Noele Kai Jing;Tan, Chuan Hao;Heo, Jung Mi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3권6호
    • /
    • pp.1362-1375
    • /
    • 202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a combination 3,4,5-trihydroxybenzoic acid (THB) and oregano extracts (i.e., Carvacrol and Thymol) at intake/dietary different levels on growth performance, intestinal health indicators, immune responses and fecal oocyst shedding in broiler chickens under Eimeria challenged condition. A total of 336 one-day-old broiler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six dietary treatments with seven replications per treatment. Dietary treatments were: i) Non-challenged bird without any dietary treatment (NCNT), ii) Challenged bird without any dietary treatment (CNT), iii) Challenged birds fed a THB diet (0.1 g/kg, THB), iv) Challenged birds fed a combination of THB and oregano extracts diet (0.1 g/kg, COM 100), and a gradual increase of combination of THB and oregano extracts likely v) 0.15 g/kg (COM 150), and 0.2 g/kg (COM 200). On day 14, all groups except for NCNT have orally challenged with a 10-fold dose of Livacox® T anticoccidial vaccine to trigger coccidio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Eimeria-challenged broilers fed COM 100 and COM 200 diets increased (p < 0.05) body weight than CNT diet on day 35. Furthermore, birds fed COM 100 and COM 200 diets increased (p < 0.05) average daily gain compared to those fed CNT diets for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There is no significant (p > 0.05) in average daily feed intake, feed efficiency between NCNT and birds fed with combined THB and oregano extracts for the entire experimental period. A combination of THB and oregano extract regardless of concentration levels or THB alone reduced (p < 0.05) lesion score in ileum compared to the CNT diet for 7 days post-infection (dpi). Birds fed COM 100 diet had lower (p < 0.05) intestinal lesion scores in jejunum and caeca on 7 dpi compared to those were in the CNT diet. No (p > 0.05)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oocysts per gram of feces count, intestinal morphology, carcass traits and blood cytokine concentration among the infected treatments. Collectively, we conclude that birds fed with a combination of THB and oregano extracts regardless of the ratios that were used demonstrated better recovery of health after the coccidial challenge than using only THB al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