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ral cancer cell

검색결과 655건 처리시간 0.035초

Functional annotation of uncharacterized proteins from Fusobacterium nucleatum: identification of virulence factors

  • Kanchan Rauthan;Saranya Joshi;Lokesh Kumar;Divya Goel;Sudhir Kumar
    • Genomics & Informatics
    • /
    • 제21권2호
    • /
    • pp.21.1-21.14
    • /
    • 2023
  • Fusobacterium nucleatum is a gram-negative bacteria associated with diverse infections like appendicitis and colorectal cancer. It mainly attacks the epithelial cells in the oral cavity and throat of the infected individual. It has a single circular genome of 2.7 Mb. Many proteins in F. nucleatum genome are listed as "Uncharacterized." Annotation of these proteins is crucial for obtaining new facts about the pathogen and deciphering the gene regulation, functions, and pathways along with discovery of novel target proteins. In the light of new genomic information, an armoury of bioinformatic tools were used for predicting the physicochemical parameters, domain and motif search, pattern search, and localization of the uncharacterized proteins. The programs such as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s determine the efficacy of the databases that have been employed for prediction of different parameters at 83.6%. Functions were successfully assigned to 46 uncharacterized proteins which included enzymes, transporter proteins, membrane proteins, binding proteins, etc. Apart from the function prediction, the proteins were also subjected to string analysis to reveal the interacting partners. The annotated proteins were also put through homology-based structure prediction and modeling using Swiss PDB and Phyre2 servers. Two probable virulent factors were also identified which could be investigated further for potential drug-related studies. The assigning of functions to uncharacterized proteins has shown that some of these proteins are important for cell survival inside the host and can act as effective drug targets.

부분층 피부이식으로 전판상화된 전완유리피판을 이용한 경구개 결손의 재건 (Reconstruction of Hard Palatal Defect using Staged Operation of the Prelaminated Radial Forearm Free Flap)

  • 최의철;김준혁;남두현;이영만;탁민성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3-57
    • /
    • 2010
  • 연부조직만으로 경구개를 재건하는데 있어서는 환자군을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며 골재건이 필요하지 않은 Okay 분류 Ia와 Ib가 주요한 적응증이 된다. 하악이나 구강저부 결손을 재건하는 것과는 다르게 경구개 결손은 구강과 비강 점막층을 동시에 수복할 수 있는 피판이 이상적이다. 이중 저자들은 전완유리피판에 전상판화 방법을 좀 더 안정적으로 시행, 경구개 전층을 성공적으로 재건하였으며, 특히 저작과 연하 등 기능적 측면뿐 아니라 경구개 및 비강의 점막을 함께 복원할 수 있는 해부학적인 장점이 있는 피판임을 확인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항암 화학요법 중인 소아암 환자의 영양 평가 및 식이 관리 (Nutritional Assessment and Dietary Management during Anti-Cancer Chemotherapy in Pediatric Oncology Patients)

  • 장세리;김희선;이영호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권2호
    • /
    • pp.204-210
    • /
    • 1999
  • 목 적: 소아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항암치료 전후의 영양상태를 평가하고, 항암 치료기간 중 발생하는 식욕부진시에 섭취량 및 기호 식품을 조사함으로써 향후 이들 환자의 보다 나은 영양관리를 위한 지침을 마련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96년 1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동아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백혈병 및 소아암으로 진단받고 항암 치료를 시작하는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환자의 항암 치료 전과 21일 후의 영양상태 평가를 위하여 인체 계측과 생화학적 검사(총 단백질, 알부민, AST, ALT, BUN, creatinine)를 시행하였다. 항암 치료 기간중 식욕저하 기간과 원인 및 평소에 선호하는 식품과 치료 후에 선호하는 식품에 관한 기호도를 설문조사하였다. 결 과: 1) 대상 환자는 남아 10명, 여아 10명이었으며, 연령은 3세에서 15세로 정중 연령이 6세이었다. 질환별로는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11명, 비호지킨 림프종 2명, 조직구증식증 2명, 읠름씨 종양 2명, 뇌종양 2명, 횡문근 육종 1명이었다. 2) 항암 치료를 받는 동안 체중 감소가 있었던 경우가 8명 (40%), 체중 증가가 있었던 경우가 5명(25%), 체중의 변화가 없었던 경우가 7명 (35%)이었다. 3) 항암 치료를 받는 동안 실제 식사 섭취량은 1일 평균 450 Kcal (310~600 Kcal)이었다. 4) 항암 치료 시작 당시 혈청 알부민은 3.1~4.4 g/dL의 분포로 정상보다 낮은 범위에 있었으며 항암 치료 21일째는 2.7~5.0 g/dL로서 통계적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혈청 ALT는 항암 치료전보다 의미있게 증가하였으나(p<0.05), 혈청 AST, BUN, creatinine, 총 단백질은 의미있는 변화가 없었다. 5) 항암 치료기간 동안 식욕저하의 원인으로서는 구토가 37%로 가장 많았으며 메스꺼움, 씹기 곤란함, 연하 곤란, 음식 혐오 순이었다. 6) 식욕 저하를 호소할 때 먹은 식품으로서 흰죽, 전복죽 등의 죽 종류를 가장 많이 먹었고, 곰국, 장어 등의 보양식을 그 다음으로 섭취하였으며 인스턴트 식품도 섭취하였다. 7) 항암 치료기간 동안 탄산 음료를 가장 좋아하였고, 맵고 자극적인 식품을 좋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싫어하는 식품으로는 평소 싫어하는 식품과 마찬가지로 야채류로 나타났다. 결 론: 항암 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소아들은 소모성 질환으로 인해 영양상태가 더욱 나빠지기 쉬우므로 항암 치료를 받는 기간동안 보다 적극적이고 체계적인 환자의 식사 섭취량 조사 및 환자 상태와 기호에 적합한 형태의 식사종류 개발이 필요하며, 환자나 보호자들에게도 적절한 식사 종류 및 식사요령을 교육, 홍보하여 환자의 식사 섭취량 증가를 통한 영양 상태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해야하겠다.

  • PDF

삼소음 알코올 추출물이 생쥐 면역세포의 시토킨 조절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amsoeum on Cytokine Regulation of Mouse T cell)

  • 류내형;박성민;강희;심범상;김성훈;최승훈;안규석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856-86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amsoeum(SSE) on cytokine regulation of mouse T cells. The proliferation of mouse CD4 T cells under the influence of SSE extract was measured. When mouse CD4 T cell were stimulated with anti-CD3 and anti-CD28 in various concentrations of SSE extract, it increased proliferation of CD4 cells by 30% in $50{\mu}g/m{\ell}$ concentration. The proliferation of CD4 cells increased in $100{\mu}g/m{\ell}$ and $200{\mu}g/m{\ell}$. Treatment of CD4+ T cells stimulated by anti-CD3e and anti-CD28 with SSE resulted in reduction of $IFN-{\gamma}$ and IL-4 levels. SSE has dose-dependent inhibitory effect on $IFN-{\gamma}$ and decreased IL-4 by 70% at 50, $200{\mu}g/m{\ell}$. Oral administration of SSE resulted in increase of CD8+ T cell population in Balb/c mice by 8%. CD4+ T cells under Th1/Th2 polarizing conditions for 3 days with SSE resulted in decrease of $IFN-{\gamma}$ level in Th1 cells by 44% and increase of IL-4 level in Th2 cells by 60%. Experimental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SSE induces mouse T-cell to transform into Th2, and increases T-cell population and activation.

상홍백출산(桑紅白朮散)이 생쥐 대장암세포의 간전이억제와 면역활성화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Sanghongbaekchul-san on Anti-metastatic and Immunopotentiating Activities)

  • 오세순;강희;심범상;김성훈;최승훈;안규석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82-289
    • /
    • 2008
  • We evaluated the effect of SHBCS on adhesion and invasion of colon L5-26 adenocarcinoma cell line in vitro in vitro and experimental liver metastasis in vivo. SHBCS showed little inhibitory effect on colon 26-L5 cell proliferation. At the concentration of up to 500 mg/ml of SHBCS 80% of cells were viable. SHBCS showed no inhibitory effect on adhesion and invasion of colon 26-L5 cells, which were placed on matrigel. In a dose dependent manner, oral administration of SHBCS showed a significantly inhibitory effect on liver metastasis from colon 26-L5 injected mice. When mice were depleted of NK cells or macrophages before tumor inoculation, SHBCS significantly decreased liver metastasis fromf the tumor injected mice. Compared with the control mice, SHBCS increased the populations of macrophages and NK cells by 30%, 18%(10 mg/mouse, 50 mg/mouse) and 5%, 1% (10 mg/mouse, 50 mg/mouse)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control mice, SHBCS increased the populations of CD4 cells by 5%, 18% (10 mg/mouse, 50 mg/mouse) respectively. Spelenocytes from mice administerd with SHBCS were stimulated with LPS plus ConA, proliferation of splenocytes from mice administerd with SHBCS was 140%, 146%(10 mg/mouse, 50 mg/mouse) compared with th control mice. In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SHBCS may have an inhibitory effect on liver metastasis through immunopotentiating activity which is associated with macrophages and NK cells.

마우스를 이용한 송화분 섭취의 면역원성 및 안전성 탐색 (Immunological Activity and Immunotoxicity of Pine Tree Pollen in Mice)

  • 김영옥;김광호;박현지;박영철;박성욱;허용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1권3호
    • /
    • pp.235-240
    • /
    • 2005
  • Pollen has been used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certain diseases such as diabetes arthritis or cancer in traditional medicine. Among various pollens, pine tree pollen is known to relieve hypertension, suppress fatty liver progression, and facilitate the digestion, but its immunological activities are less known. To evaluate immunological reactivities and immunotoxicities of pine tree pollen, BALB/c mice were administered to the poller through oral route. Pine tree pollen suspended in distilled water or extracted with methanol has been administered at the concentration of 0, 10, or 100 mg/kg five days per week for four weeks. Polyclonal activation of splenic T cells with phytohemagglutinins did not induc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L-4 and $IFN_{\gamma}$ production between the pollen-administered mice groups and the control mice. Furthermore, polyclonal activation of splenic B cells with lipopolysaccharides did not result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gG1 and IgG2a production among the groups.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intake of pine tree pollen does not bring any humoral and cellular immune-dysrequlation. Whereas, viability of Listeria monocytogenes was suppressed in the mice administered with 100 mg/kg bw methanol extract, indicating the potential ability of pine tree pollen to enhance cell-mediated immunity mediated by type-1 helper T cells. In addition, aberrant upregulation of plasma IgG1 level was observed in the pollen-administered mice, which suggests a possibility of allergic response induction through the pine tree pollen uptake. Overall, pine tree pollen-mediated modulation of humoral or cellular immunity is worthy of further systematic investigation.

구강 외 노출시간에 따른 흰쥐 치아 치주인대세포 활성도의 MTT 검색법을 이용한 평가 (EVALUATION OF PERIODONTAL LIGAMENT CELL VIABILITY IN RAT TEETH ACCORDING TO VARIOUS EXTRA-ORAL DRY STORAGE TIMES USING MTT ASSAY)

  • 전인수;김의성;김진;이승종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1권5호
    • /
    • pp.398-408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MTT 검색법을 이용하여 흰쥐 상악 대구치를 발거한 후 실온의 건조 상태에서의 시간 변화에 따른 쥐 치아 치근면의 치주인대 세포 활성도를 측정함과 동시에 냉동 절단법을 이용한 조직학적인 관찰 결과를 토대로 하여 MTT 검색법이 유용한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생후 4주된 암컷 Sprague-Dawley계 흰쥐 80마리를 이용하여 ${\beta}$-APN 전처치 후 상악 제 1 & 2대구치를 모두 발거하였다. 이들 치아를 즉시 혹은 10, 20, 40, 60분 동안 실온에서 건조시킨 후 치아 자체를 MTT용액에 저장한 다음 흡광도 측정을 이용한 정량적 분석과 동시에 냉동 절단법을 이용하여 조직을 관찰하였다. MTT 검색에 의한 흡광도 값에 있어 즉시 처치군과 10분 건조군 사이에는 통계학적인 유의차가 없었다 (p > 0.05). 그러나, 즉시 처치군 및 10분 건조군은 20분과 40분 및 60분 건조군과 비교시 통계학적인 유의차를 보였다 (p <0.05). 또한, 20분 건조군도 40분 및 60분 건조군과의 군간 비교에서 각각 통계학적인 유의차를 보였다 (p<0.05). 그러나, 40분 건조군과 60분 건조군 사이에는 통계학적인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다. 조직학적 관찰에서 시간경과에 따라 crystal의 모양과 분포 및 수에서 확연히 구별되는 특징적인 양상을 보여주었다. 즉시 및 10분 건조 군에서는 가시모양의 crystal이 전치주인대 부위 조직과 치수 내에 밀도 높게 골고루 폭넓게 퍼져 있었으나 20분 이상 건조 군에서부터는 치주인대와 치수 부위 조직 모두에서 crystal 결정체 수가 급격히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번 실험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해보면 MTT 흡광도 측정값과 냉동 절단법을 이용한 시편의 MTT 염색 관찰 소견 결과를 서로 비교했을 때 상당히 밀접한 상관 관계가 있음을 보였다.

일회 방사선조사를 이용한 마우스 구강점막염 모델의 확립 (Establishment of a Single Dose Radiation Model of Oral Mucositis in Mice)

  • 류승희;문수영;최은경;김종훈;안승도;송시열;박진홍;노영주;이상욱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6권4호
    • /
    • pp.257-262
    • /
    • 2008
  • 목 적: 두경부 영역에 대한 방사선치료 시 발생하는 구강점막염은 방사선치료로 유발되는 급성 합병증 중에서 가장 심각하고 해결해야 할 문제점이다. 따라서 본 저자들은 마우스를 이용하여 방사선 구강점막염 모델을 확립하고자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본 실험에는 $7{\sim}8$주령의 20 g 내외의 웅성 BALB/c 마우스 55마리를 사용하였다. 1주일간 순화 후 대조군 5마리를 제외하고 체중에 따라 무작위로 3군으로 나누고 마우스의 두경부에 각각 16, 18, 20 Gy의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방사선조사 후 체중을 매일 측정하고 생존 유무를 관찰하였다. 방사선조사 후 1, 2, 3, 5, 7, 9, 14일째 마우스를 경추탈골사 한 후 설조직을 채취하고 hematoxylin & eosin (H&E) 염색으로 조직학적 변화를 확인하였다. 결 과: 방사선조사군의 경우 5일 이후 급격한 체중감소를 나타내었고 18 Gy와 20 Gy군에서 마우스가 사망하였다. 16 Gy군에서는 5일부터 9일까지는 평균 체중이 감소하였으나 이후 회복되었다.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한 결과 방사선조사 후 시간경과에 따라 상피층의 두께가 얇아지면서 편평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7일과 9일째에 가장 심각한 상태를 나타내었다. 대조군에서 평균 $113.50{\pm}2.41{\mu}m$이던 상피층 두께가 방사선조사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의하게 그 두께가 감소하였으며 7일째에는 43.9% 감소한 $63.70{\pm}3.28{\mu}m$로 최저치를 나타내었다(p<0.0001). 14일째에는 $121.00{\pm}2.82{\mu}m$로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어 정상적으로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BALB/c 마우스에서 방사선조사 후 마우스의 체중변화를 관찰 할 수 있는 적절한 방사선 선량은 16 Gy였다. 또한 구강 내 상피조직의 현저한 손상은 방사선조사 후 7일과 9일째 관찰할 수 있었고 9일째에는 심각한 궤양화가 나타났다. 18 Gy와 20 Gy 조사 후 9일과 10일째에 모든 마우스가 사망하였지만 16 Gy 조사군에서는 14일째 조직이 정상적으로 회복되었다.

타액선 종양에서 혈관내피성장인자와 von Willebrand 인자 유전자 발현에 관한 연구 (EXPRESSION OF THE GENES OF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D VON WILLEBRAND FACTOR IN SALIVARY GLAND TUMORS)

  • 정지훈;김지혁;박영욱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0권1호
    • /
    • pp.41-51
    • /
    • 2008
  • Mucoepidermoid carcinoma (MEC) is the most common malignant salivary gland tumor which compromises about 6$\sim$8% of all tumors followed by the adenoid cystic carcinoma (ACC) and adenocarcinoma. Most deaths from salivary carcinomas are caused by recurrent or metastatic lesions that are resistant to conventional therapy. Therefore, knowledge of cellular properties and tumor-host interactions that influence the vascular metastasis is important for the design of more effective therapy of salivary carcinomas. Neoangiogenesis is essential for tumor growth, which is postulated to be fundamentally dependent on the induction of stromal neovascularization. However, how neovascularization takes place in live tissue has not been fully established, especially in recruitment and differentiation of endothelial cells in the salivary gland tumors.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is a heparin-binding, dimeric polypeptide growth factor known to exert its mitogenic activity specifically on endothelial cells. VEGF has been shown th be directly involved in angiogenesis, which in essential for the pathogenesis of many solid tumors. von Willebrand factor (vWF) is a large multimeric protein synthesized by megakaryocytes and endothelial cells that enable platelets to adhere to exposed subendothelium and, as well, to respond to changes in the blood flow. Recent studies suggest that increased levels of vWF correlate with progression of disease, metastasis, or survival time and thus may have a prognostic significance. vWF is explained as an acute phase proteins which is increased in cancer or as a result of increased endothelial cell synthesis associated with tumor-induced angiogenesis. Due to adhesive properties of vWF, its increased concentrations may also contribute metastasis of tumor. In this study, we determined the mRNA expression of VEGF and vWF in salivary ACC, MEC and pleomorphic adenoma by in situ hybridization. As a result, stronger expression of VEGF and vWF was seen in salivary ACC and MEC which has more invasive nature than the salivary benign tumor.

사람 골모세포 FOB에서 아미노산 수송계 L의 발현 및 역할 (Expression and Role of the System L Amino Acid Transporter in FOB Human Osteoblast Cells)

  • 김창현;박주철;김도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9호
    • /
    • pp.1367-1374
    • /
    • 2005
  • 사람의 정상 골모세포 FOB에서 아미노산 수송계 L의 발현 및 이들 수송계 L을 통한 아미노산 수송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FOB 세포에서 RT-PCR, western blot 분석 및 아미노산 uptake 실험 등을 수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들을 얻었다. FOB 세포에서 아미노산 수송계 L의 두 아형인 LAT1, LAT2및 그들의 보조인자 4F2hc의 발현을 확인할 수 있었다. FOB 세포에서 $_{L}-leucine$의 수송은 $Na^+$-비의존적이었다. FOB 세포에서 $_{L}-leucine$의 수송은 아미노산 수송계 L의 선택적 억제제인 BCH에 의해 완전히 차단되었다. FOB 세포에서 여러 아미노산들에 의한 L-leucine수송억제 실험결과는 Xenopus oocyte에서 시행되어 보고되어진 LAT1과 LAT2 수송억제 실험 결과의 특성을 모두 포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사람의 정상 골모세포주인 FOB에서 는 세포성장 및 증식을 위한 중성 아미노산의 수송에 아미노산 수송계 L의 두 아형인 LAT1과 LAT2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