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pen field

검색결과 2,190건 처리시간 0.033초

Fruit Set and Fruit Characteristics of Highbush Blueberries (Vaccinium corymbosum cvs. Bluecrop, Coville, and Northland) in an Open Field and a Rain Shelter

  • Kim, Su Jin;Kim, Jin Gook;Ryou, Myung Sang;Park, Kyo-Sun;Kim, Hong-Lim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701-706
    • /
    • 2014
  • Three highbush blueberries (Vaccinium corymbosum cvs. Bluecrop, Coville, and Northland) grown in an open field and in a rain shelter were compared to evaluate the potential benefits of rain-sheltering systems on growth and fruit quality. Shrubs grown in rain shelter flowered 5-14 days earlier and were in full bloom earlier than those in the open field. All three cultivars set fruit by nearly 90% of flowers when they were grown in the open field, but was markedly reduced when they were grown in the rain shelter, to approximately 50% for 'Bluecrop' and 'Coville'. Fruit sets ratio of 'Northland' grown in the in the rain shelter was 14.5. Fruit from greenhouse-grown 'Northland' were larger, heavier, and had more seeds per berry. Soluble sugar content (SSC) of fruits varied both with the cultivars and growing conditions. SSC of fruits grown in the greenhouse was higher in 'Bluecrop' compared to that grown in the field, but this pattern was reversed in 'Northland'. Titratable acid was significantly higher in fruits from rain shelter-grown shrubs of both 'Bluecrop' and 'Northland' than in fruits from open field-grown shrubs (P < 0.05), although there was no difference in TA with respect to growing conditions for 'Coville'. The number of seed per fruit, fruit length and diameter, weight, SSC, and TA were similar in 'Coville' shrubs grown in the open field and the rain shelter. Fruit firmness of 'Bluecrop', 'Coville', and 'Northland' was higher in the rain shelter than in the open field. 'Coville' and 'Northland' fruits harvested in the open field had higher blue chroma than those harvested in the rain shelter. However, this pattern was reversed for 'Bluecrop'. On the whole, sheltering from rain affected most fruit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cultivars differently. Therefore, suitable blueberry cultivars for the rain shelter should be chosen by purpose.

화훼작물이 재배된 온실 또는 노지재배지의 토양 화학성 비교 (Comparison of Soil Chemical Properties in Greenhouse or Open Field Where Flower Crops were Cultivated from 2018 to 2020)

  • 권혜숙;허성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675-685
    • /
    • 2022
  • 2018년부터 2020년까지 화훼작물의 시설 및 노지재배지의 토양 화학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시설재배지 토양의 pH는 3년간 적정 범위 유지되었고, 노지토양도 적정 범위로 유지되었다. 유기물 함량은 두 토양에서 모두 적정 범위로 유지되었고, EC의 경우 시설토양은 적정 기준보다 높았으나, 노지토양에서는 적정 기준 범위로 유지되었다. 유효인산은 시설토양에서 2018년에 560 mg/kg가장 높았으나 매해 낮아져 2020년에 적정 기준 범위로 낮아졌고, 노지재배지 토양은 매해 적정 범위에 유지되었다. 치환성 양이온은 시설재배지 토양에서 3년간 표준 범위보다 높게 유지되어 영양 불균형이 극심하였고, 특히 치환성 칼슘과 마그네슘의 유의성이 높았다. 그러나 노지재배지 토양에서는 치환성 칼슘과 마그네슘이 적정 범위보다 약간 높은 수준이었다. 주성분 분석을 통해서 시설재배지 토양의 치환성 양이온을 비롯해 유효인산, EC가 높은 문제점이 드러났으며, 노지재배지는 시설재배지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값의 유효인산, EC, 치환성 양이온 분포를 보였다. 그러나 노지재배지 토양의 pH는 변동성이 너무 크고 pH가 높은 토양의 비율이 시설재배지보다 높았다. 또한, 노지재배지 토양은 시설재배지보다 유기물 함량이 낮으므로 유기물 시용에 더욱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토픽 성장 분석을 통한 오픈액세스 분야 연구 동향 분석 (Understanding Research Trends of Open Access via Topic Growth Analysis)

  • 정재민;김완종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75-97
    • /
    • 2022
  • 전통적인 학술 커뮤니케이션 체제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오픈액세스 패러다임에 대한 국제적 관심과 확산이 지속되고 있다. 하지만 데이터 기반의 정량적인 방법을 통해 오픈액세스 분야의 글로벌한 동향이나 성장 추세를 파악하려는 노력은 아직까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오픈액세스 분야의 학술논문 데이터에 토픽 모델링을 적용하여 세부 연구토픽을 식별하고, 성장곡선을 적합하여 각 연구토픽의 성숙도와 예상 잔여수명을 계산한다. 본 연구는 오픈 사이언스의 세 가지 핵심요소인 오픈액세스, 오픈데이터, 오픈협업과 관련된 14개 토픽들을 식별하였으며, 오픈액세스 분야가 앞으로 약 65년간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연구자들과 정책 의사결정자들이 오픈액세스 분야의 동향과 성장 추세를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무가온 Vinyl House 재배가 사초유채의 생산특성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E Film House culture with Non Heating on Growth and Yield of Forage Rape)

  • 안계수;권병선;정동희;김상곤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15-218
    • /
    • 1996
  •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early production of forage rape (cv. Akela and Velox) in the period of wintering. Bolting date was Feb. 2 to Feb. 9 in PE film house culture by non-heating and Mar. 3 to Mar. 12 in open field culture. And flowering date was Feb. 24 to Mar. 3 in PE film house culture by non-heating, so it was 30~50 days faster than the open field culture of Apr. 17 to Apr. 22. Fresh matter yield was 8, 356~4, 887 kg/10a in PE film house culture by non-heating, so it was 1, 431~1, 603 kg/10a yield increase than in the open field culture of 7, 253~7, 456 kg/10a Dry matter yield was 953~963 kg/10a in PE film house culture by non-heating, so it was 71~284 kg/10a yield increase than in the open field culture of 669~892 kg/10a.

  • PDF

인삼의 중추신경계에 대한 작용 -인삼이 흰쥐의 정서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nax Ginseng on the Central Nervous System -Effect of Panax Ginseng on the Emotional Response in Rats-)

  • 김응찬;조항영;김주명
    • 생약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3-28
    • /
    • 1971
  • This study was planned to see whether the Panax Ginseng root has any influence upon the emotionality in rats exposed to a novel open-field and induced by a grid shock. Sixty four male albino rats whose body weight ranged from 130 to 180 gm were used. The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i.e., placebo control group, 5mg/kg Ginseng ext. group, 10mg/kg Ginseng ext. group, and 20mg/kg Ginseng ext. group. Sixteen rats were subjected in each group. Open-field activity was measured in a $2.20m\;{\times}\;2.20m$ open-field that was divided into 15cm squares. Four novel objects and food pellets were put with an equal distance in the open-field. Locomotion was recorded by entering the number of squares traversed for 4 min. and behaviors which were shown at the 10-sec. period were checked by a modified Jarrad and Bunnel's observation procedure. Sensitivity to the grid shock was measured in a compartment of shuttle box. 10, 20, 30, 40, 50, 60 and 70 volt ac. 2 sec., electric shock were delivered in each subject by the grid to animal's feet. Flinch, vocalization and jumping responses were rated in each shock level.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5mg/kg and 10mg/kg Ginseng ext. groups were tended to increase the ambulation and exploration compared with placebo control. 2.) All Ginseng extract groups were defecated significantly less often than placebo control in the open-field and shock situation. 3.) Thresholds to the electric shock were tended to elevate in all Ginseng groups. 4.) These results suggest that Ginseng extract has a stimulant action in open-field and a tranqulizing action in feared situation.

  • PDF

동시출현단어 분석 기반 오픈 액세스 분야 지적구조에 관한 연구 (Domain Analysis on the Field of Open Access by Co-Word Analysis)

  • 서선경;정은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07-228
    • /
    • 2013
  • 학술 커뮤니케이션의 변화로 인해 오픈 액세스 분야는 상대적으로 최근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동시출현단어 분석을 사용하여 오픈 액세스 분야의 지적구조를 규명하여 연구동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데이터 수집은 Web of Science 기반으로 수행하였다. 검색 대상 기간은 1998년 1월 1일부터 2012년 7월 31일까지이며, Topic검색을 통하여 총 479건의 저널 논문을 수집하였다. 총 479건의 저널 논문 제목과 초록에서 명사구 형태의 키워드는 총 8,643개(문헌 당 18.04개)를 추출하였다. 오픈 액세스 분야의 지적구조 규명을 위해 첫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하여 18개의 세부 주제 영역을 밝혔으며, 오픈 액세스 분야 키워드들의 지적 관계를 시각화하여, 키워드 관계, 중심성 분석을 통한 전역 중심 키워드와 지역 중심이 높은 키워드를 제시하였다. 둘째,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형성된 4개의 군집을 MDS지도에 표시하였으며, 각 키워드들 간의 상관관계에 따른 지적구조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오픈 액세스 분야의 지적구조를 밝히며, 향후 연구 방향성 모색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재배조건 및 관수방법에 따른 병풀 (Centella asiatica) 계통의 생육, Asiaticoside 함량과 항산화활성 (Growth Characteristics and Asiaticoside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Centella asiatica by Cultivation and Irrigation Methods)

  • 최장남;이희정;이윤지;정진태;이정훈;장재기;박춘근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254-259
    • /
    • 2020
  • Background: Centella asiatica is a well-known medicinal plant having a wound healing effect. In this study, the growth, asiaticoside content, and antioxidant components and activity were investigated in C. asiatica resources under different cultivation and irrigation conditions. Methods and Results: The cultivation and irrigation methods were divided as greenhouse and open field, and sprinkler and sub irrigation. respectively. Growth characteristics were measured in aerial parts of C. asiatica. Asiaticoside content was analyzed using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Total polyphenol, total flavonoid and 2,2-diphenyl-1picryl 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analyzed for antioxidant activities. Growth was higher under greenhouse and sub irrigation than open field and sprinkler conditions. In the leaves, asiaticoside content was 53.45 mg/g (open field) and 34.38 mg/g (sub irrigation), total polyphenol was 41.14 mg/g (open field) and 25.73 mg/g (sub-irrigation), and total flavonoid was 27.26 mg/g (open field) and 23.72 mg/g (sub-irrigatio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the leaves was 85.97 mg·ascorbic acid equivalent (AAE)/g (open field) and 54.83 mg·AAE/g (sub irrigation). Conclusions: Asiaticoside and antioxidant components and activity were not accompanied with high yield, although high growth was observed under greenhouse conditions. Therefore, cultural requirements of C. asiatica should be sufficiently considered to suit each purpose.

의학 분야 오픈 액세스 현황 분석을 통한 국내 의학 정보 활성화 방안 (Analysis on the Open Access Policies, Publishing, and Archiving in the Field of Medicine)

  • 정경희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389-414
    • /
    • 2006
  • 본 논문은 의학 분야의 오픈 액세스 정책, 출판, 아카이브 현황을 분석하였다. 국외의 경우 오픈 액세스 출판사를 통하여 질적으로 인정된 학술지들이 출판되고 있으며, 이들 학술지의 논문이 PMC 혹은 BMC에 저장되고 있다. 또한 연구지원 기관이 새로운 학술커뮤니케이션 모델을 이루어나가는데 참여하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오픈 액세스 기반 학술커뮤니케이션이 국가 혹은 민간 연구지원재단에서 정책으로 수립되어 체계적으로 실행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많은 학술지들이 홈페이지를 통하여 논문을 공개하고 있으면서도, 오픈 액세스라는 새로운 출판 모델의 차원에서 접근하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은 외국의 오픈 액세스 현황 분석 내용과 국내 현황 파악을 기반으로 국내 의학 분야에서 오픈 액세스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문헌정보학 분야 연구데이터 공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aring of Research Data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Field)

  • 조재인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59-79
    • /
    • 2017
  • 본 연구는 Figshare를 통해 공유되고 있는 문헌정보학분야 연구데이터의 유형, 주제, 공개 수준 등을 분석하고 재사용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데이터의 특성을 통계적으로 해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데이터의 유형은 dataset과 paper 유형이, 주제 분야는 open access와 research data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70%에 가까운 연구데이터가 pdf와 같이 편집과 재사용이 원활하지 않은 형태로 공개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연구데이터의 특성과 활용 정도간의 관계 분석 결과, 주제에 있어서는 APC(Article Processing Charge)를 비롯한 open access 영역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데이터 유형에 있어서는 paper의 활용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지 및 시설에서 재배된 한라봉의 기기분석 및 관능평가에 의한 향기특성 (Volatile Flavor Properties of Hallabong Grown in Open Field and Green House by GC/GC-MS and Sensory Evaluation)

  • 송희순;박연희;문두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1239-1245
    • /
    • 2005
  • 노지 및 시설에서 재배된 한라봉의 과피에서 냉압착법에 의해 추출한 정유의 향기성분을 동정하였다. 노지에서 재배된 한라봉 정유에서 44개의 향기성분(99.7$\%$)이, 시설 한라봉 정유에서 45개의 성분(99.4$\%$)이 동정되었으며, (E)-lim-onene-1,2-epoxide와 neral은 노지 한라봉 정유에서만 동정되었고, $\beta$-cubebene, $\beta$-elemene, decyl acetate의 세 성분은 시설 한라봉 정유에서만 동정되었다. 노지 및 시설 한라봉 정유에서 동정된 향기성분 중 limonene이 86$\%$이상의 가장 높은 비율로 함유된 성분으로 확인되었으며, 그 다음으로 myrcene과 sabinene이 2$\%$이상으로 높게 함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노지 및 시설 한라봉 정유의 향기성분 특성을 나타내는 가장 큰 차이는 linalool의 함유량으로 노지 한라봉 정유의 함유량(1.2$\%$)이 시설정유의 함유량(0.5$\%$)의 2배 이상으로 높았다. 향기 성분의 기기분석과 함께 신선한 한라봉 과육 및 과피의 관능평가를 실시하였다. 신선한 한라봉의 향기특성에 대한 관능평가 결과는 한라봉 과육 및 과피 모두에서 노지에서 재배된 한라봉이 시설에서 재배된 것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향기특성을 지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노지 한라봉 과육은 단맛이, 시설 한라봉 과육은 신맛이 유의적으로 높게 평가되었다. 또한, 향과 맛을 고려한 전체적 선호도에서도 노지에서 재배된 한라봉이 높게 평가되었다. (p<0.01).이러한 결과는 노지 한라봉 정유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linalool의 함유율 및 재배방법의 영향을 받은 향기성분의 구성비율이 관능평가에 의한 과피 및 과육의 향기특성 결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