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nline privacy

검색결과 218건 처리시간 0.024초

딥러닝을 이용한 온라인 리뷰 기반 다속성별 추천 모형 개발 (Developing the online reviews based recommender models for multi-attributes using deep learning)

  • 이륜경;정남호;홍태호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8권1호
    • /
    • pp.97-114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duct the factors for explaining the economic behavior of an Internet user who provides personal information notwithstanding the concern about an invasion of privacy based on the Information Privacy Calculus Theory and Communication Privacy Management Theory. Design/methodology/approach This study made a design of the research model by integrating the factors deducted from the computation theory of information privacy with the factors deducted from the management theory of communication privacy on the basis of the Dual-Process Theory. Findings According to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Privacy Concern about forms through the Perceived Privacy Risk derived from the Disposition to value Privacy.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behavior of an Internet user involved in personal information offering occurs due to the Perceived Benefits contradicting the Privacy Concern.

Study of Determinants of Behavior Intention in Online Banking of Bangladesh

  • AKTER, Sumaiya;JANG, Seo-Youn;KIM, Tae-Joong
    • 동아시아경상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13-129
    • /
    • 2021
  • Purpose -This study was based on the TAM and the trust of Bangladeshi in social impact, privacy and security, compatibility, perceived-ease of use, and perceived-useful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se variables affect the acceptance of online banking.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nternet survey was conducted for individuals who had experience in using the online banking service, and those who have no experience in online banking were excluded from the analysis. Th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Bangladesh respectively, and data were collected. Result - Trust is the variable tha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adaption of online banking service. Perceived-usefulness was found to have a important effect on individuals' behavioral-intention towards the adopting of online Banking services in Bangladesh. It was also found that compatibility, privacy and security were important predictors. Conclusion - The TAM model, which explains individual behavioral intentions toward adopting online banking services in Bangladesh, is sufficiently applicable. Perceived ease of use found an important predictor of trust. Evidently, the current conclusions provide empirical evidence that customers would be more willing to adopt online banking services if they find it useful and reliable. Another very important constructive correlation between trust and perceived-usefulness, suggesting that consumers who realize that online banking is safe and useful.

아이핀(i-PIN)의 가치창출효과 추정 (Estimating Value Creation Effects of i-PIN)

  • 장원창;신일순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85-193
    • /
    • 2013
  • This paper analyzes the effects of i-PIN focusing on the positive value creation rather than the negative loss reduction from the viewpoint of internet company. Empirical tests are run to examine what determines the use of i-PIN and whether i-PIN users participate in e-commerce, communication, and SNS activity. Ou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ason for using i-PIN lies in the experience of privacy infringement rather than a high value on privacy protection. Second, i-PIN users tend to participate in the online activity such as e-commerce, communication, SNS. Third, the marginal effect of i-PIN adoption amounts to 2~9% of increase in the online activity. With the results, we expect that i-PIN adoption leads to sales increase and new customer acquisition as well as privacy leakage decrease and it provides logic to solve social underinvestment problem in privacy protection.

The determinants of increasing privacy concerns in the mobile apps

  • Baek, Young-Mi;Ohk, Kyung-Young
    •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 /
    • 제8권2호
    • /
    • pp.43-51
    • /
    • 2012
  • This study identifies the determinants of increasing privacy concerns in the mobile apps. The privacy affecting factors will be divided into the 3 categories on the basis of both users' and developers' perspective. First, this study explores whether the users' seeking value affects concern of the mobile apps privacy. Second, gender gap on the mobile privacy sensitivity will be tested. Third, this study identifies the meaning of apps developers' providing toolkit in the users' sensitivity on the privacy. The result showed that innovation among the customer's characteristics was identified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o affect the mobile app privacy sensitivity. Ethical norm related variables (ethical identity, subjective norm and utilitarian value) were also identified as the meaningful variables in the mobile app privacy. Toolkits provided by app developers are also appeared a significant variable to affect the customer's app privacy sensitivity negatively. Finally gender also appears the meaningful factor in the mobile app privacy sensitivity.

모바일 광고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젊은 소비자들은 온라인 모바일 광고에 어떻게 반응하는가 (Factors Affecting Mobile Advertising Acceptance: How Young Consumers React to Online Mobile Ads)

  • 엄남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15-23
    • /
    • 2019
  • 모바일 기기는 가장 영향력있는 미디어 플랫폼으로 거듭났다. 따라서, 모바일 광고는 다른 종류의 광고들 보다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인다. 본 연구는 짜증, 개인화, 그리고 온라인 개인정보 사생활 근심을 모바일 광고에 대한 선행요인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모바일 광고에 대한 태도를 모바일 광고 수용의 선행요인으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짜증은 소비자의 모바일 광고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개인화 및 온라인 개인정보 사생활 근심은 소비자의 모바일 광고 태도에 각각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소비자의 모바일 광고 태도는 모바일 광고 수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의를 통해 실무적인 함의를 제안하였다.

분산 OSN 환경에서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그룹 기반의 데이터 퍼튜베이션 기법 (A Group based Privacy-preserving Data Perturbation Technique in Distributed OSN)

  • 이주형;박석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2권12호
    • /
    • pp.675-680
    • /
    • 2016
  • 다양한 모바일 기기와 모바일 플랫폼 기술의 발전에 따라 online social network(OSN) 사용자 수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OSN 사용자들은 서비스를 통해 자유로운 의사소통과 정보 공유, 그리고 인맥 확대와 같은 사회적 활동을 할 수 있게 되지만, 이는 새로운 사용자 프라이버시 문제를 야기 한다. 이와 같은 사용자 프라이버시 침해 우려를 막기 위해 다양한 분산 OSN 아키텍처들이 소개되어 왔지만, 이 또한 기술적으로 사용자에게 자신의 데이터에 대해 완벽한 통제권을 부여하지 못한다. 본 논문은 OSN 사용자 정보에 대한 통제권의 부재를 해결하기 위해 personal data storage(PDS)를 사용한다. 또한 사용자 친구들을 각기 다른 프라이버시 레벨을 가지는 친구 그룹으로 그룹핑 한 뒤 각기 다른 사용자 친구 그룹들이 자신의 그룹 프라이버시 레벨에 맞는 사용자의 차등된 텍스트 데이터를 제공받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프라이버시와 서비스 유틸리티 모두를 고려한 시스템 아키텍처를 제안하였다.

Gender Differences in Determinants of Customer Satisfaction in Beauty and Cosmetic E-commerce

  • NGUYEN, Thuan Thi Nhu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0호
    • /
    • pp.811-822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gender differences in determinants of customers' satisfaction when purchasing online beauty and cosmetics products in Vietnamese market. To do so, we construct a data set via online survey of 419 Vietnamese customers including both males and females, and examine such sample using t-tests and multiple regressions. Our regression model is constructed based on our five-construct model including online shopping experience, customer service, external incentives, security and privacy,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The t-tests results reveal that the mean difference of customer satisfaction (negative coefficient) between the two groups of customers (females and males)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uggests that the purchasing satisfaction of male customers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ir female counterparts. Similarly, we also find that male customers are more satisfied with their online shopping experience, customer service and external incentives offered by the online sellers than female peers. Furthermore, regression results for full sample show that, on average, the online shopping experience, customer service and external incentives are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related to customer satisfaction. Yet, such positive effect of customer service on customer satisfaction is more likely for males while females' satisfaction is more positively influenced by security and privacy.

개인정보 취급방침의 인지가 개인정보보호 행동에 미치는 영향: 카카오톡 이용자를 중심으로 (The Experimental Research of Protection Behavior depends on Privacy Concern abou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on Privacy Policy for KakaoTalk Users)

  • 이은숙;이준기;차경진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35-150
    • /
    • 2016
  • 대부분의 웹 사이트에서는 법을 준수하기 위해 정보주체의 개인정보 수집에 동의를 구하는 이용약관이나 개인정보 취급방침(이하 '취급방침')을 마련하고 있다. 국내 온라인 및 모바일 서비스에서 이용자로부터 수집하는 개인정보의 항목을 명시하고자 마련한 취급방침을 대부분의 이용자는 읽지도 않고 그냥 넘기는 등 이용자 관점에서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보다 구체적으로 취급방침을 확인했을 때 이용자가 제공하는 개인정보의 인지 및 서비스 이용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카카오톡 이용자를 중심으로 실험하였다. 332명의 실험 참여 인원을 구성해 취급방침에 대해 기존 행동을 유지하는 그룹과 Display를 확인하여 내용을 인지하는 그룹을 구성해 개인 프라이버시 민감도의 차이를 고려하여 개인정보보호 행동의 차이를 분석하여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는 민감군과 무관심군으로 나누었을 때 취급방침 인지로 나타나는 보호행동을 제시하고 서비스 제공자의 정책 실현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서 집합적 효능감이 이용자들의 자기노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llective Efficacy on Self-Disclosure in Social Network Services)

  • 채성욱
    • 지식경영연구
    • /
    • 제19권1호
    • /
    • pp.19-39
    • /
    • 2018
  •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social network services (SNS) such as Facebook and Twitter became popular and many users disclose their personal and sensitive information like private story, photographs and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posting and sharing. Despite the privacy concerns in SNSs, individuals continue to disclose their identity online. This phenomenon is called 'privacy paradox'.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collective efficacy on self-disclosure in SNS context and to explain privacy paradox phenomenon. Drawing upon the communication privacy management theory, research model was developed and empirically tested with cross-sectional data from 306 individuals. Results revealed that collective efficacy has a direct positive effect on self-disclosure while privacy risk is negatively related to self-disclosure. However, privacy concern is not directly related to self-disclosure.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cy concern and self-disclosure was moderated by collective efficacy.

온라인 맞춤형 광고 안내에 대한 프라이버시 안내를 위한 UI/UX 제공 방안 연구 (A study on UI/UX Navigating Method for Effective Privacy Guidance for Online Behavioral Advertising(OBA))

  • 김가윤;김호준;김다영;양진홍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175-183
    • /
    • 2021
  • 온라인 맞춤형 광고에 대한 이용자의 개인정보 침해 우려가 증가함에 따라 국내 규제기관에서는 맞춤형 광고 관현 규정을 발표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고 있으며, 국내 웹사이트에서는 이를 준용하여 사이트 내 맞춤형 광고 안내 페이지를 제공한다. 국내 웹사이트의 맞춤형 광고 안내 제공 현황을 검토한 결과, 맞춤형 광고 안내 페이지에 이르기까지 다수의 페이지 이동이 요구되는 등 맞춤형 광고 안내 페이지에 접근하기 다소 복잡하다는 문제점을 발견했다. 이를 UI/UX의 관점에서 분석하기 위하여 국내 웹사이트에 전송되는 모든 유형의 온라인 맞춤형 광고에 적용되는 「온라인 맞춤형 광고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이 제시하는 바에 따라, 1) 홈페이지 첫 화면, 2) 광고가 제공되는 화면 두 가지 시작 지점으로부터 맞춤형 광고 안내 페이지에 이르기까지의 페이지 이동 경로를 구조화한다. 또한, 페이지 내 설치된 맞춤형 광고와 관련된 키워드를 포함하는 하이퍼링크, 시작 지점으로부터 맞춤형 광고 안내 페이지까지의 페이지 이동 수와 같이 페이지 이동 과정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맞춤형 광고 안내 페이지 접근 및 탐색 과정에 있어 발견된 문제점을 더욱 세부적으로 파악하고, 이용자에게 맞춤형 광고와 관련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공할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