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eic acid

검색결과 1,474건 처리시간 0.031초

보리 코오지 제조중(製造中)의 지질성분(脂質成分)의 변화(變化) (Changes in Lipid Components during Barley Koji Preparation)

  • 이상화;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9권2호
    • /
    • pp.138-147
    • /
    • 1986
  • 삶은 보리쌀에 Aspergillus oryzae를 접종(接種) 제국(製麴)하여 제국중(製麴中)의 diethyl ether 추출물(抽出物)과 85% methanol 추출물(抽出物)을 추출(抽出)하고 정제(精製)한 후 지질조성(脂質組成) 및 구성지방산(構成脂肪酸)을 분리정량(分離定量)한 결과(結果) 보리코오지 제조중총지질함량(製造中總脂質含量), diethyl ether 추출물(抽出物) 및 85% methanol 추출물함량(抽出物含量)이 증가(增加)하였고 diethyl ether 추출물(抽出物)의 중성지질함량(中性脂質含量), 당지질함량(糖脂質含量) 및 인지질함량(燐脂質含量)도 다같이 증가(增加)하였으나 85% methanol추출물(抽出物)의 중성지질함량(中性脂質含量), 당지질함량(糖糖脂質含量) 및 인지질함량(燐脂質含量)은 감소(減少)하였다. 그리고 diethyl ether추출물(抽出物)의 중성지질(中性脂質)에서는 TG함량(含量)이 감소(減少)하였으나 DG, FS, FFA 및 ES함량(含量)은 증가(增加)하였다. 85% methanol 추출물(抽出物)에서는 DG, FS, TG함량(含量)은 감소(減少)하였으나 FFA, ES함량(含量)은 증가(增加)하였다. 또한 diethyl ether 추출물(抽出物)의 인지질(燐脂質)에서는 LPC, PI, (PC+PS), PG, PE함량(含量)은 다같이 증가(增加)하였고 85% methanol추출물(抽出物)에서는 LPC,(PC+PS), PE함량(含量)은 감소(減少)하였으나 PI, PG함량(含量)은 증가(增加)하였다. 그리고 diethyl ether추출물(抽出物)의 중성지질(中性脂質)을 이루는 지방산(脂肪酸)에서 palmitic, linoleic acid함량(含量)은 감소(減少)하였으나 stearic, oleic acid함량(含量)은 증가(增加)하였고 85% methanol추출물(抽出物)에서의 palmitic, stearic, oleic, linoleic, linolenic acid함량(含量)은 감소(減少)하였다. 보리코오지 제국중(製麴中) diethyl ether추출무(抽出物)의 당지질(糖脂質)을 구성(構成)하는 지방산(脂肪酸)에서 palmitic, stearic, linoleic acid함량(含量)은 증가(增加)하였으나 linolenic acid 함량(含量)은 감소(減少)하였다. 85% methanol추출물(抽出物)에서는 palmitic, stearic, linoleic, linolenic acid함량(含量)이 감소(減少)하였으나 oleic acid함량(含量)은 증가(增加)하였다. 또한 diethyl ethe추출물(抽出物)의 인지질(燐脂質)을 구성(構成)하는 지방산(脂肪酸)에서 palmitic, stearic, oleic, linoleic, linolenic acid함량(含量)은 증가(增加)하였고 85% methanol추출물(抽出物)에서의 palmitic, oleic, linoleic acid함량(含量)이 감소(減少)하였으나 stearic, linolenic acid함량(含量)은 증가(增加)하였다.

  • PDF

국내 유통 콩의 지방함량 및 지방산 조성변이 (Diversity in Lipid Contents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Soybean Seeds Cultivated in Korea)

  • 김선림;이영호;지희연;이선주;김시주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348-357
    • /
    • 2007
  • 우리나라에서 재배 생산된 콩을 지역별로 수집하여 단백질, 지방함량 및 지방산 조성의 변이를 구명하여 국내 콩 자원의 이용성을 증진하고 고품질의 국산콩 생산기반 구축 및 특산단지 조성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본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1 황색콩의 백립중은 $24.6{\sim}36.6$ g(평균 29.0g)이었고, 검정콩은 $27.7{\sim}33.1g$(평균 31.2 g)의 변이를 보였으나 백립중 편차의 폭이 커 국내 유통 콩의 크기가 매우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2. 검정콩 59종의 단백질 함량은 38.6%로서 황색콩 58종의 단백질 함량 37.9%보다 높았으나 지방함량은 황색콩이 18.1%로서 검정콩의 17.6%보다 높아 종피색에 따른 변이를 보였다. 3. 우리나라 지역별 수집콩 117종의 지방산의 수준은 linoleic > oleic > palmitic > linolenic > stearic > arachidic > myristic > benhenic acid 순으로 높았으며, linoleic acid가 53.75%, oleic acid가 22.08%로서 지방산조성의 약 75.83%에 해당되었다. 4. 불포화지방산 수준은 수집 지역간에 통계적 유의차가 있었으나 linoleic acid 및 oleic acid수준은 수집지역에 따른 변이가 통계적으로 유의차를 보이지 않아 불포화지방산의 지역간 수준 차이는 주로 linolenic acid의 변이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5. 황색콩의 linoleic, oleic, palmitic, linolenic acid의 조성은 각각 53.43%, 22.73%, 12.23% 및 8.24%였으나 검정콩은 54.13%, 21.48%, 12.47% 및 8.31%로 나타나 콩의 종피색에 따른 지방산 수준에 변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다. 6. Oleic acid의 수준은 종피색에 따른 뚜렷한 변이를 보였으며 황색콩이 검정콩에 비하여 oleic acid의 조성비가 높게 분포되어 있었다. 7. 황색콩의 경우 백립중이 무거울수록 불포화지방산의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r=-0.513, P<0.01), 검정콩의 경우에는 백립중이 증가됨에 따라 불포화지방산의 수준이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r=0.154^{ns}).$

Influence of Oleic and Lauric Acid on the Stability of Magnetorheological Fluids

  • Huang, Yuehua;Jiang, Yuhuan;Yang, Xiongbo;Xu, Ruizhen
    • Journal of Magnetics
    • /
    • 제20권3호
    • /
    • pp.317-321
    • /
    • 2015
  • In this paper, magnetorheological fluids (MRFs) based on micro-sized iron particles dispersed in silicone oil are presented. The iron particles are modified by adding different ratios of oleic acid and lauric acid as surfactants to the suspensions. Lauric acid was found to reduce the stability of the MRFs, and more lauric acid results in a higher rate of sedimentation. Further study showed that the formation and structure of lauric acid may result in the sedimentation of micrometer-sized particles. Meanwhile, the electro-resistance of MRF in this paper shows a decrease from beyond $6000M{\Omega}$ to $190{\Omega}$ with an increase in the external field from 0 mT to 400 mT.

지방산조성과 탄소동위원소 분석에 의한 참기름에 혼입된 타식용유의 검출방법 (Detection of the Adulterated Sesame Oil by the Analysis of Fatty Acid Compositions and Carbon Isotope Ratio)

  • 하재호;허우덕;황진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45-350
    • /
    • 1993
  • 참기름의 품질을 보다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지방산조성과 탄소동위원소 비율을 측정하였다. 부정참기름을 제조할 때 주로 사용될 수 있는 5종의 식용유와 참기름의 지방산조성을 분석한 결과 유채유과 대두유의 경우 linolenic acid의 함량에 있어 참기름과 큰 차이를 보였다. 각종 식용유의 상대적 지방산조성비를 비교한 결과 미강유는 stearic acid에 대한 palmitic acid, 유채유는 oleic acid에 대한 linoleic acid, 면실유의 경우 oleic acid에 대한 linoleic acid의 비율을 측정함으로써 혼입 여부를 추정할 수 있었다. 각종 식용유의 탄소동위원소를 측정한 결과 oleic acid의 경우 참기름 $-27.60%_{\circ}$, 미강유 $-29.56%_{\circ}$, 유채유 $-27.14%_{\circ}$, 면실유 $-27.03%_{\circ}$, 대두유 $-28.03%_{\circ}$, 옥배유 $-19.40%_{\circ}$이었고 linoleic acid의 경우 참기름 $-27.70%_{\circ}$, 미강유 $-28.53%_{\circ}$, 유채유 $-26.95%_{\circ}$, 면실유 $-26.84%_{\circ}$, 대두유 $-28.15%_{\circ}$, 옥배유 $-17.11%_{\circ}$로 나타났다. 지방산조성만으로 혼입여부를 추정하기 어려웠던 옥배유의 탄소동위원소비가 참기름의 탄소동위원소비보다 현저히 높아 혼입여부를 쉽게 추정할 수 있었다.

  • PDF

Determination of Fatty Acid Composition in Peanut Seed by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 Lee, Jeong Min;Pae, Suk-Bok;Choung, Myoung-Gun;Lee, Myoung-Hee;Kim, Sung-Up;Oh, Eun-young;Oh, Ki-Won;Jung, Chan-Sik;Oh, In Seok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64-69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 fast and efficient screening method to determine the quantity of fatty acid in peanut oil for high oleate breeding program. A total of 329 peanut samples were used in this study, 227 of which were considered in the calibration equation development and 102 were utilized for validation, using near infrared reflectance spectroscopy (NIRS). The NIRS equations for all the seven fatty acids had low standard error of calibration (SEC) values, while high R2 values of 0.983 and 0.991 were obtained for oleic and linoleic acids, respectively in the calibration equation. Furthermore, the predicted means of the two main fatty acids in the calibration equation were very similar to the means based on gas chromatography (GC) analysis, ranging from 36.7 to 77.1% for oleic acid and 7.1 to 42.7% for linoleic acid. Based on the standard error of prediction (SEP), bias values, and $R^2$ statistics, the NIRS fatty acid equations were accurately predicted the concentrations of oleic and linoleic acids of the validation sample set. These results suggest that NIRS equations of oleic and linoleic acid can be used as a rapid mass screening method for fatty acid content analysis in peanut breeding program.

한국산녹두(韓國産綠豆)의 성숙중(成熟中) 지방산함량변화(脂肪酸含量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Changes of Fatty Acid Composition in Seeds of Mung Bean during the Ripening Process)

  • 고무석;박복희;이행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75-79
    • /
    • 1982
  • 한국산(韓國産) 녹두(綠豆)(Phaseolus aureus)의 성숙단계별(成熟段階別) 지방산(脂肪酸)의 함량변화(含量變化)를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개화후(開花後) 10일(日), 15일(日), 20日, 25일(日), 30일(日)의 5단계(段階)로 채취하여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지방(粗脂肪)의 함량(含量)은 숙성(成熟)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增加)하였다. (2) 녹두(綠豆)의 성숙과정중(成熟過程中) 나타나는 지방산(脂肪酸)은 myristic acid, 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및 linolenic acid 등이다. (3) myristic acid, palmitic acid는 성분(成熟) 이후에서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4) 총(總) 지방산중(脂肪酸中) linoleic acid 함량이 가장 많고 oleic acid, linolenic acid는 거의 비슷한 함량(含量)을 보였다. (5) 성숙과정중(成熟過程中) 포화지방산(飽和脂肪酸) 대(對) 불포화지방산(不飽和脂肪酸)은 16-19/81-84%의 비율(比率)로 함유(含有)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Evaluation of crude protein, crude oil, total flavonoid,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DPPH activity in the sprouts from a high oleic acid soybean cultivar

  • Mugisha, James;Asekova, Sovetgul;Kulkarni, Krishnanand P.;Park, Cheol Woo;Lee, Jeong-Dong
    • 농업과학연구
    • /
    • 제43권5호
    • /
    • pp.723-733
    • /
    • 2016
  • Soybeans [Glycine max (L.) Merill] are a rich source of antioxidants and other phytonutrients. Soybean sprouts contain many biologically active secondary metabolites and are rich in polyphenols, flavonoids, and phenolic compounds. In the present study, two soybean cultivars, Hosim, with high oleic acid (- 80% in total seed oil), and Pungsannamul, with normal oleic acid (- 23%) in seed, were examined for changes in the content of crude protein, crude oil, total flavonoids, total phenolics, and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during the sprouting duration of 5 days. The protein content in both the varieties was found to increase by the days of sprouting. The crude oil content of Pungsannamul sprouts was found to be maximum on day 1 (16.9%, w/w) and decreased thereafter to reach to the level of 14.8% on day 5.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rude oil content of Hosim sprouts from day 1 to 5 were observed. Flavonoid content was found to increase up to day 4 and then dropped on day 5, in both the cultivars. Total polyphenol content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up to day 3 and started to decrease significantly from day 4. DPPH activity was found to increase up to day 5 in both the varieties. All the components studied in the high oleic acid soybean sprouts showed a change in content during the sprouting process similar to the change that would occur in normal oleic acid soybeans. The study showed that the contents of antioxidant, flavonoid, and polyphenol significantly increase during the sprouting.

올레산을 이용한 오이의 흰가루병 방제 (Control of Powdery Mildew on Cucumber by Using Oleic Acid in the Greenhouse)

  • 이문행;김영식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695-703
    • /
    • 2014
  • 본 연구는 온실 내 오이재배에서 크게 문제가 되는 흰가루병의 친환경적 방제를 위한 방법으로 올레산의 사용에 대한 효과와 올레산 처리 시 적정 농도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은 상명대학교 플라스틱 실험온실에서 '백봉다다기(농우바이오, 한국)'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오이의 흰가루병에 대한 올레산의 처리효과와 적정농도 구명을 위한 실험은 무처리구를 대조구로 하고 올레산 2000 ppm, 4000 ppm, 6000 ppm, 8000 ppm을 각각 처리하고 병피해도, 병반면적율, 방제가, 약해피해도 및 약해면적율을 조사하였다. 방제가는 처리 3일 후에 조사했으며, 재발생 조사는 55일간 수행하였다. 시설 내 주야간 온도는 $23/15^{\circ}C$로 조절하였고, 상대습도는 조절하지 않았다. 오이의 흰가루병 방제에 올레산은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나서 화학적 방제를 대체할 수 있는 좋은 친환경 유기농자재로 판단되었다. 올레산은 2000 ppm 농도로 분무하는 것이 방제가가 높으며, 약해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흰가루병의 예방 및 재발생 방지를 위해 3주에 1회씩 올레산을 분무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Flavobacterium sp. Strain DS5에 의한 Oleic Acid로부터 산화 지방산의 생산 및 회수 (Production and Recovery of Oxygenated Fatty Acids from Oleic Acid by Flavobacterium sp. Strain DS5)

  • 허신행;김범수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7권5호
    • /
    • pp.620-623
    • /
    • 2009
  • Flavobacterium sp. strain DS5(NRRL B-14859)를 oleic acid로부터 중간생성물로서 10-hydroxystearic acid(10-HSA)를 거쳐 10-ketostearic acid(10-KSA)로의 전환에 이용하였다. 두 개의 플라스크 배양액을 원심분리하여 세포를 모은 후 한 개의 플라스크에 재현탁하여 세포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10-KSA의 생산이 보통 플라스크 배양의 3.5 g/L에서 6.5 g/L로 향상되었다. 배양액에 Tween-80의 첨가는 10-KSA와 10-HSA의 생산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발효 후 배양액을 원심분리한 결과, 펠렛이 두 부분(노란색과 흰색)으로 분리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결과, 10-KSA와 10-HSA는 흰 펠렛에서만 검출되었다. 이는 strain DS5에 의한 생전환 생성물이 세포 밖으로 배출되며 간단한 원심분리 단계를 통해 세포로부터 쉽게 회수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Coicis Semen Reduces Staphylococcus aureus Persister Cell Formation by Increasing Membrane Permeability

  • Minjun KIM;Tae-Jong KIM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2권2호
    • /
    • pp.145-156
    • /
    • 2024
  • Unlike resistant cells, persister cells resist antibiotics due to a decreased cellular metabolic rate and can transition back to normal susceptible cells when the antibiotic is removed. These persister cells contribute to the chronic symptoms of infectious diseases and promote the emergence of resistant strains with continuous antibiotic exposure. Therefore, eliminating persister cells represents a promising approach to significantly enhance antibiotic efficacy. Here, we found that Coicis Semen extract reduced Staphylococcus aureus persister cells at a concentration of 0.5 g/L. Linoleic acid and oleic acid, the major components of Coicis Semen extract, exhibited a comparable reduction in persister cells when combined with three antibiotics: ciprofloxacin, oxacillin, and tobramycin. Conversely, these effects were nullified in the presence of the surfactant Tween 80 (1%), suggesting that the hydrophobic characteristics of linoleic acid and oleic acids play a pivotal role in reducing the number of S. aureus persister cells. Considering the concentration-dependent effects of linoleic acid and oleic acid, the persister-reducing activity of Coicis Semen extract was primarily attributed to these fatty acids. Moreover, Coicis Semen extract, linoleic acid, and oleic acid increased the cell membrane permeability of S. aureus. Interestingly, this effect was counteracted by 1% Tween 80, indicating a close association between the reduction of persister cells and the increase in cell membrane permeability. The identified compounds could thus be used to eliminate persister cells, thereby enhancing therapeutic efficacy and shortening treatment duration. When used in conjunction with antibiotics, they may also mitigate chronic symptoms and significantly reduce the emergence of antibiotic-resistant bacter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