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lder adults

검색결과 1,721건 처리시간 0.034초

저항훈련을 통한 노인들의 기능적 수행능력의 변화에 대한 문헌적 고찰 (The Change of Functional Performance Abilities by Resistance Training in Older Adults)

  • 허영구
    • 대한임상전기생리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01-109
    • /
    • 2004
  • We developed research strategies for measuring functional performance and proprioception. We determined whether resistance training improves functional performance in the older adult, whether resistance training improves proprioceptive sense, and whether improvement in functional performance and/or proprioception are a direct result of the resistance training or a result of movement independent of strength gains. The answer to these questions will enable those in the sport fitness industry and medical practioners to better advise the growing number of older adults about the benefits of specific types of exercise. The will also enable the medical practitioner to prescribe appropriate exercise to those with limitations in functional ability in attempts to restore independent living.

  • PDF

Verification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hort Form 36 Scale in Indonesia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 Arovah, Novita Intan;Heesch, Kristiann C.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53권3호
    • /
    • pp.180-188
    • /
    • 2020
  • Objectives: The Short Form 36 (SF-36) questionnaire is increasingly being used to measur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 Indonesia. However, evidence that it is valid for use in Indonesian adults is lacking. This study assess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F-36 in Indonesia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Methods: Adults aged 46-81 years (n=206) in Yogyakarta, Indonesia completed the SF-36, another measure of HRQoL (the EuroQoL visual analogue scale [EQ-VAS]), and measures assessing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ifty-four percent (n=121) completed the SF-36 measure again 1 week lat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factor structure of the SF-36.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as estimated using Cronbach's alpha, and test-retest reliability was assessed using intraclass correlations.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assessed by computing correlations among SF-36 subscales, between subscales and the 2 component scores, and between component scores and EQ-VAS scores. Results: Most scaling assumptions were met. The hypothetical factor structure fit the data poorly (root mean square error of approximation [RMSEA]=0.108) and modification was required for a good fit (RMSEA=0.060). Scores on all subscales demonstrated acceptable internal consistency (α>0.70) and test-retest reliability (r>0.70). Divergent validity was supported by weak to moderate interscale correlations (r=0.19 to 0.64). As expected, the 2 summary scores were moderately to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EQ-VAS (r>0.60). Conclusions: The findings adequately support the use of SF-36 in Indonesian middle-aged and older adults, although the optimal algorithm for computing component scores in Indonesia warrants further investigation.

Regional disparities in the associations of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and healthy dietary factors in Korean adults

  • Ha, Kyungho;Song, YoonJu;Kim, Hye-Kyeong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4권5호
    • /
    • pp.519-531
    • /
    • 2020
  • BACKGROUND/OBJECTIVES: Regional disparities in dietary factors might be related to regional disparities in cardiometabolic health. Therefor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s of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and dietary factors with regional types in Korean adults. SUBJECTS/METHODS: Based on data from the 2007-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study included 39,781 adults aged ≥ 19 years who completed the dietary survey and a health examination. Healthy and unhealthy dietary factors (fat, sodium, fruit, and vegetable intakes) were evaluated using 1-day 24-h dietary recall method, as well as the use of nutrition labels with a questionnaire. RESULTS: Of the participants, 48.7%, 36.0%, and 15.2% lived in metropolitan, urban, and rural areas, respectively. Adults living in urban and rural had higher odds ratios (ORs) for obesity (OR for urban, 1.07; 95% confidence interval (CI), 1.01-1.14; OR for rural, 1.14; 95% CI, 1.05-1.24) than adults living in metropolitan areas; these associations were significantly observed in middle-aged adults. Compared to metropolitan residents, rural residents had lower ORs for hypertension in middle-aged (OR, 0.86; 95% CI, 0.76-0.96) and metabolic syndrome in older adults (OR, 0.78; 95% CI, 0.67-0.91). Regarding urban residents, a lower OR for diabetes in middle-aged adults (OR, 0.85; 95% CI, 0.74-0.97) and a higher OR for hypertension in older adults (OR, 1.19; 95% CI, 1.02-1.39) were observed. Overall rural residents had higher ORs of excessive carbohydrate, low fruit, and high salted-vegetable intakes than metropolitan residents. Low fruit intak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obesity, metabolic syndrome, and hypertension, after adjustment for regional type and other confounders in total participants. CONCLUSION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cardiometabolic risk and unhealthy dietary factors differ among regional types and age groups within Korea. Nutritional policy and interventions should consider regional types for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사회생태학적 분석을 통한 중소규모 A 도시 거주 노인 신체활동 촉진전략 모색 - 혼합연구기법으로 (Exploring Physical Activity Promotion Strategies for Older Residents in a Small Town Based on Socio-ecological Model: A Mixed Method Inquiry)

  • 김경오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2호
    • /
    • pp.47-67
    • /
    • 2016
  • 본 연구는 중소규모 도시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실제적 신체활동량을 측정하고, 이에 기반하여 이들이 인지하고 있는 신체활동과 관련된 문제점을 사회생태학적 모델을 통해 이해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총 3개의 세션으로 구성되었는데, 1차 설문조사, 2차 가속도계 연구, 3차 포토보이스 연구가 이에 해당된다. 개별적인 3 단계의 연구들은 혼합연구의 기법 중 포섭(nesting)의 방식 통해 통합적으로 분석되었다. 1차 설문조사과정에 참여한 134명의 노인 중 73명의 노인들이 주당 150분의 신체활동에 참여하지 않는다고 응답했으며, 이들 중 40명이 2차 가속도계 연구에 참여하였다. 2차 가속도계 연구에서 32명의 노인이 주당 150분의 중고강도 신체활동(MVPA)를 충족하지 못했으며, 이들 중 최종적으로 6명이 3차 포토보이스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5개의 테마가 귀납적으로 도출되었다. 1. 올바른 신체활동에 대한 정보 및 서비스 부재, 2. 주변인의 지지 부재, 3. 만성질환으로 인한 제약, 4. 시설의 부재, 5. 기존 생활습관 및 방식으로 인한 신체활동 기회부족이다. 사회생태학적 모델로 분석된 5개의 테마를 통해 최종적으로 개인적, 대인간, 조직적, 공동체적, 그리고 공공정책수준에서의 개선방안이 각각 제시되었다.

컴퓨터/인터넷 게임 활동이 노인의 우울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자아통제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Computer/Internet Game Play on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Self-Control)

  • 안준희;임경춘;이윤정;김경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406-417
    • /
    • 2011
  • 본 논문은 노인의 컴퓨터/인터넷 게임 활동이 자아통제감을 매개로 우울과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며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237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경로분석을 통해 구성 개념간 인과관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노인들의 컴퓨터/인터넷 게임 활동은 자아통제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게임 활동에 의해 영향을 받은 자아통제감은 우울을 감소시키고, 생활만족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분석 결과, 컴퓨터/인터넷 게임활동은 우울과 생활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자아통제감을 매개로 노인들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통제감은 생활만족도를 높이는 효과보다 우울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노인들의 새로운 여가활동 형태인 컴퓨터/인터넷 게임이 노인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효과를 구조적으로 증명했다는 의미가 있고, 노인들을 위한 게임을 개발할 때 인지적, 신체적 특성을 고려할 뿐 아니라 노인들이 자아통제감을 얻을 수 있는 방향에서 접근되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노인의 여가활동욕구와 심리사회적 노화인식 (A Stud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eisure Needs and Perception of Psycho-Social Aging among Older Adults)

  • 임효연;이순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96-107
    • /
    • 2016
  • 본 연구는 변화되고 있는 노인들의 여가활동욕구를 파악하고, 노인복지관 이용자의 여가활동욕구 정도가 노인의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어졌다. 본 연구는 2015년 12월 1일부터 12월 20일까지 수집된 2015년 G구 노인종합사회복지관의 서비스를 이용하는 이용자 131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한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 노인들은 심리적으로 노화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참가대상자들의 여가활동욕구 정도에 대한 인식은 스포츠참여 및 건강관련 활동, 문화예술관람활동, 지역사회교류활동, 문화예술참여활동, 취업 및 노후설계교육활동, 취미오락활동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셋째, 여가활동욕구 정도가 노인의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취미오락활동 욕구와 취업 및 노후설계교육 욕구가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통제요인인 연령과 주관적 건강상태가 심리사회적 노화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실천적 제언으로, 노인들을 위한 다양한 여가체험활동 지원, 다양한 여가 프로그램 탐색의 기회 제공, 노년기 여가욕구와 여가활동을 지원하는 맞춤형 매칭 프로그램의 개발이 제시되었다.

Effect of seasonal changes on nutritional status and biochemical parameters in Turkish older adults

  • Ersoy, Nesli;Tasci, Ilker;Ozgurtas, Taner;Salih, Bekir;Doruk, Huseyin;Rakicioglu, Neslisah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2권4호
    • /
    • pp.315-323
    • /
    • 2018
  • BACKGROUND/OBJECTIVES: Available data suggest that seasonal changes may influence the nutritional status and overall health of elderly individual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asonal changes and related factors on energy and nutrient intake of older adults. SUBJECTS/METHODS: Individuals aged 65 years or over were prospectively enrolled in this single-center study (male: 11, female: 20). Data were collected between May 2013 and February 2014 during winter, spring, summer and autumn. Food consumption and biochemical parameters were taken during each season to assess the seasonal nutrition status of the elderly. Upon analysis of biochemical parameters (retinol, vitamin D and vitamin C), an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device was utilized whereas an Immulite 2000 device was utilized during analysis of serum folic acid and parathyroid hormone. RESULTS: Fruit, fat, egg and bread consumption varied seasonally in males and females (P < 0.05). During winter, daily energy intake was found to be greater than in other seasons in males (557 kcal) and females (330 kcal) (P < 0.05). Additionally, carbohydrates, vegetable protein, n-3 fatty acid and sodium intake increased in winter, while the n-6/n-3 ratio increased in summer among males (P < 0.05). Dietary fiber and sodium intake in winter, vitamin C, iron and zinc intake in spring, and cholesterol, retinol, vitamin D and niacin intake in autumn were found to be higher in females when compared to other seasons (P < 0.05). Serum parathyroid hormone level was higher in winter, and vitamin D level was higher in autumn in both genders (P < 0.05). In males, blood folic acid level was higher in winter, while vitamin C level was higher in females, and there was no seasonal variation in retinol concentration (P < 0.05). CONCLUSION: Food consumption and biochemical parameters showed significant seasonal variations in older adults. It is not clear if nutrition plans in older adults will benefit from consideration of seasonal changes in eating habits.

국내 노인 대상 음악중재연구 내 치료 논거 세부 분석 (Therapeutic Rationale for Music Therapy Interventions With Older Adults: An Analysis of the Literature)

  • 김지현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16권2호
    • /
    • pp.53-7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노인 대상 음악중재연구의 내용 구성과 음악사용에 대한 근거를 확인하여 향후 연구에 필요한 자료와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노인 대상 음악중재연구의 전반적 특성, 중재내용의 특징, 치료 논거 기술 특징 및 적절성 등으로 구분된 기준을 통해 연구 자료를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국내 KCI등재(후보)학술지 게재논문 33편이 1차 분석 대상으로 선정되었고, 이 중 연구자가 설정한 기준에 따라 23편을 선정하여 2차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최종적으로 5편을 선별하여 기술된 치료 논거의 적절성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논거 기술에 대상자의 진단적 특성이 고려되지 않았거나 두 가지 이상의 음악 활동이 복합적으로 진행되어 중재의 목표가 분명하게 제시되기 어려운 연구들이 많았다. 또한 음악의 선곡 기준이 목표활동에 대한 음악 요소의 사용논거보다는 대상자의 선호도나 친숙도를 근거로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사실은 노인 대상 음악중재연구 시 중재기술의 구체성과 이를 뒷받침하는 치료적, 음악적 논거가 보완되어야 하고 중재 목표에 따른 타당한 이론적 근거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노인 대상 음악중재연구의 치료적 논거를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중재의 임상적 자료를 제공하고, 추후 연구에 요구되는 연구의 방향과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한국 노인의 활동제한 유병율 (Prevalence of Activity Limitation in Korea's Older Adults Population)

  • 김상돌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453-460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활동제한 유병율, 활동제한 사유, 일반적 특성과 활동제한 유병율과의 관련성 등을 확인하기 위한 자료분석 연구이다. 본 연구자료는 우리나라 질병관리본부에서 수행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1차년도 (2016년) 원시자료로부터 추출되었다. 본 연구 대상자는 2016년 1월부터 12월까지 수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대상자 중 만 65세 이상의 노인인구 1,578명 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8.0 versio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으로 분석하였다. 2016년도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활동제한 유병율은 남성이 17.3%, 여성이 21.1%, 전체는 19.6% 이었다. 활동제한 사유는 등과 목의 문제(19.8%)와 관절염 및 류마티즘(17.1%)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활동제한 유병율은 연령 및 교육수준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 연령에 따른 활동제한 유병율은 65-69세 그룹에 비해 70-74세 그룹은 1.33배(OR 1.33; 95% CI 0.89-2.00, p<0.05), 75-80세 그룹은 1.69배(OR 1.69, 95% CI 1.34-2.50, p<0.05)가 더 높게 나타났다. 교육수준에 따른 활동제한 유병율은 대학졸업 대상자에 비해 초등학교 졸업이하 대상자가 2.30배가 더 높게 나타났다 (OR 2.30; 95% CI 1.28-4.14, p<0.05).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활동제한 유병율에 대한 주요 영향요인은 연령, 교육수준, 그리고 등과 목의 문제와 관절염 및 류마티즘 등과 같은 근골격계 질환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인구의 활동제한 유병율의 감소를 위한 근거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노년초기 건강상태가 노후소득수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arly Health Status on Income during Old-Age Period)

  • 김정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593-603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건강상태를 선행요소로 두고 건강수준의 차이가 노화가 진행되는 과정에서 노후소득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국민연금공단의 국민노후보장패널자료를 사용하여 1차(2005년)부터 6차년(2015년)까지 10년 동안 종단자료에 모두 존재하는 923명을 최종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기술통계분석결과 노년초기건강상태의 차이에 따라 노후소득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56~60세 노년초기의 건강상태가 양호한 대상자가 건강하지 못한 대상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경제적 수준을 10년간 지속하고 있었다. 다중회귀분석결과에서는 성별, 배우자유무, 교육수준의 효과를 통제한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노년초기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소득수준이 증가하였다. 또한 노년초기 건강상태가 좋은 고령층은 건강하지 못한 고령층보다 노후소득이 높았으며, 건강상태에 따른 소득차이가 고령화와 함께 지속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년초기건강상태의 향상과 노년초기 건강상태가 노후소득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는 정책적 실천적 방안들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