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il-degradation

검색결과 405건 처리시간 0.021초

수면부상성 점보입제의 수면부상성 및 경시분해 안정성 개선 (Improvement of floating ability and storage stability for jumbo granules)

  • 김승호;안병우;정봉진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2-39
    • /
    • 1998
  • 노력절감형 생력화제형인 수면부상성 점보형입제를 개발하는 데 있어서 대상 제초제인 sulfonyl urea의 경시분해 안정성 해결이 필수적이므로, 본 연구는 azimsulfuron+molinate (0.075+7.5%)를 대상약제로 선정하여 우수한 수면부상성과 주성분인 azimsulfuron의 경시분해 안정성 확립 및 이에 따른 제조공정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용제로는 paraffin oil이 선정되었고, 증량제로는 수면부상성에 더 효과적인 KCl이 선정되었으며, 이를 적용시켜 제제된 제품은 25분 안에 입자들의 100%가 부상하고 확산하는 우수한 수면부상성 및 확산성을 나타내었다. 주성분의 경시분해 안정성을 확보하고자 수행한 실험의 결과는 증량제, 계면활성제, pH의 변화에 따른 유의성 있는 개선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NaOH의 첨가량 변화에 따른 azimsulfuron의 염형성을 변화시킬 경우 NaOH 1.15M 조합에 다소 개선된 결과를 보였지만 충분하지 않았다. 그러나 제조공정을 변형시켜 실험한 결과 azimsulfuron을 white carbon에 액상인 sodium dialkyl sulfosuccinate로 흡착시킨뒤 분쇄하여 별도의 분상부분을 만들고 KCl, N-methyl acrylate, xanthan gum을 혼합시켜 고상 혼합부분과 재혼합한 후 반죽${\rightarrow}$조립${\rightarrow}$건조${\rightarrow}$액상부 살포 등의 방법으로 제제하였을 때, $40^{\circ}C$ 경시안정성 실험 결과 2주, 6주, 12주 후의 주성분 분해율이 1.2, 2.1, 7.2%로서 안정성이 뛰어난 제조 공정법을 확립할 수 있었다.

  • PDF

디젤오염기간 및 토성이 오염토양 콤포스팅 처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ging and Soil Texture on Composting of Diesel-Contaminated Soil)

  • 최정영;남궁완;박준석;황의영
    • 유기물자원화
    • /
    • 제10권2호
    • /
    • pp.132-139
    • /
    • 2002
  • 본 연구는 디젤의 오염기간 및 토성이 콤포스팅 처리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실시하였다. 오염경과기간은 15일과 60일로 하였으며 대조실험으로 오염직후의 토양실험도 실시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토양은 실트질양토와 사토이었으며 대상오염물질은 디젤오일이었다. 초기오염농도는 건조질량기준으로 약 10,000mgTPH/kg으로 하였으며, 수분은 각 토성의 수분보유능력의 70%로 조절하였다. 유기물질 보충 및 미생물식종의 목적으로 하수슬러지를 첨가하였으며 토양대 슬러지 혼합비율은 습윤질량비로 1:0.3이었다. 휘발된 TPH양은 초기농도의 0.9-1.8%정도로써 디젤오염토양의 콤포스팅 적용시 디젤은 주로 생물학적인 요인에 의하여 제거되었다. 휘발에 의하여 손실되는 n-alkanes들은 대부분 C10~C17의 성분들이었으며, 특히 C10~C14까지의 성분들이 C15 이상의 성분들보다 휘발이 많이 되었다. 사토의 TPH에 대한 1차반응 분해속도상수 k값은 0.081-0.094/day로 실트질양토의 0.056-0.061/day보다 약 1.5배 정도 높았다. 오염경과기간의 영향을 살펴보면, 60일까지의 오염경과기간으로는 TPH 분해효율의 뚜렷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산화탄소회수율은 0.61-0.89이었으며, TPH분해량과 이산화탄소발생량과의 상관계수는 0.90-0.96의 범위에 있었다.

  • PDF

The Effect of Formaldehyde Treatment of Solvent and Mechanical Extracted Cottonseed Meal on the Performance, Digestibility and Nitrogen Balance in lambs

  • Khan, A.G.;Azim, A.;Nadeem, M.A.;Ayaz,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3권6호
    • /
    • pp.785-790
    • /
    • 2000
  • The effect of formaldehyde treatment of solvent and mechanical extracted cottonseed meal on the performance, digestibility and nitrogen balance was assessed in lambs. Four total mixed rations viz., A, B, C and D containing 40% untreated and treated solvent and mechanical extracted meal were prepared. Sixteen male lambs with average BW of 20-22 kg were randomly allocated to experimental rations and were fed individually during ninety days growth trial. The treatment of solvent extracted cottonseed meal resulted in a linear decrease in ruminal protein degradation. Maximum decrease (64%) in protein degradation was observed at 4 h incubation time with 0.3% formaldehyde treatment. Highest daily BW gain was observed in lambs fed on rations Band D compared to lambs fed on rations A and C. Daily BW gain was higher on rations having 0.3% for fromaldehyde treated cottonseed meals. Higher DM digestibility was observed on ration D compared to other rations. Higher (p<0.05) CP and CF digestibility was observed on rations Band D compared to rations A and C. Nitrogen retention as % age of nitrogen intake was (p<0.05) higher for lambs fed rations B and D compared to rations A and C. Similar pattern was observed for nitrogen retention as percent of nitrogen absorbed.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at oil extraction methods of cottonseed did not alter their meal utilization in lambs, however, formaldehyde (0.3%) treatment of meals enhanced its efficiency for growth, digestibility and nitrogen balance in lambs.

Petrochemical effluent treatment using natural coagulants and an aerobic biofilter

  • Bandala, Erick R.;Tiro, Juan Bernardo;Lujan, Mariana;Camargo, Francisco J.;Sanchez-Salas, Jose Luis;Reyna, Silvia;Moeller, Gabriela;Torres, Luis G.
    •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 /
    • 제2권3호
    • /
    • pp.229-243
    • /
    • 2013
  • Coagulation-flocculation (CF) was tested coupled with an aerobic biofilter to reduce total petroleum hydrocarbon (TPHs) concentration and toxicity from petrochemical wastewater. The efficiency of the process was followed using turbidity and chemical oxygen demand (COD). The biofilter was packed with a basaltic waste (tezontle) and inoculated with a bacterial consortium. Toxicity test were carried out using Lactuca sativa var. capitata seeds. Best results for turbidity removal were obtained using alum. Considerable turbidity removal was obtained when using Opuntia spp. COD removal with alum was 25%, for Opuntia powder it was 36%. The application of the biofilter allowed the removal of 70% of the remaining TPHs after 30 days with a biodegradation rate (BDR) value 47 $mgL^{-1}d^{-1}$. COD removal was slightly higher with BDR value 63 $mgL^{-1}d^{-1}$. TPH kinetics allowed a degradation rate constant equal to $4.05{\times}10^{-2}d^{-1}$. COD removal showed similar trend with $k=4.23{\times}10^{-2}d^{-1}$. Toxicity reduction was also successfully achieved by the combined treatment process.

당-단백질 가열반응 시에 생성되는 향기성분에 미치는 지질의 영향 (Effect of Lipid Mediated Glucose-Protein Reaction on Thermal Flayer Generation)

  • 주광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21-25
    • /
    • 2002
  • 당-단백질의 가열반응 시에 생성되는 향기성분의 형성에 지질의 산화생성물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casein과 glucose(CG) 그리고 지질을 첨가한 사료(CGL)를 6$0^{\circ}C$에서 각각 2, 4주씩 저장한 후에 pressure reactor에 넣어 16$0^{\circ}C$에서 60분 가열 반응시킨 시료에서 향기성분을 추출하였다. Casein, glucose, 지질(CGL) 시료에서 단백질과 환원당의 반응물이 지질의 산화생성물과 반응하여 생성된 함질소 헤테로 고리화합물인 pyrazine, methylpyrazine과 2,5-dimethylpyrazine, 2-ethyl-5-methylpyrazine과 2-acetylpyrrole이 확인되었다. 또한 지질의 가열산화 분해성분인 3-methyll-butanol, heptanal, nonanal, 2-heptanone과 짧은 사슬의 지방산인 heptanoic acid, octanoic 가 검출되었다. 또 다른 화합물로 2-acetylfuran이 검출되었으며 glucose의 분해산물인 5-hdroxymethyl-2-furfural은 aems 시료에서 가장 큰 peak로 그 함량이 현저하게 많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시료에 첨가된 지질은 당-단백질 가열반응 시 생성되는 향기성분의 수와 그 함량을 증대시키는 작용을 하였다고 할 수 있다

2 1/4 Cr-1 Mo강 劣化材의 微小 疲勞龜裂의 발생 및 진전거동 (Initiation and Growth Behavior of Small Fatigue Cracks in the Degraded 2 1/4 Cr-1 Mo Steel)

  • 곽상국;장재영;권재도;최선호;장순식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53-62
    • /
    • 1992
  • 본 연구에서는 약 10년 정도 사용하여 경년 열화가 되었다고 예상되는 실구조 물의 일부를 입수하였으며 열화재의 특성과 비교하기 위하여 열처리에 의해 충격치를 회복시킨 재료를 회복재로 하여 두가지 재료에 대해 시험편을 제작하였따.열확현상 을 파악하기 위하여 평활재로 피로과정, 즉 미소 균열의 발생, 진전 및 복수 균열이 간섭합체하여 파단에 달하는 과정에 대하여 파괴역학적 견지에서 열화재와 회복재를 해석하고 이결과로 부터 확율변수를 추정하여 통계학적인 수명예측방법의 하나를 제시 하여 실구조물에 적용하는 방법에 대해 시도해 보았다.

Biodegradation of Aromatic Compounds by Nocardioform Actinomycetes

  • CHA CHANG-JUN;CERNIGLIA CARL E.
    • 한국미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미생물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57-163
    • /
    • 2001
  • Mycolic acid-containing gram-positive bacteria, so called nocardioform actinomycetes, have become a great interest to environmental microbiologists due to their metabolic versatility, multidegradative capacity and potential for bioremediation of priority pollutants. For example, Rhodococcus rhodochrous N75 was able to metabolize 4-methy1catechol via a modified $\beta$-ketoadipate pathway whereby 4-methylmuconolactone methyl isomerase catalyzes the conversion of 4-methylmuconolactone to 3-methylmuconolactone in order to circumvent the accumulation of the 'dead-end' metabolite, 4-methylmuconolactone. R. rhodochrous N75 has also shown the ability to transform a range of alkyl-substituted catechols to the corresponding muconolactones. A novel 3-methylmuconolactone-CoAsynthetase was found to be involved in the degradation of 3-methylmuconolactone, which is not mediated in a manner analogous to the classical $\beta$-ketoadipate pathway but activated by the addition of CoA prior to hydrolysis of lactone ring, suggesting that the degradative pathway for methylaromatic compounds by gram-positive bacteria diverges from that of proteobacteria. Mycobacterium sp. Strain PYR-l isolated from oil-contaminated soil was capable of mineralizing various polyaromatic hydrocarbons (PAHs), such as naphthalene, phenanthrene, pyrene, fluoranthrene, 1-nitropyrene, and 6-nitrochrysene. The pathways for degradation of PAHs by this organism have been elucidated through the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hemical intermediates. 2-D gel electrophoresis of PAH-induced proteins enabled the cloning of the dioxygenase system containing a dehydrogenase, the dioxygenase small ($\beta$)-subunit, and the dioxygenase large ($\alpha$)-subunit. Phylogenetic analysis showed that the large a subunit did not cluster with most of the known sequences except for three newly described a subunits of dioxygenases from Rhodococcus spp. and Nocardioides spp. 2-D gel analysis also showed that catalase-peroxidase, which was induced with pyrene, plays a role in the PAH metabolism. The survival and performance of these bacteria raised the possibility that they can be excellent candidates for bioremediation purposes.

  • PDF

고분자량 생분해성 폴리옥살레이트의 합성과 특성분석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High Molecular Weight Biodegradable Polyoxalate)

  • 김세호;유한나;강길선;이동원
    • 폴리머
    • /
    • 제34권6호
    • /
    • pp.547-552
    • /
    • 2010
  • 생분해성 고분자는 제약 및 생명공학 분야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물질로 특히 나노미립구의 형태로 약물전달체의 개발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yclohexanedimethanol과 oxalyl chloride를 pyridine의 존재 하에서 반응하여 고분자량의 생분해성 퍼옥살레이트 고분자를 합성하고 그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폴리옥살레이트는 분자량이 약 75000 Da 정도인 반결정성 고분자이며 물에서 가수분해가 일어남을 GPC와 NMR로 확인하였다. 소수성의 폴리옥살레이트는 단일유화법으로 나노미립구로 제조될 수 있으며 약물을 포접할 수 있고 아주 우수한 세포안정성을 가졌다. 용이한 합성과 우수한 물리화학적 및 생물학적 특성을 바탕으로 폴리옥살레이트 나노미립구는 약물전달체 개발에 아주 높은 잠재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현대 단청용 장단육색의 기본 특성 및 사용 기준 연구 (Basic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of Modern Dancheong Pigment Jangdanyuksaek (Incarnadine))

  • 김은지;정광용
    • 보존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57-476
    • /
    • 2015
  • 본 연구는 현재 단청 현장에서 쓰이고 있는 장단육색을 중심으로 현대 재료의 역학적 관계를 살펴보고 안료에 대한 물성 분석 결과 및 사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현재 장단육색 조채 방법을 설문조사 와 문헌조사를 실시하여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배합 실험을 실시하였다. 박락(剝落), 균열(龜裂), 이채(異彩) 현상이 적게 나타난 조건으로 직접 시편을 제작한 후 촉진 내후성 시험 및 자외선 열화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당($TiO_2$)인 루타일형이 아나타제형보다 변색 및 내구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나타제형의 경우 장단과의 혼색 과정에서 흡유량 차이로 인한 이채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또한 대체재로 쓰이고 있는 수성 외부용 페인트는 황변화 현상이 심하여 내구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호분은 열화 후 명도가 높아지는 현상이 나타나 조채 시 주의하여 사용해야 한다.

목재의 치수안정성과 내후성 개선을 위한 열처리 가공에 관한 연구 동향 (Research Trend of The Heat-Treatment of Wood for Improvement of Dimensional Stability and Resistance to Biological Degradation)

  • 김영숙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3호
    • /
    • pp.457-47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목재의 열처리가공에 대하여, 문헌 연구를 통하여 이와 관련된 주요 이슈 및 기술 동향을 조사하였다. 산업적으로 이용되는 주요 열처리기술은 네덜란드의 Plato-process, 프랑스의 Retification process, 독일의 OHT-process, 및 핀란드의 Thermowood process 등이었다. 열처리 공정상의 주요 영향인자들은 대상 수종, 가열 온도, 시간, 열전달 매질(air, 증기, 진공, 질소, 오일 등)이며, 이들 인자들을 변수로 한 최적조건 탐색 등의 연구가 주류를 이룬다. 열처리 목재는 치수안정성 증가, 중량 및 강도 감소, 부후균에 대한 내후성 향상에 변이, 변색균 및 해충에 대해 불충분한 저항성 등의 특징을 가진다. 열처리 목재의 내후성 향상을 위해 각 수종에 적합한 열처리 공정과 처리조건 탐색의 필요성이 시사되었다. 지속가능한 환경보존 및 목재자원 절약을 위해 열처리 목재의 새로운 용도 개발 및 이용 확대 노력이 반드시 필요한 과제인 것으로 고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