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cclusal stabilization appliance

검색결과 13건 처리시간 0.033초

교합안정장치 사용에 따른 구강 내 혐기성 세균과 S. mutans의 변화 (Alteration of Anaerobic Bacteria and S. mutans Count in Oral Cavity after Occlusal Stabilization Appliance Use)

  • 변진석;서봉직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2권4호
    • /
    • pp.375-381
    • /
    • 2007
  • 교합안정장치는 턱관절장애의 관리를 위해 가장 많이 선택되어지는 치료방법이다. 교합안정장치는 치료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강 내에서 매일 수 시간씩 착용하며, 전체적인 치료기간은 적게는 6개월에서 길게는 2년 가량이 소요된다. 구강 내에서 교합안정장치는 틀니나 고정식 교정장치의 경우처럼 의도하지 않게 타액이나 산소로부터 세균을 보호하고, 세균의 저장고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런 조건은 일반적으로 치주질환과 구취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균인 혐기성 세균과 치아우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S. mutans의 서식에 용이한 환경을 제공하게 되어 교합안정장치을 사용하게 되면서 발생되는 나쁜 맛이나 치주질환, 치태 형성 및 치아우식의 원인요소가 될 수 있다. 이 실험에서는 교합안정장치 사용 전후 구강 내 특정 치아에서 혐기성 세균과 S. mutans 수의 변화를 비교함으로써 교합 안정장치가 이들 세균 수 증가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며, 그것이 임상적으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4명의 남성(평균나이 27.5 세)이 참여하였고, 하루 9시간씩 상악교합안정장치를 취침시간 동안에만 사용하였으며, 총 5일 간 진행하였다. 5일 후 교합안정장치를 제거한 구강에서 상악좌측제2대구치, 상악좌측중절치, 하악좌측제2대구치를 각각 선택하여 치태와 타액이 혼재된 샘플을 정해진 규격으로 채취하였다. 각각의 샘플은 혐기성 세균 배양을 위한 혈액한 천배지와 S. mutans 선택배지에 각각 $100{\mu}{\ell}$씩 도말하여 $37^{\circ}C$ 10% $CO_2$ 조건으로 3일간 혐기 배양하였다. 각각의 배지에서 배양된 세균을 집락형성단위(CFU) 기준으로 육안으로 세어 최종적으로 CFU/ml로 환산해 기록하였다. 얻어진 자료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1. 교합안정장치 사용에 따라 구강 내 혐기성 세균 수와 S. mutans 수의 변화가 생겼다. 2. 혐기성 세균의 경우 교합안정장치 사용에 따라 상악제2대구치(P=0.003)와 상악중절치(P=0.020)에서 모두 그 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 교합안정장치의 장착은 직접 피개되지 않은 대합치아의 혐기성 세균 수 증가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끼쳤다. 4. S. mutans의 경우 교합안정장치 사용에 따라 상악제2대구치(P=0.043)와 상악중절치(P=0.049)에서 모두 그 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5. 교합안정장치의 장착은 직접 피개되지 않은 대합치아의 S. mutans 수에 어떤 영향도 끼치지 않았다.

Effects of soft occlusal appliance therapy for patients with masticatory muscle pain

  • Kashiwagi, Kosuke;Noguchi, Tomoyasu;Fukuda, Kenichi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1권1호
    • /
    • pp.71-80
    • /
    • 2021
  • Background: The options for stabilization appliance therapy for masticatory muscle pain include soft occlusal and hard stabilization appliances. A previous study suggested that hard stabilization appliance therapy was effective for patients with local myalgia who developed long facets on their occlusal applianc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atients in whom a soft occlusal appliance should be used to treat masticatory muscle pain by analyzing the type of muscle pain present and patient factors that influenced the effectiveness of this treatment. Methods: The study included 42 patients diagnosed with local myalgia or myofascial pain according to the Diagnostic Criteria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s Diagnostic Decision Tree. The analysis of patient factors included variables believed to be associated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First, a temporary screening appliance was used for 2 weeks to assess each patient for bruxism during sleep. Soft appliance therapy was then started. For each patient, the effectiveness of the appliance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intensity of tenderness during muscle palpation and the treatment satisfaction score at one month after starting treatment. Results: Data from 37 of the 42 patients were available for analysis. Twenty-five patients reported satisfaction with the appliance. I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odds ratio for reduction of facet length was 1.998. Nineteen patients showed at least a 30% improvement in the visual analog scale score. The odds ratio for local myalgia was 18.148. Conclusion: Soft appliance therapy may be used in patients with local myalgia. Moreover, patients who develop short facets on the appliance surface are likely to be satisfied with soft appliance therapy. Soft appliance therapy may be appropriate for patients with local myalgia who develop short facets on their occlusal appliance.

교합안정장치 교합면의 모양에 따른 저작효율 (The Chewing Efficiency of Occlusal Stabilization Appliances by Anatomy of the Occlusal Surface)

  • 임영관;최충호;김재형;이종욱;김병국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0권3호
    • /
    • pp.361-373
    • /
    • 2005
  • 교합장치요법은 측두하악장애 환자의 증상과 징후를 감소시키는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밝혀져 있다. 교합장치의 저작효율에 관한 보고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정상인에서 실험적으로 자연치열과 비교한 교합안정장치의 저작 효율을 조사하고, 개선된 저작 효율을 가진 변형된 교합안정장치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열한명의 연구대상자(평균 연령 25.3세, 연령 범위 23-33세)가 실험에 참여했다. 이 중 남자는 6명, 여자는 5명 이었다. 이들은 완전하거나 거의 완전한 자연치열을 가지고 있고 측두하악장애의 증상과 징후가 없는 건강한 사람들이었다. 기존의 편평한 교합면이 있는 상악 교합안정장치(FSA) 및 교합면에 부가적으로 해부학적인 구조가 있는 변형된 교합안정장치(ASA)의 2종의 교합장치를 각 대상자마다 제작하였다. 자연치열, ASA 및 FSA의 3가지 저작 조건에서 연구대상자들이 시험식품으로 선택된 땅콩을 저작하도록 하였다. 1분간의 저작기간 동안 저작주기 회수를 세었다. 저작된 땅콩 식괴를 회수하고 조직감 분석을 통해 경도를 측정하였다. 경도와 저작주기 회수에 대하여 통계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FSA의 저작효율은 자연치열의 38.6%에 해당하였다. ASA의 저작효율은 자연치열의 78.2%에 해당하였다. 2. 자연치열의 저작조건에서의 저작주기 회수는 초당 1.5회로 측정되었으며, 이는 ASA와 FSA의 조건에서 약 90%로 감소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ASA가 측두하악장애에서의 치료효과뿐만 아니라 향상된 저작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을 보여주었다. TMD 환자의 치료에 ASA의 임상적 사용을 긍정적으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교합안정장치가 전문골프선수들의 드라이버 비거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cclusal Stabilization Appliance on Driving Distance in Golf)

  • 권태훈;신상완;류재준;이성복;안수진;최여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6권2호
    • /
    • pp.157-168
    • /
    • 2010
  • 현재 스포츠 치의학은 두가지 방면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하나는 부드러운 재질로 만든 마우스 가드로 스포츠 외상의 예에 관한 연구이고, 또 하나는 딱딱한 재질로 만든 교합안정장치로, 구강 기능과 전신의 운동능력과 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이다. 현재 많은 프로선수들이 운동능력향상을 위해 교합안정장치를 사용해 오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스포츠 치의학에 대한 관심이 적어 위와 같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러한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조차도 준비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소수의 연구에서 실험 대상자의 정확한 분석과 교합 안정장치 장착 전과 후의 변화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이에 저자는 골프선수들의 교합분석과 턱관절분석을 시행하고, 피검자의 상태에 따른 정확한 교합안정장치를 제작하여 장치 장착 전과 후의 저작근의 근활성량의 변화와 드라이버 비거리의 변화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합안정장치를 장착함으로써 저작근의 근안정이 유도되고, 드라이버 비거리가 증가되었다. 특히 측두하악장애를 지닌 골프선수일수록 교합균형장치를 사용함으로 드라이버 비거리의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된다.

A Study on the Change of Occlusal Contacts and Lateral Cephalometric Variables after Stabilization Splint Therapy i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Patients

  • Na, Hyojung;Lee, Jeong-Yu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0권1호
    • /
    • pp.28-34
    • /
    • 2015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possible occlusal change after stabilization splint therapy and the research diagnostic criteria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s (RDC/TMD) Axis I diagnoses and lateral cephalometric variables. Methods: Clinical and radiographic records of 47 TMD patients wearing stablization splint were reviewed. The number of occluding teeth was recorded and lateral cephalogram was taken at pre-treatment and 6-month post-treatment.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control group consists of patients with the unchanged number of occluding teeth throughout 6-month splint therapy (19 females and 4 males), and occlusal-loss group with the number of occluding teeth decreased (19 females and 5 males). The difference of RDC/TMD diagnoses and cephalometric variables were compared between two groups. Results: In the control group, RDC group I, muscle disorders, was 39.1% (9/23), group II, disc displacements, was 17.4% (4/23), group III OA, osteoarthritis/osteoarthrosis, was 73.9% (17/23), and group III pain, arthralgia, was 82.6% (19/23). In the occlusal-loss group, group I was 41.7% (10/24), group II was 41.7% (10/24), group III OA was 70.8% (17/24), and group III pain was 83.3% (20/24). The frequency of RDC groups was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analyzed by binomial logistic regression. Pre-treatment cephalometric variable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However, articular angle, AB to mandibular plane and ODI decreased and gonial angl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occlusal-loss group, implying clockwise rotation of the mandible, between pre-treatment and 6-month post-treatment, while none of cephalometric variables showed any statistical difference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s: Change in the number of occluding teeth was not related to the RDC/TMD diagnoses. Cephalometric values changed only in the occlusal-loss group as a result of mandibular clockwise rotation. None of cephalometric variables before the stabilization splint therapy was statistically different between the control and occlusal loss group.

측두하악장애환자의 교합안정장치 치료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herapeutic Effects of Occlusal Appliance o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Seok-Man Kang;Kyung-Soo Ha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13권1호
    • /
    • pp.5-12
    • /
    • 198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therapeutic effect of occlusal stabilization splint on the clinical symptoms and the condylar movement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TMD). For the study, 15 TMD patients treated with stabilization splint and followed up were selected. The age of them was from 18 to 65 years and the mean period of treatment was 2.9 months. The author examined signs and symptoms of TMD according to Dr. Friction's evaluation from and recorded the condylar paths with Denar pantronic before and after splint therapy.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On the first visit, 11 patients(73.3%) showed muscle tenderness on palpation and the frequency was lateral pterygoid, masseter, medial pterygoid, temporalis, sternocleidomastoideus in the order named. 2. Occlusal stabilization splint was more effective in pain relief(100%) than in other dysfunction improvement(85.7%) 3. The amount of maximum opening increased from 37.1㎜ to 42.2㎜, but those of protrusion and laterotrusion changed little. 4. Pan. PRI scores decreased from 32.9 to 21.8, which meant improved reproducibility of mandibular border movements, and the group with sever dysfunction category showed more decrease in score than the group with moderate or slight dysfunction category.

  • PDF

교합안정장치 사용 전, 후의 하악과두 위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ONDYLAR POSITIONAL CHANCES BEFORE & AFTER STABILIZATION SPLINT THERAPY)

  • 이숙경;윤영주;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3-122
    • /
    • 1998
  • 본 연구는 조선대학교 부속 치과병원 교정과에 내원하여 교정치료를 시행하고 있는 환자중 Panadent 교합기 및 condylar position indicator(CPI)를 이용하여 중심위-중심교합 편위양을 측정한 결과, 전후방 및 수직적 편위양이 1.00mm이내, 측방편위양이 0.30mm 이내인 정상범주를 넘는 부정교합 환자 47명을 대상으로 하여 3개월간 교합안정장치를 24시간 장착하고, CPI 및 transcranial projection을 이용하여 교합안정장치 장착전과 장착후의 하악과두의 위치변화를 관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CPI상의 모든 군에서 중심교합-중심위 사이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다(p<0.001). 2. transcranial projection상의 superior joint space의 Rt와 Lt+Rt/2에서 중심교합-중심위 사이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다(p<0.05). 3. CPI상의 모든 superior-inferior components군에서 교합안정장치 사용 전, 후의 중심교합-중심위 사이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있었다(p<0.01). 4. transcranial projection상의 superior joint space의 Rt를 제외한 모든 군에서 교합안정장치 사용 전, 후의 중심교합-중심위 사이에 통계적인 유의성이 없었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볼 때 중심교합-중심위 사이의 변화를 평가하는데는 transcranial projection보다 CPI가 보다 유용하며, 교합안정장치는 하악과두의 전, 후방적 위치변화보다는 수직적 위치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보다 큰 것으로 보인다.

  • PDF

급성 비정복성 관절원판 변위에 따른 급성 교합변화의 증례 (Acute Occlusal Change Following Acute Anterior Disc Displacement without Reduction: A Case Report)

  • 정재광;허윤경;최재갑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7권4호
    • /
    • pp.205-211
    • /
    • 2012
  • 35세 여자환자가 갑작스런 개구장애와 함께 발생한 급성 교합변화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이전 수년 동안의 관절잡음의 병력을 가지고 있었으며 관절잡음의 소실과 동시에 개구제한이 발생하였음을 보고하였다. 환자는 개구제한과 함께 개구시 우측 악관절의 통증을 호소하였으며 구강내 교합 검사 시 전치부의 개교합과 함께 하악이 우측으로 전위된 양상이 관찰되었다. 또한 좌측으로의 측방운동량 또한 감소된 것으로 관찰되었다. 자기공명영상에서 우측 악관절에서 비정복성 관절 원판 전방 변위가 관찰되었으며 후방 관절강의 협착이 관찰되었다. 이 환자는 우측 악관절의 비정복성 관절원판 전방변위로 진단되었으며, 급성 교합변화는 변위된 관절원판에 의해 야기된 과두위치의 변화로 초래된 것으로 추정하였다. 처음 3개월간의 물리치료와 약물치료와 병행된 안정교합장치요법에서는 만족할 만한 치료결과를 얻지 못하였으나, 그 다음 약 8개월간 사용된 악간견인장치 치료를 통해서 통증 및 교합변화가 해소되었으며 정상적인 개구량으로 회복되었다. 술후 촬영된 자기공명영상에서 우측 과두가 재형성된 양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불안정한 하악운동을 보이는 환자에서 가철성 의치 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using removable prosthesis of patient with unstable mandible movements: A case report)

  • 손동환;이양진;조득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1호
    • /
    • pp.35-41
    • /
    • 2020
  • 구치부 지지소실과 편측 저작으로 교합이 환자는 불안정한 하악운동을 보이며, 이는 고령의 환자에서 복잡하게 나타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교합붕괴와 이상 하악운동(Oral dyskinesia)을 보이는 환자에서 고딕아치 묘기법(Gothic arch tracing)과 스플릿 캐스트법(Split cast technique)을 이용하여 중심위와 습관적 전방 폐구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후 교합안정장치 형태의 임시의치를 사용하여 안정된 교합과 재현성 있는 하악운동을 회복하고자 하였고, 설측교합(Lingualized occlusion) 개념을 이용하여 총의치와 국소의치를 제작해 수복하였다.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from skull-base osteomyelitis: a case report

  • Lee, Suck-Chul;Kim, Jae-Hyung;Kim, Chul-Hoon;Kim, Bok-Joo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7권
    • /
    • pp.39.1-39.6
    • /
    • 2015
  • Skull-base osteomyelitis is a rare disease affecting the medulla of the temporal, sphenoid, and occipital bones. In general, it occurs due to external ear canal infections caused by malignant external otitis. Skull-base osteomyelitis usually affects elderly diabetic patients. The patient, a 58-year-old man, was referred for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the left jaw. Clinical examination of the patient revealed pain in the left jaw and mouth-opening deflection to the left. The maximum active mouth opening was measured to about 27 mm. Panoramic, CT, and CBCT revealed bone resorption patterns in the left condyle. Through control of diabetes, continued pharmacological treatment, arthrocentesis, and occlusal stabilization appliance therapy were carried out. The extent of active mouth opening was increased to 45 mm, and pain in the left jaw joint was alleviated. This was a case wherein complications caused by failure to control diabetes induced skull-base osteomyelitis. There is a need for continued discussion about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arthrocentesis with lavage for patients with skull-base osteomyelitis and other treatment op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