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obfuscate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8초

효율적인 안드로이드 코드 난독화 기법 (An Efficient Android Code Obfuscate)

  • 정효란;이수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4년도 제50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22권2호
    • /
    • pp.57-59
    • /
    • 2014
  • 공개 플랫폼을 지향하는 안드로이드는 손쉽게 안드로이드 설치파일(APK)를 얻을 수 있어 디컴파일 하기 쉽다. 보안에 민감한 금융 앱이나 웹서버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주고받는 앱일 경우 역공학을 통해 얻는 정보가 매우 위험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최근에 사회적 큰 이슈가 되기 때문에 안드로이드 코드 보안에 유의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코드 난독화의 동향과 안드로이드에서 제공하는 프로가드의 기술에 대해서 알아보고 프로가드의 한계에 대해서 파악한 후 향후 안드로이드 코드 난독화 개선 방법에 대해서 알아본다.

  • PDF

Security Threat Analysis for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Functions of Connected Car Services

  • Jin Kim;Jinho Yoo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20권2호
    • /
    • pp.173-184
    • /
    • 2024
  • The connected car services are one of the most widely used services in the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and they provide numerous services to existing vehicles by connecting them through networks inside and outside the vehicle. However, although vehicle manufacturers are developing services considering the means to secure the connected car services, concerns about the security of the connected car services are growing due to the increasing number of attack cases. In this study, we reviewed the research related to the connected car services that have been announced so far, and we identified the threats that may exist in the connected car services through security threat modeling to improve the fundamental security level of the connected car services. As a result of performing the test to the applications for connected car services developed by four manufacturers, we found that all four companies' applications excessively requested unnecessary permissions for application operation, and the apps did not obfuscate the source code. Additionally, we found that there were still vulnerabilities in application items such as exposing error messages and debugging information.

안드로이드 기반 SNS 어플리케이션의 코드 변조를 통한 취약점 분석 및 보안 기법 연구 (An analysis of vulnerability and the method to secure on Android SNS applications from alteration of the code segments)

  • 이상호;주다영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213-221
    • /
    • 2013
  • 최근 안드로이드 OS 기반에서 SNS(Social Networking Service)를 이용한 게임 및 어플리케이션 시장이 급속도로 성장함에 따라 이에 대한 보안 위협도 증가하고 있다. 특히, 근래 카카오톡 플랫폼이 활성화됨에 따라 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이 대거 출시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보안 대책은 전무한 실정이다. 이와 같이 늘어나는 안드로이드 OS 기반 SNS 어플리케이션의 변조를 통한 보안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어플리케이션 제작 단계에서의 코드 보안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OS 기반 SNS 어플리케이션의 실제 변조를 통한 분석을 실시하고 적절한 코드 보안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특징 분리를 통한 자연 배경을 지닌 글자 기반 CAPTCHA 공격 (Breaking character and natural image based CAPTCHA using feature classification)

  • 김재환;김수아;김형중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5권5호
    • /
    • pp.1011-1019
    • /
    • 2015
  • 컴퓨터 사용자가 사람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CAPTCHA는 많은 포털 사이트에서 자동 프로그램에 의한 비정상적인 회원가입 또는 다중 로그인 방지 등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많은 웹 사이트들은 숫자 혹은 영어로 구성된 문자열 기반 캡챠를 대부분 사용하는데, 최근에는 OCR 기술의 발달로 단순한 텍스트 기반 캡챠는 쉽게 무력화 된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많은 웹 사이트들은 글자 판독을 어렵게 하기 위해 잡음을 첨가하거나 글자를 왜곡시키는 등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 대상으로 하는 국내 한 포털 사이트 역시 공격자들에 의해 많은 공격을 당하였고, 끊임없이 캡챠를 발전시키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해당 사이트에서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자연 배경을 지닌 캡챠에 대해 분석하고, SVM을 이용한 특징 분리 후 CNN을 이용한 글자 인식을 통해 해당 캡챠의 취약성을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총 1000개의 캡챠 이미지 중 368개에 대해 정확히 맞추었고, 이를 통해 해당 포털 사이트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새로운 버전의 캡챠 역시 안전하지 않음을 입증하였다.

레이아웃 파일 변환을 이용한 안드로이드 난독화 기법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ndroid obfuscation technique using layout file transformation)

  • 박희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1-7
    • /
    • 2020
  • 안드로이드 앱은 주로 apk 파일 형태로 배포되고, apk 파일의 압축 해제하면 앱 디자인과 관련된 xml 파일, 이미지, 사운드와 같은 리소스 파일을 추출할 수 있다. 만일 은행이나 금융과 관련된 앱의 리소스가 도용되어 가짜 앱이 배포된다면 개인정보가 유출되거나 금융사기를 당할 수 있다. 따라서 앱을 배포할 때 코드뿐만 아니라 디자인을 도용하기 어렵게 만드는 노력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xml 파일을 자바 코드로 변환한 후 프로가드(Proguard)를 이용하여 난독화하는 도구를 구현하였고 실행 성능을 평가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레이아웃 난독화 기법을 사용하면 앱구동 성능을 높일 수 있으며 화면 디자인 도용으로 인한 불법 복제 피해를 예방하는 효과도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트램폴린 코드 기반의 난독화 기법을 위한 역난독화 시스템 (De-Obfuscated Scheme for Obfuscation Techniques Based on Trampoline Code)

  • 김민호;이정현;조해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33권6호
    • /
    • pp.1043-1053
    • /
    • 2023
  • 악성코드 분석가들은 다양한 경로로 배포되는 악성코드를 분석하고 대응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악성코드 개발자들은 분석을 회피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다.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패킹과 난독화 기법 등이 있다. 기존 연구들은 일반적인 프로그램 언패킹 방법을 제안했으나, 최근의 패커들이 사용하는 OEP 난독화나 API 난독화 기법 등에 대한 대응이 부족하여, 언패킹 과정에서 실패하는 경우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패커들이 사용하는 OEP 및 API 난독화 기법을 분석하고, 이를 자동으로 역난독화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은 패킹된 프로그램의 메모리를 덤프하여 OEP와 API 난독화에 사용되는 트램폴린 코드를 탐지한다. 이후 트램폴린 코드의 패턴을 분석하여 난독화된 정보를 탐지하고, 언패킹된 프로그램으로 재구성한다. 실험 결과, 제안 시스템이 다양한 패커에 의해 OEP와 API 난독화 기법이 적용된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역난독화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 Method for Generating Malware Countermeasure Samples Based on Pixel Attention Mechanism

  • Xiangyu Ma;Yuntao Zhao;Yongxin Feng;Yutao Hu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8권2호
    • /
    • pp.456-477
    • /
    • 2024
  • With information technology's rapid development, the Internet faces serious security problems. Studies have shown that malware has become a primary means of attacking the Internet. Therefore, adversarial samples have become a vital breakthrough point for studying malware. By studying adversarial samples, we can gain insights into the behavior and characteristics of malware, evaluate the performance of existing detectors in the face of deceptive samples, and help to discover vulnerabilities and improve detection methods for better performance. However, existing adversarial sample generation methods still need help regarding escape effectiveness and mobility. For instance, researchers have attempted to incorporate perturbation methods like Fast Gradient Sign Method (FGSM), Projected Gradient Descent (PGD), and others into adversarial samples to obfuscate detectors. However, these methods are only effective in specific environments and yield limited evasion effectivenes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is paper proposes a malware adversarial sample generation method (PixGAN) based on the pixel attention mechanism, which aims to improve adversarial samples' escape effect and mobility. The method transforms malware into grey-scale images and introduces the pixel attention mechanism in the Deep Convolution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s (DCGAN) model to weigh the critical pixels in the grey-scale map, which improves the modeling ability of the generator and discriminator, thus enhancing the escape effect and mobility of the adversarial samples. The escape rate (ASR) is used as an evaluation index of the quality of the adversarial samples.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adversarial samples generated by PixGAN achieve escape rates of 97%, 94%, 35%, 39%, and 43% on the Random Forest (RF), Support Vector Machine (SVM),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nd Recurrent Neural Network (CNN_RNN), an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and Long Short Term Memory (CNN_LSTM) algorithmic detectors, respectively.

실행 파일 형태로 복원하기 위한 Themida 자동 역난독화 도구 구현 (Implementation of the Automated De-Obfuscation Tool to Restore Working Executable)

  • 강유진;박문찬;이동훈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7권4호
    • /
    • pp.785-802
    • /
    • 2017
  • 악성코드를 이용한 사이버 위협이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많은 보안 및 백신 관련 업체들이 악성코드 분석 및 탐지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의 분석이 어렵도록 하는 난독화 기법이 악성코드에 적용되어 악성코드에 대한 빠른 대응이 어려운 실정이다. 특히 상용 난독화 도구는 빠르고 간편하게 변종 악성코드를 생성해 낼 수 있기 때문에 악성코드 분석가가 새로운 변종 악성코드의 출현 속도에 대응할 수 없도록 한다. 분석가가 빠르게 악성코드의 실제 악성행위를 분석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난독화를 해제하는 역난독화 기술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상용 난독화 도구인 Themida가 적용된 소프트웨어를 역난독화하는 일반적인 분석방법론을 제안한다. 먼저 Themida를 이용하여 난독화가 적용된 실행파일을 분석하여 알아낸 Themida의 동작 원리를 서술한다. 다음으로 DBI(Dynamic Binary Instrumentation) 프레임워크인 Pintool을 이용하여 난독화된 실행파일에서 원본 코드 및 데이터 정보를 추출하고, 이 원본 정보들을 활용하여 원본 실행파일에 가까운 형태로 역난독화할 수 있는 자동화 분석 도구 구현 결과에 대해 서술한다. 마지막으로 원본 실행파일과 역난독화한 실행파일의 비교를 통해 본 논문의 자동화 분석 도구의 성능을 평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