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trient intakes from snacks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19초

제주지역 중학생의 총당류 섭취실태 연구 (A study of total sugar intake by middle school students in Jeju Province)

  • 고양숙;김은미;채인숙;이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3호
    • /
    • pp.248-257
    • /
    • 2015
  • 본 연구는 제주지역 중학생 1,184명 (남학생 476명, 여학생 708명)에게 24시간 회상법으로 식사조사를 하여 총당류 섭취량을 추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1일 총당류 섭취량은 전체 60.3 g, 남학생 50.5 g, 여학생 66.9 g으로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1일 총당류 섭취량 중 각 개별 당류가 차지하는 비중은 서당 (23.9 g) > 포도당 (12.9 g) > 과당 (12.3 g) > 유당 (6.0 g) > 맥아당 (3.3 g)의 순이었다. 2. 끼니별 1일 총당류 섭취량은 아침 6.5g, 점심 9.0g, 저녁 11.8 g, 간식 33.0 g으로 간식에서 섭취하는 양이 가장 많았다. 식품군별 1일 총당류 섭취량은 곡류 (23.0 g) > 우유류 (11.0 g) > 과일류 (7.3 g) > 당류 (6.1 g) > 채소류 (5.8 g)의 순으로 높았다. 음식종류별 1일 총당류 섭취량은 빵 과자류 (11.5 g) >면류 (10.2 g) > 유제품류 (7.5 g) > 빙과류 (6.2 g) > 음료류 (5.3 g) > 과일류 (4.5 g) > 튀김류 (3.2 g)의 순이었다. 3. 조사대상자의 1일 총당류 섭취량 60.3 g 중 천연당은 18.3 g (30.3%), 첨가당은 35.8 g (59.4%), 혼합당은 6.2 g (10.3%) 이었다. 총당류에서 얻는 열량비율이 20% 이상인 고당류섭취군은 20% 미만인 사람에 비해 탄수화물, 칼슘, 비타민 B1, B2, C의 섭취량은 유의하게 높은 반면 철, 아연, 니아신, 비타민 B6, 비타민 E 섭취량은 유의하게 낮았다. 단맛선호군은 단맛저선호군에 비해 열량, 탄수화물 및 총 당류섭취량이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제주지역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1일 평균 총당류 섭취량은 60.3 g이었고, 이중 첨가당으로 인한 섭취가 59.4%로 가장 많았으며, 간식으로부터 섭취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중학생의 총당류 섭취량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올바른 간식 식품선택에 대한 영양교육이 필요하다.

유병기간에 따른 한국인 파킨슨병 환자의 영양소 섭취 상태 및 식사의 질에 관한 연구 (Nutrients Intake and Dietary Quality of Korean Parkinson's Disease Patients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Disease)

  • 이주연;안태범;전범석;김윤영;조여원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82-591
    • /
    • 2008
  • Both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play important roles in the pathogenesis of Parkinson Disease(PD). The contribution of many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dietary factor remains unproven. The purpose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etary habits, nutrient intake and dietary quality of Korean PD patients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disease. PD patients were recruited from K and S university hospitals from May 2005 to January 2006. This study was carried out after approval by the Institute Review Board(IRB). British Brain Bank criteria was used to diagnose PD.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2 groups based on the duration of PD: <25 months and $\geq$25 months groups. General characteristic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food habits and dietary intake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age of <25 months group($66.9{\pm}8.0$ y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geq$25 months group($62.2{\pm}8.8$ yr)(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or academic background, occupation, living status and social activity, however, numbers of diseases, exercise and family history of P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2) Anthropometric measurement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3) The frequency of taking snack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25 months group and the amounts of alcohol consump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eq$25 months group. 4) Daily intakes of most nutrients were very low compared with DRI. 5) The MAR score was significantly lower in <25 months group(p<0.05;) however, the scores of DVS, DDS and DQI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s a conclusion an overall nutrient intake and dietary quality of the Parkinson's Disease patients need to be improved regardless of duration of the disease and a well-balanced diet should be emphasized.

초등학교 고학년용 영양교육 소책자 개발 및 효과 분석 - 하루 필요 식품군 단위수 교육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and Effects' Analysis of Nutrition Education Pamphlet for the Higherr Grades Elementary Students -Focused on Individual Daily Needed Food Exchange Units-)

  • 임은수;조영숙;김세나;김숙배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689-706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effects of a nutrition education focused on Food Exchange System for the higher grades elementary children. Nutrition education lessons (40 min/lesson, 4 times), '5 major nutrients and functions', '6 food groups', 'daily needed energy and food exchange units', 'good choice of snacks and balanced exercise' were provided to elementary students (5th grade students). This research was based on the data from two groups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the 'education' group (n = 31) and 'non-education' group (n = 31). We assessed the changes in dietary attitude, food habit and nutrition knowledge using questionnaire and nutrient intake using 24hr recall method by nutrition education using the developed pamphlet. After educ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etary attitude score only in attitude of 'balanced meal' (p < 0.001) in the education group compared to the non-education group. In food habit,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hanges in the type of breakfast and in the priority of choosing snack in the educated group. In nutrition knowledge,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s in scores of 'function of carbohydrate' (p < 0.05), 'function of fat' (p < 0.01), 'function of vitamin' (p < 0.01), 'foods of carbohydrate' (p < 0.01), and 'foods of vitamin' (p < 0.01) in the educated group. After education, carbohydrate: protein: fat (CPF) ratio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education group, 59 : 16 : 26 vs. non-education group, 63 : 15 : 23). In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 by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KDRIs),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in energy (p < 0.05), thiamin (p < 0.05), riboflavin (p < 0.05), vitamin C (p < 0.05), phosphorus (p < 0.01), Fe (p < 0.01) and zinc (p < 0.01) in the education group compared to the non-education group. In conclusion, the developed 4 times' nutritional education pamphlet focused on individual daily energy requirements and food exchange units using food exchange system for higher grades' elementary student may positively change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intakes.

경기도 양주시 여대생의 식습관, 운동습관, 건강관련행동이 영양섭취수준에 미치는 영향 (Nutrition Intake according to Food and Exercise Habits in Female College Students of Yang-Ju si)

  • 나영아;강민정;이선호;김정연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84-29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 시기의 올바른 건강관리가 성인기의 건강과 신체기능을 최적으로 유지하는 기초가 되고, 앞으로 임신, 분만, 수유 등을 대비해야 하는 가임기일 뿐만 아니라, 장차 가정과 사회의 식생활 관리자의 역할을 담당해야 하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식습관과 운동습관 및 건강관련인식을 조사하고 이러한 지표가 영양섭취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였다. 여대생 155명을 대상으로 연령, 신장, 체중 등 일반적 특성과 식습관, 운동습관, 건강상태 인식에 관련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식이섭취 조사를 실시한 후 영양소 섭취량을 분석하였다. 대상자들의 일주일간 식사시간이 규칙적인 날의 횟수는 '5~6일'이 27.74%, '3~4일'이 59.35%, '1~2일'이 12.9%로 나타났고, 아침결식률에서는 거의 '매일 결식'하는 비율이 46.74%, '때때로 결식'하는 비율이 36.13%, '거의 결식을 하지 않는' 비율이 16.13%로 나타나 결식률이 높게 나타났다. 야식횟수는 '일주일에 2~3회'가 43.23%로 가장 높았고, '1회 미만'이 40.65%, '4회 이상'이 16.13%로 나타났고, 식사 소요시간은 '20분 미만'이 42.58%, '20~30분 사이'가 38.06%, '31분 이상'이 19.35%로 나타났다. 운동습관의 규칙성에서는 '규칙적으로 운동을 한다'가 29.7%이고, '운동을 전혀 안한다'가 70.32%로 나타났고, 건강상태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는 '건강상태가 좋다'가 47.74%, '그저 그렇다'가 24.52%, '나쁘다'가 27.74%로 나타나 비교적 건강상태가 좋다고 인식하는 대상자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식습관에 따른 영양소 섭취량의 차이에서는 일주일에 식사 시간이 규칙적인 날이 많을수록 에너지, 단백질, 지방, 식이섬유소, 칼슘, 인, 철분, 나트륨, 칼륨, 비타민 $B_6$, 나이아신, 비타민C, 엽산, 비타민 E, 콜레스테롤을 유의적으로 많이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침 결식 여부에 따른 영양소 섭취량의 차이는 일주일에 아침을 결식하는 날이 많을수록 아침식사를 거의 매일 하는 대상자보다 에너지,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식이섬유소, 칼슘, 인, 철, 나트륨, 칼륨, 아연, 비타민 A, 비타민 $B_6$, 비타민 C, 엽산, 비타민 E를 유의적으로 더 적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주일간 야식을 먹는 횟수에 대한 영양소 섭취량의 차이에서는 야식을 먹는 횟수가 많을수록 에너지, 단백질, 지방, 식이섬유소, 칼슘, 인, 철분, 칼륨, 비타민 $B_2$, 비타민 $B_6$, 비타민 C, 엽산, 비타민 E, 콜레스테롤을 유의적으로 많이 섭취하였으나 식사 속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규칙적인 운동습관을 가진 대상자는 그렇지 않은 대상자보다 영양소 섭취량이 약간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고, 건강상태 인식에 따른 영양소 섭취량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본 조사 대상자의 대부분은 19~29세 여성의 영양권장량에 못 미치는 수준으로 영양소를 섭취하고 있었고, 특히 불규칙적인 식사, 결식, 야식 등의 불규칙적인 식습관을 가진 여대생들의 경우, 그 경우 칼슘, 철분, 아연, 여러 비타민 C 등에서 영양권장량에 70%에도 못 미치는 수준을 나타내어 올바른 식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구체적인 영양교육이 필요할 것이다.

만성질환 증상을 두 가지 이상 보유한 성인에 있어서 개인 단위의 영양교육 효과 (The Effect of Individualized Nutritional Education on Adults having two or more Symptoms of Chronic Degenerative Disease)

  • 윤진숙;정영혜;박정아;오현미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7권6호
    • /
    • pp.794-802
    • /
    • 2002
  • This study was intended to evaluate the overall effects of nutritional education on adults having two or more symptoms of chronic degenerative disease. A nine week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was provided for 65 adults with chronic diseases. We assessed the changes in dietary knowledge, eating behavior and socio-psychological factors. When we evaluated the nutrient intakes of the subjects, their energy intake was 79.4% of the Korean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RDA). Their dietary intake of other nutrients was also below the RDA level except for Vitamin C. Their knowledge of dietary therapy was slightly improved after the implementing of nutritional education. The dietary behavior of ‘night snacks before sleep’was significantly improved. While the overall fear due to diseas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self-efficacy was not improved. Self-efficacy for eating “three regular meals” and “choosing fruit, vegetable and grai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Family support for “buying food which is good for my health”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whereas “advises me to eat appropriate foods for health” was decreased. Biochemical analysis indicated that blood levels of triglyceride, cholesterol and blood pressure improved after nutrition education. Therefore, we concluded that nutritional education program for people with chronic degenerative diseases could change the diet therapy knowledge, dietary behavior, and the fear due to disease, support from family and behavior intention toward the direction to improve the chronic disease condition. However, it did not improve self-efficacy. Our study also indicated that nutritional education strategies to improve self-efficacy should be an important aspect in a long term education plan for patients to establish desirable eating habits.

제주지역 초등학생의 총당류 섭취실태 조사 (A study of dietary intake of total sugars by elementary students in Jeju province)

  • 고양숙;김은미;이현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1호
    • /
    • pp.81-93
    • /
    • 2015
  • 본 연구는 제주지역 초등학교 5학년 학생 701명을 대상으로 2009년 4월부터 6월까지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1일 식이조사를 통한 총당류 섭취량을 추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1일 열량섭취량은 1,629.8 kcal, 1일 총 당류섭취량은 남학생 53.1 g, 여학생 57.6 g으로 남녀 평균 55.3 g이었다. 2. 끼니별 1일 총당류섭취량은 간식에서 34.9 g (63.1%)으로 가장 많이 섭취하였으며, 아침, 점심, 저녁 식사에서 섭취하는 양은 각각 6.3 g, 6.9 g, 7.2 g이었다. 3. 식품군별로는 우유류 (17.04 g), 곡류 (12.79 g), 과일류 (9.40 g), 당류 (7.30 g)에서 섭취하는 당 함량이 높았다. 4. 조리법별 총당류 섭취량은 유제품류 (15.08 g), 빵 과자류 (6.4 g), 음료류 (5.5 g), 과일류 (5.1 g), 빙과류 (4.8 g)의 순이었고, 주식과 부식류에서는 면류 (5.1 g), 볶음류 (2.3 g), 튀김류 (1.4 g), 일품요리류 (1.4 g), 조림류 (1.1 g)의 순이었다. 후식류에서 서당 섭취량이 높은 음식은 빵 과자류 (4.1 g, 6.4 g), 음료류 (2.5 g, 1.4 g), 빙과류 (3.4 g, 4.4 g)이었다. 주식과 부식류에서 서당 섭취량이 높은 음식은 면류 (2.0 g, 4.1 g), 볶음류 (1.0 g, 1.1 g) 등 이었다. 5. 1일 총당류섭취량 중 천연당은 25.8 g, 첨가당은 23.3 g, 혼합당은 6.2 g으로 1일 총당류 섭취량의 42.1%가 첨가당에서 섭취되었다. 6. 총열량섭취량 중 당류에서 얻어지는 열량비율이 20% 이상인 고당류섭취군이 20% 미만 저당류섭취군에 비해 철분, 아연, 니아신 섭취가 유의적으로 더 낮았다. 7. 단맛선호군은 단맛저선호군보다 열량, 탄수화물 섭취량, 그리고 총당류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제주지역 초등학교 5학년 남녀학생들의 총당류섭취량은 1일 평균 55.4 g으로, 주로 간식에서 섭취하는 비율이 높았다. 따라서 초등학생들의 총 당류 섭취량 통제를 위해서는 올바른 간식 선택과 당 저감화 관련 영양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어린이 기호식품의 당, 나트륨 및 지방류의 영양기준안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uideline Amounts of Sugar, Sodium and Fats in Processed Foods Met to Children's Taste)

  • 최영선;장남수;정효지;조성희;박혜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6호
    • /
    • pp.561-572
    • /
    • 2008
  • 최근 우리나라는 어린이를 중심으로 급격한 식생활 변화(nutrition transition)를 겪고 있으며, 이로 인해 나트륨, 당류, 지방 및 포화지방산의 섭취 증가로 인한 질병 발생 위험이 높아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현재의 영양표시가 어린이들이 이해하기에 어려운 측면이 있어 건강에 좋은 식품의 섭취를 진작시키기 어려운 상황이다. 본 연구는 어린이들이 보다 건강에 좋은 식품을 선택하는 정보를 쉽게 제공하기 위하여 어린이 기호식품의 영양위해성분(당, 나트륨 및 지방류)의 함량에 따라 고, 중, 저로 표시하는 영양기준(안)을 설정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국내는 물론 제외국의 영양섭취기준, 영양표시를 위한 일일 영양소 기준치, 영양소함량강조 표시, 영국의 GDA(guideline daily amounts)와 신호등표시제, 식사지침 및 영양소섭취량 자료들을 검토 및 비교하였고, 제외국 어린이의 기호식품과 가공식품의 영양위해성분 영양기준 자료를 수집 및 평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어린이 기호식품과 가공식품 중의 영양위해성분을 선정하고 고, 중, 저로 표시하는 영양기준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서울지역 11개 중학교와 10개 고등학교 내 판매식품 가공식품에 대한 현황 조사와 1,812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섭취실태 조사를 통해 다소비가공식품을 선정하였으며, 145개의 대표 가공식품을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영양기준안에 따라 분류하였다. 그 중 85개가 고지방식품으로 분류된 반면에 11개만이 고나트륨식품으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영양기준안과 분량의 기준단위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더 많은 식품들에 대해 시뮬레이션 등의 검토가 필요하며, 산업체 등 이해당사자들의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현실적인 영양기준안으로 다듬어져야 할 것이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식품섭취빈도조사지 개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2007-2009) 자료 이용 (Development of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from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

  • 윤성하;심지선;권상희;오경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6권2호
    • /
    • pp.186-196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FQ) for an adult population for use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The 24-hour recall data for 2,939 subjects aged 19 years and over from the fourth KNHANES first year (2007) were used to extract the items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The FFQ items were developed by selection of major dishes based on the cumulative contribution rate, between-person variability based on the cumulative R2 of energy and 14 nutrients (carbohydrate, protein, fat, crude fiber, calcium, phosphorous, iron, sodium, potassium, vitamin A, thiamin, riboflavin, niacin, and vitamin C) and the number of consumers of each dish. In addition, the FFQ items were revised with analysis of 24-hour recall data of the fourth KNHANES second and third year (2008, 2009). Finally, 112 items were included in the FFQ and grouped as follows: rice (5 items), noodles and dumplings (6), breads and rice cakes (8), soups and stews (12), soybeans, eggs, meat and fish (23), vegetables, seaweed and potatoes (27), milk and dairy products (4), fruits (13), beverages (5), snacks (6) and alcoholic beverages (3). The food items of FFQ accounted for an average of 87.0% of energy and 14 nutrient intakes and also accounted for 81.7% of the between-person variability. The frequency range of the FFQ items was classified into nine categories (never or seldom, once per month, 2-3 times per month, once per week, 2-4 times per week, 5-6 times per week, once per day, twice per day and three times per day) and the portion size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small, medium and large). We expect that this developed dish-based FFQ could be used in assessment of longterm dietary intakes of Korean adults.

한국 성인의 국물 음식류 섭취에 따른 식생활 평가 : 2011~2014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Dietary assessment according to intake of Korean soup and stew in Korean adults: Based on the 2011~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권용석;한규상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9권5호
    • /
    • pp.335-346
    • /
    • 2016
  • 본 연구는 만 19세 이상의 성인 20,926명을 중심으로 한식 국물 음식에 섭취에 따른 식생활 평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국물 음식 섭취에 따른 식생활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전체 국물 음식 섭취량과 국/탕 및 찌개/전골 섭취량으로 분류하였으며, 전체 국물 음식 섭취량은 4 분위수로 분류하였다. 국물 음식의 섭취가 가장 높은 Q4군의 특징을 살펴보면 성별의 경우 남성의 비율이 여성 비율보다 높았고, 연령층은 만 30~49세 연령, 기혼자이며, 가구 소득과 교육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생활 관련 요인들을 살펴보면 Q4군으로 갈수록 아침식사 결식의 비율이 낮아지며, 하루 1회 이상 외식하는 대상자의 비율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국물 음식 섭취 4분위수 범위에 따른 영양소 섭취량에 대한 결과 지방을 제외한 모든 영양소 섭취량과 에너지 기여도의 비율 (지방의 에너지 기여된 비율 제외)이 Q1에서 Q4군으로 갈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다. 식사가 제공된 조리 장소별 국물 음식 섭취량 역시 전체 국물 음식, 국/탕 및 찌개/전골 섭취량 모두 가정, 상업적 외식 및 단체 급식에서 Q1~Q4군으로 갈수록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국물 음식 섭취 4분위수 범위에 따른 식품 섭취량의 결과에서는 곡류, 서류, 두류, 견과류, 체소류, 버섯류, 과일류, 육류, 어패류, 우유/유제품류, 오일류 및 조미료류가 Q1 군에서 Q4 군까지 증가하는 추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국물음식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남성, 높은 연령, 기혼자와, 아침식사를 하는 경우, 간식을 섭취하는 경우, 가정식과 단체급식에서 제공된 식사를 하는 경우 및 주 당 평균외식 빈도와 에너지 및 나트륨 섭취가 증가할수록 전체적으로 국물음식 섭취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국물 음식 섭취가 증가함에 따라 영양소나 식품의 섭취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특히 나트륨의 섭취량은 각종 만성질환의 위험도와 관련이 높으므로 이에 대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에서 병기에 따른 영양상태 평가 (Nutritional Status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Patients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Disease)

  • 박영미;윤호일;손정민;조여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1권4호
    • /
    • pp.307-316
    • /
    • 2008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nutritional status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patients an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tages of disease. From March to October, 2006, 41 stable male patients of mild to severe COPD patients were recruited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patients' of body weight and fat free mass were assessed by bioelectrical impedance analysis.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patients was also assessed by 3-day recall, index of nutritional quality (INQ), dietary diversity score (DDS), dietary variety score (DVS), food group index pattern and dietary quality index (DQI). The total of 41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stage I, stage II and stage III group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GOLD) standard.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in each stage were 67.2-66.9 years show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ratio of $FEV_1$/FVC were $57.5{\pm}7.3$, $46.9{\pm}7.6$ and $38.2{\pm}6.8%$, respectively showing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stages of disease. The fat free mass of the stage II ($48.2{\pm}4.7kg$) and III ($47.3{\pm}4.5kg$)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stage I ($53.1{\pm}6.9kg$) patient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of fat free mass with $FEV_{1}$, and BMI (body mass index) with $FEV_{1}$/FVC ratio (p < 0.05). COPD patients showed the diet-related clinical symptoms of anorexia, dyspnea, dyspepsia, and chewing difficulty. Daily intakes of calorie, K, vitamin $B_2$ and folate of the patients were very low ($83.8{\pm}20.7%$, $58.9{\pm}14.4%$, $70.7{\pm}19.6%$ and $74.4{\pm}10.2%$, respectively) however, they did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stages of disease. Daily intake of calcium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stage III patients (p < 0.05). The mean scores of dietary variety score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stage III patients (p < 0.001). Dietary quality index of the patients were not different among the stages of disease and the scores indicated poor quality of diet. As a summary, we found that body fat free mass, regularity of exercise, frequency of having snacks and dietary variety scor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severity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