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traceutical lipid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1초

천연소재 흔합물의 보충급여가 부고환 지방세포 크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Natural Plants Supplementation on Adipocyte Size of the Epididymal Fat Pads in Rats)

  • 김현숙;김태우;김대중;황하진;이현주;최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419-42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천연소재 혼합물이 혈중 지질 함량 및 부고환 지방세포의 크기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혈액 중 총 콜레스테롤과 LDL 콜레스테롤은 천연소재 섭취에 의한 유의적인 감소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중성지방은 정상식이군에서 감소하였고 HDL 콜레스테롤은 정 상식이군에서 증가하였다. 부고환 지방조직은 고지방식이 섭취에 의해 지방세포 크기가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천연소재 섭취로 인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는 천연소재섭취에 의해 체지방 축적이 억제되어 지방세포의 hypertrophy를 억제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Anti-adipogenic and Pro-osteoblastogenic Activities of Spergularia marina Extract

  • Karadeniz, Fatih;Kim, Jung-Ae;Ahn, Byul-Nim;Kim, Mihyang;Kong, Chang-Suk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19권3호
    • /
    • pp.187-193
    • /
    • 2014
  • This is an Open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For decades, Spergularia marina, a local food that is popular in South Korea, has been regarded as a nutritious source of amino acids, vitamins, and minerals. While several halophytes are reported to possess distinct bioactivities, S. marina has yet to be promoted as a natural source of bioactives.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S. marina on the adipogenic differentiation of 3T3-L1 fibroblasts and the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of MC3T3-E1 pre-osteoblasts and C2C12 myoblast cells were evaluated. The anti-adipogenic effect of S. marina was assessed by measuring lipid accumulation and adipogenic differentiation marker expression. S. marina treatment significantly reduced lipid accumulation and notably decreased the gene levels of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alpha}$, and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 1c. In addition, S. marina enhanced osteoblast differentiation, as indicated by increased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nd increased levels of osteoblastogenesis indicators, namely bone morphogenetic protein-2, osteocalcin, and type I collagen. In conclusion, S. marina could be a source of functional food ingredients that improve osteoporosis and obesity. Further studies, including activity-based fractionation, will elucidate the mechanism of action and active ingredients of S. marina, which would provide researchers with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nutraceutical and therapeutic applications of S. marina.

균주에 따른 청미래덩굴잎 발효차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Smilax china L. Leaf Teas Fermented by Different Strains)

  • 이상일;이예경;김순동;강윤환;서주원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807-819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청미래덩굴(Smilax china L.) 잎을 이용한 기호성이 증진된 발효차 제조를 시도하였다. 균주로 Saccharomyces cerevisiae(S), 청국장으로부터 분리한 Bacillus속 혼합미생물(B), Bifidobacterium bifidus(L), Monascus pilosus(M) 및 Aspergilus oryzae(A)를 사용하여 발효차(S, B, L, M, A)를 제조하였으며, 발효시키지 않은 청미래덩굴잎(C)과의 품질특성과 항산화와 관련된 total polyphenol(TP) 및 total flavonoid(TF) 함량과 활성산소 소거계 활성으로 electron donating ability(EDA),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FRAP), ferrous iron chelating ability (FICA) 및 lipid peroxidation inhibitory activity(LPOIA)와 활성산소 생성계 효소인 xanthine oxidase의 inhibitory activity(XOIA) 및 aldehyde oxidase의 inhibitory activity(AOIA)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열수로 1% 농도로 우려낸 발효차의 색상은 A차는 적색을 띠었으나, 그 외의 모든 차는 황색을 띠었다. 차의 향, 맛, 밝기 및 종합적인 기호도는 A차 3.95점, M차 3.30점으로 평가되었으며, 그 외 S, B, L차는 2.55~2.28점으로 C차와 유사하였다. C차 열수 추출물의 TP 및 TF 함량은 각각 28.94 및 18.39 mg/g,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각각 34.97 및 34.44 mg/g 이었다. 발효차는 C차에 비하여 TP의 함량이 낮았으나, 에탄올 가용성 flavonoid 함량에는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특히 A차는 수용성 TF 함량과 에탄올 가용성 TP의 함량이 낮았다. 청미래덩굴잎 및 그 발효차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EDA($1mg/m{\ell}$)는 19.25~22.48%이었으나, A차는 8.04~12.49%이었다. C차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FRAP($Fe^{2+}\;{\mu}mole/g$ dry basis)는 4.38~5.84이었으며, S, B, L, M 및 A차와 대등하였다. FICA는 발효차 중에서는 A차가 높았으며, 여타 차는 발효차와 비발효차 간의 유의차가 없었다. LPOIA는 $200{\mu}g/m{\ell}$의 아주 낮은 농도에서 열수 추출물은 37.08~41.42%, 에탄올 추출물은 28.66~32.57%를 나타내었고, 열수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이 다소 높았으며, 차의 종류에 따른 유의차는 보이지 않았다.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1mg/m{\ell}$)의 XOIA 및 AOIA는 모두 에탄올 추출물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열수 추출물에서의 XOIA는 C, S, M 및 A차에서는 4.83~9.20%이었으나, B 및 L차에서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9.00~19.00%이었다. AOIA는 열수 추출물은 30.17~48.52%, 에탄올 추출물은 44.09~66.93으로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발효차 에서도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 청미래덩굴잎 발효차의 항산화 활성은 비발효차에 비하여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에 비하여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발효에 의하여 TP와 TF의 감소율이 높으나, 관능적 품질이 비교적 양호한 것으로 나타난 A차 열수 추출물(0.1%)에서도 FRAP, FICA, LPOIA 및 AOIA와 같은 항산화 지표들의 활성이 나타나, 기능성 발효차로서의 이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약용식물 물 추출물들 혼합식이에 의한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마우스의 비만 억제효과 (Antiobese Effects of Diet Containing Medicinal Plant Water Extracts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Mice)

  • 서동주;정미자;김대중;최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1호
    • /
    • pp.1522-1527
    • /
    • 2009
  • 우리는 고지방식이에 의해 유도된 비만 마우스의 몸무게, 부고환 지방조직 무게, 부고환 지방조직의 지방세포 크기 및 혈장 지질 농도에 약용식물 물 추출물들(MPWEs) 혼합식이가 어떤 영향들을 미치는지 연구하였다. MPWEs 혼합식이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C57BL/6J 마우스는 11주 동안 고지방식이를 섭취시켰다. 마지막 6주 동안, 계속해서 고지방식이(HFD)만 섭취시키거나 고지방식이에 MPWEs(5 g/kg, HFD+MPWEs)이나 고지방식이에 orlistat[0.5 g/kg, HFD+orlistat(항비만 약)]을 섞어 섭취시켰다. HF-free군은 11주 동안 일반 식이를 섭취시켰다. 11주간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군은 일반식이군과 비교하여 혈장 지질 수준, 몸무게, 간 무게 및 부고환 지방조직 무게가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MPWEs를 함유하고 있는 식이는 몸무게, 간 무게 및 부고환 지방조직 무게와 마찬가지로 혈장 총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그리고 혈당 농도를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혈장 중성지방 수준은 6주 동안 orlistat를 함유한 고지방식이군(HFD+orlistat)에서 현저히 낮았고 MPWEs를 함유한 고지방식이군(HFD+MPWEs)의 그것과 유사하였다. 고지방식이군 마우스의 지방세포크기가 일반식이군의 그것에 비해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MPWEs와 orlistat(positive control)는 부고환 지방세포 크기를 현저하게 감소시켰으나 orlistat가 MPWEs보다 약간 더 영향력이 있었다. 이들 결과들은 MPWEs 섭취는 몸무게 증가, 지방세포 형성 및 지방세포 크기 증가를 저해함으로써 항비만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e Effects of Docosahexaenoic Acid Oil and Soybean Oil on the Expression of Lipid Metabolism Related mRNA in Pigs

  • Liu, B.H.;Wang, Y.C.;Kuo, C.F.;Cheng, W.M.;Shen, T.F.;Ding, Shih-Torn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10호
    • /
    • pp.1451-1456
    • /
    • 2005
  • To study the acute effect of dietary docosahexaenoic acid (DHA, $C_{22:6}$) on the expression of adipocyte determination and differentiation-dependent factor 1 (ADD1) mRNA in pig tissues, weaned, crossbred pigs (28 d of age) were fed with either 10% (on as-fed basis) tallow (high stearic acid), soybean oil (high linoleic acid), or high DHA algal oil for 2 d. The plasma and liver DHA reflected the composition of the diet. The adipose tissue and skeletal muscle DHA did not reflect the diet in the short term feeding.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diet containing 10% algal DHA oil significantly decreased the total plasma cholesterol (39%) and triacylglycerol (TG; 46%) in the pigs. Soybean oil significantly decreased plasma TG (13.7%; p<0.05), but did not have an effect on plasma cholesterol. The data indicate that different dietary fatty acid compositions have different effects on plasma lipids. The ADD1 mRNA was decreased (p<0.05) in the liver of DHA oil-treated pigs compared with the tallow-treated pigs. The diets did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ADD1 mRNA in adipose tissue. Addition of algal DHA oil in the diet increased acyl CoA oxidase (ACO) mRNA concentration in the liver, suggesting that dietary DHA treatment increases peroxisomal fatty acid oxidation in the liver. However, dietary soybean oil supplementation did not affect mRNA concentrations of ADD1 or ACO in the tissues of pigs. Because ADD1 increases the expression of genes associated with lipogenesis, and ACO is able to promote fatty acid oxidation, feeding DHA oil may change the utilization of fatty acids through changing the expression of ADD1 and ACO. Therefore, feeding pigs with high DHA may lead to lower body fat deposition.

땅콩 속껍질 에탄올 추출물의 알파-글루코시데이즈 억제활성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the Ethanol Extract of Peanut (Arachis hypogaea L.) Skin)

  • 하태정;이명희;오은영;김정인;송석보;곽도연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1-28
    • /
    • 2020
  • Background: Owing to its high efficiency in lipid and protein production, peanut (Arachis hypogaea L.) is considered one of most important crops world-wide. The kernels of peanuts are undoubtedly the most important product this plant, whereas the skin is almost completely neglected in nutraceutical terms. However, peanut skin contains potentially health-promoting phenolics and dietary fiber, and there is considerable potential for commercial exploitation.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α-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of an extract of peanut skin (PS). Methods and Results: The α-glucosidase inhibitory effects of 80% ethanol extracts of peanut (A. hypogaea L. 'Sinpalkwang') skin were evaluated and found to have a half-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IC50) value of 1.2 ㎍/㎖. Progress curves for enzyme reactions were recorded spectrophotometrically, and the inhibition kinetics revealed time-dependent inhibition with enzyme isomerization. Furthermore, using ultra-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mbined with quadrupole-orbitrap mass spectrometry, we identified 26 compounds in the peanut skin extract, namely, catechin, epicatechin, and 24 proanthocyanidins.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peanut skin can be utilized as an effective source of α-glucosidase inhibition in functional foods and nutraceuticals.

Limonium Tetragonum Enhances Osteoblastogenesis while Suppressing the Adipocyte Differentiation

  • Kim, Jung-Ae;Ahn, Byul-Nim;Oh, Jung Hwan;Karadeniz, Fatih;Lee, Jung Im;Seo, Youngwan;Kong, Chang-Suk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4권1호
    • /
    • pp.29-38
    • /
    • 2022
  • Halophytes are plants that live in harsh environments in coastal regions and are known for their diverse chemical compositions. Limonium tetragonum, a halophyte endemic to Korean shores, is known for its bioactive compounds and is utilized in folk medicine. In this study L. tetragonum extract (LHE) was used to determine and evaluate its anti-osteoporotic properties. Pre-adipocyte and pre-osteoblasts were induced to differentiate along with LHE treatment, and their differentiation was evaluated using differentiation markers. LHE treatment decreased lipid accumulation in 3T3-L1 preadipocytes during adipogene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 LHE treatment also decreased the levels of key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s: PPARγ, SREBP1c, and C/EBPα. Enhancing osteoblastogenesis by LHE treatment was confirmed in osteoblastogenesis-induced MC3T3-E1 pre-osteoblasts. Cells treated with LHE resulted in increased calcification and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compared with osteoblasts without LHE treatment. Pro-osteogenic and anti-adipogenic effects were also confirmed in D1 murine mesenchymal stromal cells which are capable of differentiation into both adipocytes and osteoblasts. LHE hindered adipogenesis and enhanced osteoblastogenesis in D1 MSCs in a similar fashion. In conclusion, L. tetragonum is believed to possess the potential to be utilized as a nutraceutical ingredient against osteoporotic conditions.

미나리 줄기(Oenanthe javanica), 율무(Coicis lachryma-jobi L. var.), 차전자(Plantaginis asiatica L.) 물 추출물이 지질대사 (Effects of Oenanthe javanica, Coicis lachryma-jobi L. var., and Plantaginis asiatica L. Water Extracts on Activities of Key Enzymes on Lipid Metabolism)

  • 이현주;정미자;김대중;최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1호
    • /
    • pp.1516-1521
    • /
    • 2009
  • 본 연구는 미나리(Oenanthe javanica, MNR), 율무(Coicis lachryma-jobi L. var., YM) 및 차전자(Plantaginis asiatica L, CJJ) 물 추출물이 지질 대사 관련 효소들인 lipoprotein lipase(LPL), acyl-CoA synthetase(ACS) 그리고 carnitine acetyltransferase(CAT) 활성에 유익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LPL와 ACS는 비만 모델군 Zucker fatty 흰쥐(fa/fa)와 대조군인 Zucker lean 흰쥐(lean)의 부고환 지질과 간에서 각각 분리하였다. MNR이나 YM 물 추출물 처리는 일반(lean) 및 비만(fa/fa) 흰쥐로부터 분리한 LPL 활성을 현저하게 감소시켰다. MNR, YM 그리고 CJJ 물 추출물 10000 ppm을 처리했을 때 fa/fa LPL 활성이 각각 32.5%, 30.1% 그리고 22.8% 증가하였다. Lean ACS 활성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YM 물 추출물에서 현저히 증가하였고 MNR 물 추출물 처리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fa/fa ACS 활성을 현저하게 증가시켰다(p<0.05). 10000 ppm MNR 물 추출물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fa/fa ACS 활성을 12배까지 증가시켰다. CAT 활성이 대조군보다 10000 ppm과 2000 ppm CJJ 물 추출물 군에서 현저히 높았다. 따라서 MNR, YM 그리고 CJJ 물 추출물은 비만한 사람에게 지질 대사와 관련된 효소 활성에 기인하여 유익한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단기 알코올 투여 시 마늘과 한약재 복합물이 체내 지질 조성 및 간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arlic and Medicinal Plants Composites on the Liver Function and Lipid Metabolism of Rats Administered with Ethanol During the Short-term)

  • 강민정;신정혜;이수정;정미자;성낙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7호
    • /
    • pp.934-942
    • /
    • 2009
  • 40% 알코올을 1주간 경구투여한 후 마늘 및 한약재 복합물을 각각 0.5%와 1%(GMP-I) 및 1%씩 (GMP-II) 식이에 혼합하여 3주간 급이하였을 때, 흰쥐의 체내 지질 성분 및 간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in vitro상에서 마늘 추출물의 ADH 활성은 20% 알코올농도에서 시료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유의적으로 활성이 증가하였다. ALDH 활성은 마늘 추출물 첨가 시 무첨가구보다 활성이 낮았으나, 한약재 추출물 첨가 시 40%의 알코올농도에서 시료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상승되었다. 알코올 투여 흰쥐에서 혈당은 마늘과 한약재 복합물의 급이시 마늘의 급이량이 많아질수록 혈당 저하에 효과적이었다. 혈중 총 지질,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및인지질은 마늘과 한약재 복합물 급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마늘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체내 지질 감소 효과가 높았다. GOT, GPT, r-GTP 및 ALP 활성은 마늘 및 한약재 복합물의 급이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혈중 TBARS 함량은 마늘 및 한약재 복합물 급이 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간조직의 총 지질,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도 마늘 및 한약재 복합물 급이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으며, TBARS 함량은 마늘의 첨가량이 증가될수록 생성이 억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