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umerals

검색결과 96건 처리시간 0.032초

3차 의존관계에 기반한 곱 근사를 이용한 다수 인식기의 결합 (Combining Multiple Classifiers using Product Approximation based on Third-order Dependency)

  • 강희중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1권5호
    • /
    • pp.577-585
    • /
    • 2004
  • 인식기와 클래스 레이블로 구성된 고차 확률 분포를 가정이나 근사 없이 저장하고, 평가하는 것은 기하급수적으로 복잡하고 관리하기 어렵다. 따라서, 의존관계를 이용한 근사 방법에 의존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2차 의존관계에 기반 한 곱 근사 방법을 확장하여, 이 확률 분포를 3차 의존관계에 의해 최적으로 곱 근사 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3차 의존관계에 기반 한 곱 근사 방법은 Concordia 대학과 UCI(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대학으로부터 얻은 필기 숫자를 인식하는 실험에서 다수 인식기의 결합 방법에 적용되었고,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방법의 유용성을 살펴보았다.

아라비안 숫자를 동반한 중의적 기호의 자동전사: 온점, 쌍점, 빗금을 중심으로 (Automatic Transcription of Three Ambiguous Symbols Used with Arabic Numerals: Period, Colon and Slash.)

  • 윤애선;정영임;권혁철
    • 한국언어정보학회지:언어와정보
    • /
    • 제8권1호
    • /
    • pp.117-136
    • /
    • 2004
  • In this paper, we have proposed Auto- TSS, an automatic transcription module of three ambiguous symbols-period (.), colon (:) and slash (/)--using their linguistic contexts. Few previous studies have discussed the problems of ambiguities in reading those symbols into Korean alphabetic letters in order to improve the current Korean TTS (Text-To-Speech) systems. We have classified 9 different reading formulae of the three symbols, analyzed their left and right contexts, and investigated selection rules and distributions between the symbols and their contexts. Based on these linguistic features, 30 stereotyped patterns, 53 rules and 5 heuristics determining the types of reading formulae are investigated for Auto-TSS. This module works modularly in 4 steps. The pilot test was conducted with three test suites, which contain respectively 6,979, 3,491 and 2,450 morpheme clusters containing at least one of three ambiguous symbols and Arabic numeral(s). Encouraging results of 94.3%, 93.0%, 94.2% accuracy were obtained for the test suites. Our next phases are to develop a guessing routine for unknown contexts of the union symbols by using statistical information; to refine the proper nouns and terminology detecting module; and to apply Auto-TSS on a larger scale.

  • PDF

가중 원형 정합을 이용한 인쇄체 숫자 인식 (Machine-printed Numeral Recognition using Weighted Template Matching)

  • 정민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554-559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인쇄체 숫자를 인식하기 위해 가중 원형 정합(weighted template matching) 방법을 제안한다. 원형 정합은 입력 영상 전체를 하나의 전역적인 특징으로 처리하는 데 반해, 제안된 가중 원형 정합은 패턴의 특징이 나타나는 국부적인 영역에 해밍 거리(Hamming distance)의 가중치를 두어 패턴 특징을 강조하여 숫자 패턴의 인식률을 높인다. 실험에서는 기존의 원형 정합을 사용했을 때, 오류 역전파 신경망을 사용했을 때와 가중 원형 정합을 사용했을 때의 혼돈 행렬(confusion matrix)을 각각 서로 비교한다. 실험 결과는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에 의해 인쇄체 숫자의 인식률이 크게 향상된 것을 보인다.

구조적 특징기반 자유필기체 숫자인식 알고리즘 (A Recognition Algorithm of Handwritten Numerals based on Structure Features)

  • 송정영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151-156
    • /
    • 2018
  • 필기체 숫자인식은 일반적으로 높은 인식률과 문맥 독립이 요구되고 있고, 쓰는 사람에 따라서 많은 차이점이 있어서 자유 필기체 숫자는 인식이나 알고리즘작성에 아직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필기체 숫자의 특성을 분석하고, 구조적 특징기반 자유 필기체 숫자인식 알고리즘을 새롭게 제안한다. 주어진 필기 숫자에 대하여, 끝점과 분기점, 수평선과 함께 숫자의 구조적 특징을 연구한다. 이 방법은 확장된 구조적 특징 알고리즘으로 제안되어 강인하며, 그리고 본 연구에서 제안한 구조적 특징에 기반 한 결정 트리(decision tree)는 필기체 숫자 자동인식방법에 구조적으로 기여한다. 본 알고리즘이 다른 방법과 비교하여 인식률과 강인성이 우수함을 실험결과로 보여주었다.

민화 DB를 위한 분류체계 설계 (Designing a Classification System for Minhwa DB)

  • 최은진;이영숙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1호
    • /
    • pp.135-143
    • /
    • 2022
  • In order to convert Korean folk paintings called Minhwa, a part of traditional Korean heritage, into DBs, it is necessary to design a classification system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folk paintings. A classification system and the generating of unique codes are required to classify and save them. To realize this, a basic classification system was created by listing objects depicted in folk paintings, and keywords were extracted by reclassifying them for each object. In order to assign a unique code to each piece, we organize the English names of each Minhwa since the English names of the folk painting contain the names of objects. The code name is extracted by applying the order of nouns and consonant priority rules in English names and attaching five Arabic numerals. These codes are later assigned to each image file stored in the database and are input together with the keyword. The Minhwa DB constructed in this way enables storage and search centered on objects and keywords and the intuitive inferring of the type of object from the code name.

한의 온톨로지 처방의 용량 단위 가공과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설계 (Processing of dosage units and design of database schema for formulas in Korean medicine ontology)

  • 김상균;오용택;이명구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33-240
    • /
    • 2022
  • Objectives : This study aims to propose a processing method for dosage units of medicinal materials and the database schema to manage formula data in Korean medicine ontology. Methods : All dosage units of medicinal materials are collected from the seven textbooks that contain formula data of Korea medicine ontology. Dosages are converted to Arabic numerals and units that are frequently used are converted to representative units. Database schema is designed for processing and managing the formulas and medicinal materials with dosage units. Results : Seven representative units are selected out of 77 units. They will be used in the addition or subtraction of medicinal materials in a formula support system. The remaining units will be made available for references. Conclusions : EMR or chart programs used in clinical hospitals contain formula data that is already standardized. However, the formula data in Korean medicine literature and textbook is not refined, so it is necessary to process the dosages and units of medicinal materials to use in the formula support system. This result is a processing method to utilize the formula data of Korean medicine textbooks and it will be implemented this method in the established formula support system in the future.

인식기 풀 기반의 다수 인식기 시스템 구축방법 (Construction of Multiple Classifier Systems based on a Classifiers Pool)

  • 강희중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9권8호
    • /
    • pp.595-603
    • /
    • 2002
  • 우수한 인식 성능을 보이기 위하여 가용한 인식기 풀(pool)로부터 다수 인식기를 선택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는 소수에 불과하였다. 그래서, 어떻게 또는 얼마나 많은 인식기를 선택해야 하는가에 관한 인식기의 선택 문제는 여전히 중요한 연구 주제로 남아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선택되는 인식기의 개수가 미리 제한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서, 다양한 선택 기준을 제안하고, 이들 선택 기준에 따라서 다수 인식기 시스템을 구축하며, 구축된 다수 인식기 시스템의 성능을 평가함으로써 제안된 선택 기준을 평가하고자 한다. 모든 가능한 다수 인식기의 집합은 선택 기준에 의해서 조사되고, 그 중 일부가 다수 인식기 시스템의 후보로 선정된다. 이러한 다수 인식기 시스템 후보들은 Concordia 대학과 UCI(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의 기계학습 자료로부터 얻은 무제약 필기 숫자를 인식하는 실험에 의해 평가되었다. 다양한 선택기준 중에서, 특히 조건부 엔트로피에 기반한 정보 이론적 선택 기준에 의하여 구축된 다수 인식기 시스템 후보가 다른 선택 기준에 의한 후보보다 더 유망한 결과를 보여 주었다.

스포츠 중계를 위한 자막 인식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 Video Caption Recognition System for Sport Event Broadcasting)

  • 오주현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94-98
    • /
    • 2009
  • 메이저리그 야구 중계 등 해외 스포츠 중계제작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 중 하나는 MPH(miles per hour)와 같이 영미식 단위로 표시된 자막을 국내 실정에 맞게 km/h 등으로 변환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계화면에 표시된 자막영역의 변화로부터 해당 자막이 표시되었음을 감지하고 숫자 정보를 인식하여 이를 국내실정에 맞는 SI 단위로 변환하는 스포츠 자막 인식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변환된 자막은 후단의 문자발생기 (CG) 시스템으로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TV 화면에 표시된다. 일반적으로 문자 인식에 주로 사용되는 신경망(neural networks) 기반 방식은 사전에 유사 데이터를 이용한 신경망의 학습(training) 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또한 학습에 사용된 데이터와 다른 모양의 자막이 예고 없이 사용되었을 경우 대처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생방송이라는 사용 환경을 고려하여 새로운 폰트로 제작된 자막에도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템플릿 매칭(template matching) 방식을 사용하였다. 여러 가지 실험 영상으로 테스트한 결과 97% 이상의 정확한 인식 결과를 얻었으며, 정확성을 요하는 생방송의 특성상 매칭의 확신도(confidence)가 높지 않은 경우에는 작업자가 판단한 후 핫키를 이용하여 정확한 자막을 출력할 수 있게 하였다.

  • PDF

듀이 십진분류법의 발전요인 (Chief caus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 이창수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3권
    • /
    • pp.85-111
    • /
    • 1986
  •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DDC) was first published in 1876. Since its first edition it has been revised, on an average, 6 years, and now it has become the widely used library classification system of which the scheme was translated in various langua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ief caus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DDC.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It allows materials to be shelved in a relative location as the collection expands. before the DDC was introduced, libraries used a fixed location for materials in which each item was assigned to a certain location set aside for a subject. 2. It is a practical system. The fact that it has survived many storms in the past hundred years and is still the most widely used classification scheme in the world today attests to its practical value. 3. The pure notation of arabic numerals is universally recognizable. People from any cultural or language background can adapt to the system easily. 4. The use of the decimal system enable infinite expansion and sub-division. And it has adaptability for use in libraries of various size and kinds because of its hierarchically expressive notation which permits varying degrees of inclusiveness and exclusiveness within its decimal structure. 5. The notation is simple and easily understood. The self-evident numerical sequence facilitates filing and shelving. And the mnemonic nature of the notation helps the readers to memorize and recognize the class numbers. 6. The relative index brings together different aspects of the same subject scattered in different disciplines. 7. We can avail of DDC numbers for specific titles easily because of its use by many central bibliographic services. 8. It is being continuously revised by a permanent office established in the library of congress in 1933. This office has been responsible for editing all editions of the DDC since the 16th (1958). And the periodic revision at regular intervals ensures the currentness of the scheme. 9. It has adaptability both for conventional (manual) shelf or classed catalogue analysis and also, through its meaningful nation, for retrieval through mechanization and computerized systems.

  • PDF

베이스 에러율의 상위 경계 최소화에 기반한 고차 곱 근사 방법과 숫자 인식기 결합에의 적용 (A High Order Product Approximation Method based on the Minimization of Upper Bound of a Bayes Error Rate and Its Application to the Combination of Numeral Recognizers)

  • 강희중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8권9호
    • /
    • pp.681-687
    • /
    • 2001
  • 다수의 인식기를 결합하여 베이지안 결정 이론 하에서 클래스 분별력을 높이려면, 훈련 데이터 샘플로부터 얻은 클래스 변수와 결정 변수들로 구성된 조건부 엔트로피에 의해서 한정되는 베이스 에러율의 상위 경계를 최소화해야 한다. Wang과 Wong은 베이스 에러율의 상위 경계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클래스 변수와 다수의 특징 패턴 변수들로 구성된 고차 확률 분포를 트리 의존관계로 근사하는 1차 근사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베이스 에러율의 상위 경계 최소화에 기반한 기존의 1차 트리 의존관계 근사 방법을 확장하여 고차 의존관계까지 고려할 수 있는 확장된 곱 고차 근사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근사 방법을 CENPARMI의 무제약 필기 숫자를 인식하는 다수의 숫자 인식기 결합 방법에 적용하여 인식 실험을 하였으며, 이 방법에 의해서 보다 높은 인식율을 얻게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