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odles

검색결과 686건 처리시간 0.023초

백년초 분말 첨가에 따른 국수의 품질특성 (Quality of Noodle Added Powder of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 정현숙;박찬성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00-205
    • /
    • 2003
  • 백년초 분말을 각각 0%, 0.05%, 0.1%, 0.3% 및 0.5%의 비율로 첨가한 국수를 제조하여 일반성분, 수분함량, 색상 및 기계적 texture를 측정하고 관능검사를 행하였다. 백년초 첨가 국수의 수분함량은 모두 32∼33% 정도로 큰 차이가 없었다. 국수 대조구의 색상은 명도(L치) 74.21,적색도(a치) -2.40, 황색도(b치) 5.52였으며 백년초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L치)는 감소하며, 적색도(a치)와 황색도(b치)는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기계적 물성 측정 결과, 백년초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국수의 강도, 견고성, 부서짐성이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백년초 첨가 국수의 관능검사 결과, 색은 0.3%와 0.5% 첨가군에서 대조구보다 유의적으로 높은기호도를 나타내었다(p<0.05). 관능검사 결과, 국수의 기호도는 촉촉한 정도, 부드러움,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백년초 0.3% 첨가군이 가장 높은 점수를 얻었다. 이상의 관능검사결과를 종합하면 국수 제조시 적정한 백년초 분말 첨가량은 0.3%가 가장 적당한 것으로 판단된다.

다시마 Single Cell Detritus(SCD)를 첨가한 국수의 최적화 가공조건 (Optimum Process Condition of Noodles with Sea Tangle Single Cell Detritus (SCD))

  • 방상진;신일식;김상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68-74
    • /
    • 2006
  • 다시마를 Vibrio sp.로 분해하여 제조한 SCD를 modified distance design의 최적 배합 비율에 따라 기능성 국수를 제조하였다. 밀가루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다시마 SCD 국수의 texture parameter논 증가하였고, 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texture parameter는 반대로 감소하였으며 SCD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texture parameter는 감소 후 증가하였다. 밀가루와 SCD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물의 함량이 감소할수록 L 값과 b 값은 증가하였으며, a 값은 밀가루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고 물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 후 증가하였다. Constraint coefficient 값의 분석 결과 SCD는 건면과 조리면의 texture parameter와 색도의 L(명도) 및 b(황색도) 값, 물은 a(적색도) 값에 가장 큰 영향을 주었으며, hardness를 제외한 texture parameter와 색도에서 원료간의 상호작용이 있었다. Modified distance design에 의해 결정된 최적 배합비율은 밀가루, 물, SCD의 함량이 각각 63.3, 31, 3.7%이었다. 관능검사 결과 잔해수로 처리한 SCD 국수는 시중제품보다 모든 면에서 점수가 약간 떨어지나, 전해수 미처리 SCD 국수보다는 월등히 높은 점수를 받아 전해수의 처리는 본 SCD 국수의 품질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산 통보리가루 첨가에 따른 국수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Noodle Containing Whole Flour of Korean Hull-less Barley Cultivars)

  • 이미자;김경순;김양길;최재성;박광근;김형순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459-467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품종별 통보리가루를 20% 첨가하여 보리 국수를 제조하고 제조된 국수의 품질특성과 ${\beta}$-glucan 함량 및 항산화활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호화특성 중 호화개시온도와 최고점도는 보릿가루 첨가에 따라 증가하였고, 치반점도는 감소하였다. 통보리가루 첨가 국수의 L값은 밀가루 국수에 비해 낮았고 a값과 b값은 높았다. 조리시 흡수율은 통보리가루 첨가국수에서 밀가루 국수보다 낮게 나타났으며, swelling index는 메성보리는 높았고 찰성보리는 밀가루 국수와 비슷하였다. 보리국수의 조리 후 경도, 검성은 밀가루 국수에 비해 약간 낮았으며, 메성보리가 찰성보리보다 경도, 응집성, 검성이 높았고 메성 품종인 다한이 가장 밀가루 국수와 유사한 특성을 보였다. 보릿가루 첨가에 따라 국수의 ${\beta}$-glucan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조리 후 ${\beta}$-glucan 함량이 약간 증가하였고, 전분함량은 조리 후 감소하였다. 보리첨가 국수의 항산화활성은 밀가루 국수보다 높았고 조리 후 감소하였다.

콩과 천마 분말을 첨가한 국수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Noodles Added with Soybean and Gastrodine Rhisoma Powder)

  • 권용환;박은숙;김종권;;정연신;황영현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28권
    • /
    • pp.69-78
    • /
    • 2010
  • 1. 콩분말을 첨가한 국수의 품질특성 ${\circ}$ 색도 - 콩분말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밝기)값은 감소, a(적색도)값은 감소함. ${\circ}$ 조직감 - 경도는 콩분말을 첨가한 모든 국수에서 증가, 응집성은 감소함. ${\circ}$ 이소플라본 함량 - 콩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함. ${\circ}$ 관능평가 - 전체적인 기호도가 대조군에 비하여 3,5% 콩분말 국수가 유의적으로 높음. 2. 천마 분말을 첨가한 국수의 품질특성 ${\circ}$ 색도 - 천마분말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밝기)값은 감소, a(적색도)값은 감소함. ${\circ}$ 조직감 - 경도는 대조군에 비하여 0.5, 1% 천마국수에서 유의적으로 증가, 씹힘성은 0.5% 천마국수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함. ${\circ}$ 관능평가 - 전체적인 기호도가 대조군에 비하여 1% 천마분말 국수가 유의적으로 높음. 3. 콩, 천마 분말을 첨가한 국수의 품질특성 ${\circ}$ 최종 적정혼합 비율 - 콩분말은 소비자의 기호성을 고려하여 5%로 결정함. ${\circ}$ 천마분말 - 0.5, 1%에서 품질특성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므로 상업성을 고려하여 0.5%로 결정함.

  • PDF

게걸무 분말 첨가에 따른 국수의 물리적 및 관능적 특성 (Phys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Wet Noodles Prepared by Adding Ge-Geol Radish Powder)

  • 김행란;이지현;김양숙;김경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83-288
    • /
    • 2007
  • 게걸무 분말 4-16%를 국수 반죽에 대체${\cdot}$첨가하여 제조한 국수를 무첨가구와 비교 분석하여 게걸무 분말의 첨가가 국수의 제면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게걸무 분말 첨가 시, 국수의 생면과 조리면의 적색도는 게걸무 무첨가구에 비하여 유의적인 증가를 나타냈으며 이러한 경향은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높게 나타났다. 기계적 텍스처의 측정 결과, 조리면에서 게걸무 분말을 국수에 첨가 시 경도는 낮아지고 부착성과 탄성은 감소하며 씹힘성은 증가하였지만 부서짐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조리면의 무게 증가율과 부피 증가율은 게걸무 분말 첨가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국물의 탁도는 게걸무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국물의 탁도가 높게 나타났다. 게걸무의 첨가비율이 낮은 4-8% 수준의 시료에서는 무첨가구에 비하여 탁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가 첨가비율이 높은 12-16% 수준의 첨가시료에서는 무첨가구 수준으로 탁도가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종합적인 기호도는 게걸무 분말을 4-8% 대체하여 첨가한 시료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평가 되었는데, 이는 대조구 국수와 관능적 텍스처 특성이 유사하면서 무 고유의 매운맛과 시원한 맛을 나타내는 수준의 시료이었다. 따라서 국수의 제면성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국수 고유의 조직감을 유지하고 게걸무 특유의 향미를 갖는 조건은 게걸무 분말을 8% 이하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양파분말을 첨가한 국수의 품질과 저장성 (Quality and shelf life of noodles containing onion powder)

  • 김요셉;박나영;노홍균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18-22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기능성 부여와 저장성이 증진된 국수를 개발하고자 양파분말을 국수에 첨가(0, 3, 5, 10%)한 후 품질특성과 저장성을 조사하였다. 양파 생면의 수분은 양파분말 첨가량의 증가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pH는 감소하였다. 양파 생면의 조리 후 중량과 부피, 수분흡수율은 대조구와 양파분말 첨가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색의 경우 생면은 양파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과 a값은 감소하고 b값은 증가하였으나 조리면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생면의 총 폴리페놀 함량과 DPPH radical 소거능은 양파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조리후에는 함량이 전체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생면과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양파 조리면의 조직감의 경우, 경도와 씹힘성은 대조구가 양파 첨가군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나 탄력성은 대조구와 양파분말 첨가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생면을 $10^{\circ}C$에서 12일간 저장하면서 총균수를 측정한 결과 양파분말 첨가군은 대조구에 비하여 저장성이 최소 6일 이상 연장될 수 있었으며 그 중 양파분말 5% 첨가구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간주되었다. 양파 조리면의 관능검사 결과 외관, 맛, 냄새, 조직감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대조구와 양말분말 첨가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로 볼 때 양파분말을 국수에 5% 첨가함으로서 기능성 부여와 저장성이 증진된 국수를 개발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비타민 D2 강화 표고버섯과 해조칼슘 첨가 냉면의 저장성 예측 - 연구노트 - (Prediction of Shelf-Life of Cold Buckwheat Noodles Mixed with Vitamin D2 Enriched Siitake Mushroom and Seaweed Derived Calcium)

  • 정숙현;오혜숙;윤교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9호
    • /
    • pp.1225-1229
    • /
    • 2007
  • 비타민 $D_2$ 강화한 표고버섯(3%)과 해조칼슘을 첨가하여 비살균 제품이며 숙면에 속하는 냉면을 제조한 후, 편의식 개발을 목적으로 저장성을 예측하고자 하였다. $5^{\circ}C$에서 8일간 냉장저장하면서 미생물 및 관능적 품질 변화를 관찰한 결과, 냉면의 초기 세균 수는 2.54 log CFU/g 정도였으며, 냉장 조건에서 6일까지는 세균수가 5 log CFU/g 이하로서 식용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버섯냉면을 8일간 냉장저장 중에는 이취를 인식하지 못하였고 육안으로는 곰팡이 발생여부를 확인할 수 없었다. 표고버섯 첨가냉면을 총 8주 동안 냉동저장$(-18^{\circ}C)$하여 검사한 결과, 총세균수는 $770{\sim}160$ CFU/g 정도로 저장기간 중 유의적 차이를 보였으나 전 기간에 걸쳐 숙면의 저장가능 조건인 $1{\times}10^5$ CFU/g 이하로서 8주까지는 유통 및 저장 조건이 잘 유지된다면 미생물적 품질은 비교적 안전할 것으로 여겨진다. 윤기, 버섯 향, 쌉쌀한 맛, 씹힘성 및 탄력성의 관능특성은 8주간의 냉동저장 기간 동안 제조 직후와 비교할 때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 결과는 미생물검사 결과와 함께 저장 안정성이 매우 큼을 시사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어수리분말 첨가 국수의 품질특성 및 저장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Shelf Life of Noodles Prepared with Heracleum moellendorffii(Hogweed) Powder)

  • 남유화;홍주헌;윤광섭;노홍균;이신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602-607
    • /
    • 2010
  • 어수리의 실용적인 활용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어수리 분말을 첨가하여 생면을 제조하고. 이들 면의 품질특성과 저장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어수리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국수의 중량, 부피 및 수분흡수율이 감소하였다. 어수리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국수 국물의 탁도와 조리중 고형분 손실량이 대조구에 비해 낮았다. 어수리 분말 첨가에 의해 생면의 명도(L)와 적색도(a)는 감소하였으며, 황색도(b)는 증가하였다. 어수리 분말 첨가에 의해 국수의 기호성은 증가하였으며, 0.6%첨가 국수가 기호성 즉 맛, 조직감, 종합적기호도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어수리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전자공여능은 대조구 22%, 어수리 분말 0.6%와 0.9%첨가구는 각각 40.22%와 49.42%이었다. 저장 중 미생물의 변화는 저장 6일째까지 대조구와 첨가구(0.3 - 0.6%)간에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저장 12일째 대조구, 0.3% 그리고 0.6%첨가구는 $10^6$ CFU/mL이었으나, 어수리 분말 0.9%첨가 국수는 $10^3$ CFU/mL이었다. 저장 중 pH의 변화는 대조구와 0.3%, 0.6%첨가구는 유사하였으나 0.9% 첨가구는 전 저장기간 동안 pH의 변화가 지연되었다.

참취 즙액 첨가가 메밀국수의 조리 특성에 미치는 영향 (Cooking Properties of Buckwheat Noodles Added Aster scaber $T{HUNB}$ Juice)

  • 이상영;이은영;심태흠;오덕환;강일준;정차권;함승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501-507
    • /
    • 1998
  • This study was aimed to determine the cooking properties of noodles when dfferent concentrations of Aster scaber THUNB(AST) juice were added to the buckwhenat and wheat flours. Also, physicochemical effects of the noodles and compositions of the noodles and compositions of the noodle soup after cooking were determined. Buckwheat flour and AST contained greater amounts of minerals and essential amino acids than wheat flour. The contents of chlorophyll and carotenoids in the buckwheat noodle added AST juice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s of AST juice increased. Hydration capacity of buckwheat flour was higher than that of wheat flour when AST juice was added to flours. The added amounts of AST juice did not affect the volume and the weight of the noodles, but those were increased as cooking time proceeded. The release of proteins and minerals from the buckwheat noodle added AST juice increased as cooking time progressed and also at the added concentrations of AST juice increased. Texture indices showed lower values as the amount of added juice increased. In sensory evaluation, the scores of color, 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the buckwheat noodle added AST juice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 PDF

마가루를 첨가한 국수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Noodle Made with Dioscorea japonica Flour)

  • 박복희;조희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73-180
    • /
    • 2006
  • This study evalu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ried noodles made of wheat flour with different concentrations of Dioscorea japonica flour. Cooking quality, mechanical texture properties and viscosity were measured, and sensory evaluation was performed with the prepared noodles. Water binding capacity, solubility and swelling power of the composite Dioscorea japonica flour-wheat flours were higher than those of pure wheat flour. Gelatinization points of the composite Dioscorea japonica flour-wheat flours were increased and initial viscosity at $95^{\circ}C$, viscosity at $95^{\circ}C$ after 15 minutes and maximum viscosity of these composites were decreased, with increasing Dioscorea japonica flour content, as measured by amylograph. With increasing Dioscorea japonica flour content, L and b values were decreased, but a value was increased, for the color values, while weight and volume of the cooked noodles and turbidity of the soup were increased. For the textural characteristics, the addition of Dioscorea japonica flour increased the hardness and decreased the adhesiveness,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Overall, the noodles made with 10% Dioscorea japonica flour were preferred more than the other noodles, as tested by sensor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