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uniform contamination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42초

국부오손이 옥외절연물의 전기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upon electrical properties of outdoor insulators with non-uniformity contamination)

  • 이원영;최남호;박강식;한상옥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1년도 학술대회논문집
    • /
    • pp.203-206
    • /
    • 2001
  • Since th three sides of korea peninsula are surrounded by the sea, electric apparatus are greatly contaminated by the salt generated by the typhoon, seasonal wind, sea wind and sea fog. This contamination causes electric power apparatus to fail. Thus in this paper, we investigated to influence upon electrical properties of outdoor insulators with non-uniformity contamination in the experimental condition because The contamination of outdoor insulator highly depended wind property In the service condition, insulator was not uniformly contaminated. From the flashover test for the 254 mm suspension insulator, we could determine the influence non-uniform contamination on the electrical property of insulators. Through the experiment, we convinced to occur flashover from non-uniform contamination region of outdoor insulator. Contaminated area and pattern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outdoor insulator.

  • PDF

The application of rapid SIMS analysis for the identification of surface contamination in TFT-LCD manufacturing

  • Liou, Been-Chih;Chou, Yi-Hung;Chen, Chien-Chih;Eccles, John A.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6년도 6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665-668
    • /
    • 2006
  • Sodium is a serious contamination in LTPS TFT process. It causes the abnormal characteristics of TFT in operation. Contaminated areas can be seen in SEM images, but EDX measurements do not have adequate sensitivity to confirm the presence of superficial sodium residues. We employed SIMS as a fast analysis method to map the non-uniform distribution of sodium on the surface. SIMS can also indicate the thickness of the contamination.

  • PDF

국부오손에 의한 절연물의 전기적 특성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Non-Uniformly Contaminated Insulator)

  • 최남호;박강식;구경완;김종석;한상옥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Vol.3 No.2
    • /
    • pp.935-938
    • /
    • 2002
  • The degree of contamination in outdoor insulation system is one of the most importance factor to determine the level of insulation, and the salt is known as the most dangerous contaminants in the most region of the world. In a macroscopic point of view, as shown through the preceding study, the generation and deposition of salt contaminants has a great relation with the geographical conditions and the meteorological conditions, such as, wind velocity, wind direction, precipitation and so forth. However, in the aspect of microscopic analysis, the pollution mechanism has a great relation with aerodynamic properties of insulator, originated from the profile of insulators, and the non-uniform deposition is unevitable. So, in this investigation, we had make a experiment to seize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non-uniformly contaminated insulator.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could be used as a good groundwork in the determination of outdoor insulation design.

  • PDF

Effects of Non-uniform Pollution on the AC Flashover Performance of Suspension Insulators

  • Zhijin, Zhang;Jiayao, Zhao;Donghong, Wei;Xingliang, Jiang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1권4호
    • /
    • pp.961-968
    • /
    • 2016
  • The non-uniform distribution of contamination on insulator surface has appreciable effects on flashover voltage, and corresponding researches are valuable for the better selection of outdoor insulation. In this paper, two typical types of porcelain and glass insulators which are widely used in ac lines were taken as the research subjects, and their corrections of AC flashover voltage under non-uniform pollution were studied. Besides, their flashover characteristics under different ratio (T/B) of top to bottom surface salt deposit density (SDD) were investigated, including the analysis of flashover voltage, surface pollution layer conductivity and critical leakage current. Test results gave the modified formulas for predicting flashover voltage of the two samples, which can be directly applied in the transmission line design. Also, the analysis delivered that, the basic reason why the flashover voltage increases with the decrease of T/B, is due to the decrease of equivalent surface conductivity of the whole surface and the decrease of critical leakage current. This research will be of certain value in providing references for outdoor insulation selection, as well as in proposing more information for revealing pollution flashover mechanism.

병원근무자 유니폼에 의한 병원 내 감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The Association of Health Care Workers' Uniforms and Health Care-associated Infection: Systematic Review)

  • 정은영;김진현
    •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65-76
    • /
    • 2013
  • Purpose: To identify an associations between health care workers' uniforms and health care-associated infection. Methods: Electronic databases, including Ovid-Medline, the Cochrane Library, CINAHL, EMBASE, KMbase, and KoreaMed, were searched. The search terms included doctor, nurse, health care worker/staff/assistant, clothing, (white) gown, uniform, (neck)tie, and attire. Only papers published in English and Korean were included. Results: 16 studies were selected from 1,900 references screened. All of the studies were non-comparative studies except for one. Four were conducted with doctors, six with nurses, one with health care workers including physiotherapists and one for medical staff plus visitors in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Doctors more frequently changed their uniforms than neckties; therefore, the degree of contamination was more serious in neckties. The cuff zone was more likely to be heavily contaminated than other areas of long-sleeve gowns. Coats become contaminated quickly once worn, and colony counts reached a similar level within the first few hours after wearing them. Wearing a plastic apron or protective clothing did not prevent the bacterial contamination of nurses' uniforms, and the best way to decrease the contamination was changing to newly laundered uniforms before starting every duty. Conclusion: Healthcare workers' uniforms are a potential source of health care-associated infection although there was no robust evidence. The government must establish standards for laundering of uniforms or a requirement for institutions to provide a laundering service for healthcare workers' uniforms.

  • PDF

Microbial Risk Assessment of Non-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in Natural and Processed Cheeses in Korea

  • Kim, Kyungmi;Lee, Heeyoung;Lee, Soomin;Kim, Sejeong;Lee, Jeeyeon;Ha, Jimyeong;Yoon, Yoha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79-592
    • /
    • 2017
  • This study assessed the quantitative microbial risk of non-enterohemorrhagic Escherichia coli (EHEC). For hazard identification, hazards of non-EHEC E. coli in natural and processed cheeses were identified by research papers. Regarding exposure assessment, non-EHEC E. coli cell counts in cheese were enumerated, and the developed predictive models were used to describe the fates of non-EHEC E. coli strains in cheese during distribution and storage. In addition, data on the amounts and frequency of cheese consumption were collected from the research report of th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For hazard characterization, a doseresponse model for non-EHEC E. coli was used. Using the collected data, simulation models were constructed, using software @RISK to calculate the risk of illness per person per day. Non-EHEC E. coli cells in natural- (n=90) and processed-cheese samples (n=308) from factories and markets were not detected. Thus, we estimated the initial levels of contamination by Uniform distribution ${\times}$ Beta distribution, and the levels were -2.35 and -2.73 Log CFU/g for natural and processed cheese, respectively. The proposed predictive models described properly the fates of non-EHEC E. coli during distribution and storage of cheese. For hazard characterization, we used the Beta-Poisson model (${\alpha}=2.21{\times}10^{-1}$, $N_{50}=6.85{\times}10^7$). The results of risk characterization for non-EHEC E. coli in natural and processed cheese were $1.36{\times}10^{-7}$ and $2.12{\times}10^{-10}$ (the mean probability of illness per person per day),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risk of non-EHEC E. coli foodborne illness can be considered low in present conditions.

증기 자가방출 스마트 전자레인지 포장재 적용을 위한 복합필름 특성연구 (Properties of Smart Vapor Self-Releasing Composite Films to Microwave Packaging)

  • 송우석;신호준;서종철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57-163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전자레인지 조리 시 발생하는 포장 내부의 수증기를 스스로 방출할 수 있는 PLA 기반 스마트 복합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복합필름의 전자레인지 조리가 가능한 HMR 제품의 포장재로써 적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DSC, UTM, GTR 및 전자레인지 모의 적용 평가를 통해 열적 특성, 기계적 특성, 온도 구간별 기체 투과도 및 전자레인지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복합필름의 열적 특성을 확인한 결과, PLA와 PEG의 강한 화학적 상호작용을 확인하였고 본 연구에서 기대한 전자레인지 조리 온도 내에서 PEG가 용융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조된 복합필름은 PEG의 첨가로 인해 인장강도는 감소하였지만 연신율이 증가하였고, nanoclay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된 인장강도가 일부 회복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체투과도의 경우 PEG의 Tm1 이상인 65℃ 부터 PEG가 용융되면서 투과도가 비약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전자레인지 모의 적용 평가를 통해 pure PLA는 내부 수증기를 방출하지 못하고 그 압력을 버티지 못해 폭발한 것에 비해, 복합필름의 경우 전자레인지 수증기 발생 온도에서 그 형태를 유지하며 효과적으로 내부 수증기를 자가방출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제조한 스마트 복합필름은 포장재로써 향후 전자레인지 조리 HMR식품 포장재로써 적용될 수 있다.

호수 환경의 녹조 확산 방지를 위한 드론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rone to Prevent the Spread of Green Tides in Lake Environment)

  • 임진택;이우람;이상범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27-33
    • /
    • 2023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물 부족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저수지의 녹조 발생으로 농업용수의 물 관리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기존의 녹조 방지는 많은 사람이 현장에 투입돼 운영되고 보트를 통한 이동으로 최적의 살포 시간을 놓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오염을 사전에 차단하고 시간 내 이동하여 균일하게 복합 미생물을 균일하게 살포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방제 드론은 농약 살포에 활용되고 있으며 방제 드론을 활용하여 녹조 방지 업무에 적용이 가능하다. 본 논문에서는 해양 방제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연구로 저수지 환경 적용을 위해 수행되었으며, 그 결과물의 하나로 방제 드론에 사용 가능한 핵심기술인 드론 전용 노즐의 특성을 산출하였다. 특히, 기존의 농업용 방제 드론이 제시된 살포 간격 내에서 농도가 불균일하다는 단점이 있음을 파악하였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노즐 위치선정 및 노즐 살포 균일도를 산출하였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저수지 환경의 녹조 감시 시스템 구축의 핵심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추후 해양 방제 업무 적용에 활용이 가능하도록 정밀 방제 기술을 제안한다.

플라즈마 블라스팅, 공압파쇄, 진공추출이 활용된 지중 토양정화공법의 정화 개선 효과에 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Improvement of In Situ Soil Remediation Using Plasma Blasting, Pneumatic Fracturing and Vacuum Suction)

  • 송재용;이근춘;강차원;김은섭;장현식;장보안;박유철
    • 지질공학
    • /
    • 제33권1호
    • /
    • pp.85-103
    • /
    • 2023
  • 점토와 같은 세립질 또는 유기물을 다량으로 함유하거나 다져진 지층을 대상으로 지중(in-situ) 정화를 진행하는 경우, 정화효율이 떨어져 정화비용이 증가하는 등의 한계가 발생한다. 또한, 토양조건이 양호하더라도 균일하지 않은 토질특성과 낮은 투수특성으로 인해 장기간에 걸쳐 정화를 수행하여 완료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연구는 기존 지중정화의 한계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공압파쇄, 진공추출, 플라즈마 블라스팅을 접목한 기술(PPV공법)의 정화효과 확인과 현장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수행하였다. 상대적인 비교를 위하여 본 연구에 적용된 기술을 실험군으로 하고 기존 공법인 화학적산화공법을 대조군으로 하여 TPH로 오염된 토양에서80일에 걸쳐 각각 지중정화를 수행하였으며, 총 4차에 걸쳐 모니터링 시료를 채취하여 정화효과를 비교 평가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대조군은 정화제 전달효과가 불량하여 오염도의 감소 경향성을 보이지 않는 반면 실험군(PPV공법) 적용에서는 정화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뚜렷한 오염도 저감효과가 나타난다. 주입정으로부터 거리별 TPH 최고농도 저감율을 평가하면, 대조군은 경향성이 없으나 PPV공법은 주입정 반경 1 m 이내에서는 62.6%, 1.1~2.0 m에서 90.1%, 2.1~3.0 m에서 92.1%의 정화효과를 보인다. 주입정으로부터 거리별 TPH 평균농도 저감율을 평가하면, 대조군은 실질적인 정화효과가 없으나 PPV공법은 주입정 반경 1 m 이내에서는 53.6%, 1.1~2.0 m에서 82.4%, 2.1~3.0 m에서 68.7%의 정화효과가 확인되었다. TPH 최대 및 평균 오염농도의 변화를 토대로 실험군과 대조군의 정화효율을 평가한 결과, PPV공법은 대조군 대비 149.0~184.8%의 정화효과가 상승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평균 정화효과 상승률은 약167%이다. 시간경과에 대한 TPH 농도를 분석을 통해 상관관계식을 도출하고 이를 활용하여 최초 농도 대비 80% 저감기간을 평가한 결과 PPV공법을 적용하는 경우 화학적산화공법 적용시보다 184.4%의 정화시간 단축이 가능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다만, 단일 부지에 대한 평가 결과이기 때문에 모든 지층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없으므로 향후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그 효과를 보다 면밀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지수감쇠 기법을 이용한 반사경 손실측정 시스템의 오차특성 연구 (Study of the error chsracteristics in a mirror loss measurement system using an exqonential decay metod)

  • 조민식
    • 한국광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7-82
    • /
    • 2001
  • 손실 200 ppm급과 30 ppm급인 두 종류의 시험 반사경을 대상으로, 지수감쇠 방법을 이용한 반사경 손실측정 시스템의 오차 특성이 조사되었다. 공진기 길이 떨림에 의한 공진기 감쇠신호의 지수함수 왜곡을 보상하기 위하여 감쇠신호 데이터 평균기법을 적용하였다. 감쇠신호 6개의 평균이 취해졌을 때 감쇠신호의 지수함수 곡선맞춤 오차개선이 뚜력시 관측되었으며 손실 200ppm급 시험 반사경의 경우 약 2.4배 손실 30ppm급 시험 반사경의 경우 약 1.3배의 반사경 손실 측정오차 개선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시험 공진기에서의 일별(day-to-day) 반사경 손실측정 반복도 오차가 조사되었다. 손실 200ppm급 시험 반사경의 경우 약 5.0%, 30ppm급 시험 반사경의 경우 약 26.4%의 손실측정 반복도 오차가 관측되었다. 저손실 반사경 평가에서 확인된 낮은 감쇠신호 데이터 평균효과와 높은 손실측정 반복도 오차는 손실측정 시스템 자체의 측정오차 이외에 시험 반사경 표면의 불균일한 손실 공간분포와 주변 오염원 유입의 결과로 분석되었다 또한 공진기 길이 떨림의 크기와 공진기 길이 측정오차가 손실측정 시스템의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을 계산을 통해 조사한 결과, 분해능 수 ppm 급 현재의 측정 시스템의 성능에 미칠수 있는 공진기 길이오차의 영향은 충분히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