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non-routine tasks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7초

정상 상황과 비정상 상황에서 조종사의 수행을 예측하는 요인 (Factors predicting pilots' performance in routine and non-routine situations)

  • 이경수;손영우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92-99
    • /
    • 2010
  • This study aimed to provide empirical evidence about expert performance approach in aviation field and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mount of experience(e.g. total flight hour) is necessary but not sufficient index of a pilot's expertise or superior performance. 43 pilots participated and completed a spatial span task and SA (situation awareness) tasks. To explore the factors predicting the performance in routine and non-routine situations, discriminant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discriminant analysis indicated that different variables are related with the performance in routine and non-routine situation. The factors predicting performance in routine situation were the spatial span scores and total flight hours. On the other hand, the factors predicting performance in non-routine situation were age and the qualification for instrument flying. In real world, total flight time which represents the quantity of experience has been frequently used to predict flight abilities and as an important index of expertis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se kinds of factors have to be used cautiously to predict the performance in abnormal situation.

인지과제분석(Cognitive Task Analysis)을 통한 항공교통관제사의 전문성 확인 (Exploring Air Traffic Controllers' Expertise through Cognitive Task Analysis)

  • 송창선;권혁진;김경태;김진하;이동식;손영우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2-55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dentify expertise in ait traffic control by using cognitive skill analysis for novices and experts in routine and non-routine situations. The result of study was to understand expertise in air traffic control tasks in terms of what cognitive processes are responsible for the expert's high performance levels. The problem solving task was difficult for novices, but performed relatively automatically by experts in a routine situation. The difficulty could indicate the presence of controlled processing. Rather than rules and strategies, novices focused more on environmental factors, which merely increase cognitive load. In a non-routine situation, novices showed that they did not categorize the information consistently and alternative resources were not available for them. Experts, however, performed automatically a task by arranging and organizing information related to problem solving components in contexts without regard to a routine and non-routine situation. Especially experts developed a stable representation and directed alternative resources for air traffic flow and efficiency. Based on the results, cognitive processes of experts could be useful to understand expert performance and analyze the learning process, which imply the necessity of developing expertise systematically.

조종사 상황인식의 적응적 전문성: 전문가와 초보자의 계기비행 수행 비교 (Adaptive Expertise in Pilot Situation Awareness: Comparison of Expert and Novice Instrument Flight Performance)

  • 손영우;이경수
    • 감성과학
    • /
    • 제12권1호
    • /
    • pp.55-64
    • /
    • 2009
  • 기존의 전문성 연구들은 참가자들에게 일상적인 과제를 수행하게 함으로써 전문가와 초보자들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는 일상적 비행 상황에 익숙해진 조종사들이 이전에 경험해보지 못한 새로운 비행 상황에서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즉, 조종사의 숙련정도에 따라 정상적 및 비정상적 상황에서의 상황인식 능력이 차이가 나는지 관찰하였고 추가적으로, 전문성이 자극 제시 시간에 따른 수행변화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42명의 조종사들을 전문성의 정도에 따라 초보자와 전문가 집단으로 나누고 이들의 수행이 상황의 특수성 및 자극 제시 시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하여 조종실 계기판을 모방한 동영상이 제작되었는데, 동영상에 보여지는 계기판들이 모두 정상으로 움직이는 정상적 상황과 이들 중 하나의 계기가 오작동을 일으키는 비정상 상황이 연출되었다. 또한 상황을 지각하기 위한 시간의 차이가 전문성에 따라 다른 효과를 가져오는지 살펴보기 위해서 계기판 상황이 오랫동안 제시되는 긴 제시 조건과 상대적으로 짧게 제시되는 조건으로 조작되었다. 실험 결과,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초보자와 전문가 집단 사이의 상황 인식이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비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전문가 집단의 상황인식이 초보자 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비행 상황의 제시 시간이 짧아졌을 때 조종사들의 전반적인 상황인식 정확도가 떨어졌지만, 전문가와 초보자의 수행차이는 변함없이 초보자 집단에 비해 전문가 집단의 높은 수행이 유지되었다. 비행 상황의 특수성과 제시 시간의 상호작용에 따라 초보자와 전문가의 상황인식은 어떻게 달라지는지 보았을 때, 비행 상황의 제시 시간이 길고 짧음에 관계없이 정상적 상황에서는 초보자와 전문가 집단의 상황인식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비정상적 상황에서는 전문가 집단의 상황인식 정확도가 초보자 집단 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볼 때, 비정상적 상황은 전문가 집단의 수행에 미치는 영향에는 큰 영향을 미치니 못하나 초보자 집단의 수행에는 현저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Low-Cost Approach for Path Programming of Terrestrial Drones on a Construction Site

  • Kim, Jeffrey;Craig, James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319-327
    • /
    • 2022
  • Robots for construction sites, although not deeply widespread, are finding applications in the duties of project monitoring, material movement, documentation, security, and simple repetitive construction-related tasks. A significant shortcoming in the use of robots is the complexity involved in programming and re-programming an automation routine. Robotic programming is not an expected skill set of the traditional construction industry professional. Therefore, this research seeks to deliver a low-cost approach toward re-programming that does not involve a programmer's skill set. The researchers in this study examined an approach toward programming a terrestrial-based drone so that it follows a taped path. By doing so, if an alternative path is required, programmers would not be needed to re-program any part of the automated routine. Changing the path of the drone simply requires removing the tape and placing a different path - ideally simplifying the process and quickly allowing practitioners to implement a new automated routine. Python programming scripts were used with a DJI Robomaster EP Core drone, and a terrain navigation assessment was conducted. The study examined the pass/fail rates for a series of trial run over different terrains. The analysis of this data along with video recording for each trial run allowed the researchers to conclude that the accuracy of the tape follow technique was predictable on each of the terrain surfaces. The accuracy and predictability inform a non-coding construction practitioner of the optimal placement of the taped path. This paper further present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some possible extended research options for this study.

  • PDF

Notes on "Perpetual Question" of Problem Solving: How Can Learners Best Be Taught Problem-Solving Skills?

  • Oleksiy, Yevdokimov;Peter, Taylor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2권3호
    • /
    • pp.179-191
    • /
    • 2008
  • Although problem solving was a major focus of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 in many countries throughout the 1990s, not enough is known about how people best acquire problem-solving skills. This paper is an attempt to advance further development of problem-solving skills of talented school students through combination of some methods accessible from curriculum knowledge and more special techniques that are beyond curriculum. Analysis of various problems is provided in detail. Educational aspects of challenging problems in mathematical contests up to IMO level are, also, taken into account and discussed in the paper.

  • PDF

석탄화력발전소 작업자의 소음과 온열 스트레스에 대한 노출 평가 (Evaluation of Occupational Exposure to Noise and Heat stress in Coal-fired Power Plants)

  • 권지운;장광명;김성호;김세동;장미연;노지원;박승현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64-470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evaluated occupational exposures to noise and heat stress during routine non-outage works in three coal-fired power plants in the Republic of Korea.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e summer of 2020. Full shift noise exposure of 52 workers were measured using noise dosimeters. Heat stress of 16 worksites were measured for 70 minutes using wet-bulb globe temperature monitors. Results: The noise dosimetry results revealed time-weighted averages that ranged from 47.5 to 88.9 dBA. 2 out of 52 noise measurements exceeded 85 dBA. Based on the arithmetic mean, the coal service group showed the highest level at 80.2 dBA by job tasks. Noise exposures exceeding 85 dBA were measured in the coal service and plant operator group. Heat stress index measurements ranged from 20.3℃ to 37.2℃. 1 out of 9 indices measured in coal facilities and 4 out of 7 indices measured in boiler house exceeded 1 hour TWA during moderate work. Heat stress indices measured from boiler hous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measured from coal equipment. Conclusions: The results show that overexposure to noise and heat stress may be encountered during routine non-outage work activities in coal-fired power plants. Appropriate actions should be taken to reduce future health outcome from occupational exposure to noise and heat stress in the industry.

업무편향적 기술변화에 따른 지역노동시장에서의 일자리 구조 변화와 임금 프리미엄 영향요인 (Task-Biased Technological Change, Occupational Structural Change, and Wage Premium in Local Labor Market Areas, Korea)

  • 송창현;임업
    • 지역연구
    • /
    • 제39권4호
    • /
    • pp.33-51
    • /
    • 2023
  •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우리나라 지역노동시장권을 대상으로 업무 특성에 따른 직종 집단간 고용구조의 변화를 살펴보고, 임금 프리미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분석은 크게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첫째, 한국직업정보시스템의 『재직자조사』 원자료의 직종별 업무 특성 자료에 대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수행한 다음, 비단순반복 업무지수를 산출하여 일자리를 유형화한다. 둘째, 『인구총조사』원시 자료와『한국노동패널조사』자료를 결합해 개인 수준 및 지역 수준 자료를 구축한 다음, 2010년부터 2020년까지 직종별 고용 분포 변화를 분석한다. 셋째,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해 직종 집단별 임금 프리미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지역 수준 요인을 실증 분석한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10년 이후 비단순반복 업무지수가 높은 직종의 고용비중은 계속해서 증가했으며, 대도시 지역노동시장에서 지배적인 고용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시화경제로 인한 집적경제 외부효과는 비단순반복 업무를 주로 요구하는 직업에 종사하는 임금근로자에게 유의한 임금 프리미엄을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역노동시장 맥락에 따른 일자리 구조의 전환과 임금불평등의 양상을 실증 분석함으로써 지역노동시장의 불평등과 양극화 완화를 위한 정책 대안 마련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했다.

육군 부사관 협약제도의 효과성 평가와 개선 방안 (Evaluation and Suggestions of the Army-College Joint Training System for Non-commissioned Officers)

  • 임성빈;이시철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5권6_1호
    • /
    • pp.3-16
    • /
    • 2015
  • 우수 부사관 획득이라는 목적 아래 육군과 대학의 협력으로 육군 부사관 협약제도가 시행된 지 10년이 지났으며, 이제 매년 4천여명씩 배출되는 협약학과 출신이 하사~중사까지 중추적 임무수행을 하고 있는 시점이다. 이에 협약학과 출신 부사관의 직무수행능력, 직무수행태도가 우수한 지에 대하여 상사급 이상 100명을 대상으로 협약학과 부사관과 민간 출신 부사관을 비교하는 설문을 통하여 이 협약제도가 목적을 달성하고 있는지에 대한 효과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협약학과 출신 부사관은 직무수행능력의 전문성과 직무수행태도의 적극성, 책임성이 더 양호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다른 분야는 의미 있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우수한 부사관 인력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학군제휴 협약학과 학생의 선발 제도 개선과 아울러, 부사관 관련 학과에 우수한 고등학생들이 입학할 수 있도록 육군의 제도적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제언한다.

스마트 홈 환경에서의 재실자 일상생활 활동 패턴 추출을 위한 행동 컨텍스트화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Behavioral Contextualization for Extracting Occupant's ADL Patterns in Smart-home Environment)

  • 이보경;이현수;박문서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21-31
    • /
    • 2018
  • 고령자 가구의 급격한 증가는 전 세계적 추세이며 의료비 등 사회적 비용 또한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치매와 같은 노인성 기능 질환의 경우 고령자의 일상생활 활동 (ADL) 패턴을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평소와 다르거나 비정상적인 패턴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치매 조기진단의 근거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사생활 침해의 우려가 큰 기존의 직접적 센싱 방식과 달리 간접적 센싱 방식 (Non-intrusive approach)을 활용하여 재실자의 최소한의 정보 (Coarse-grained data)만을 수집하고, 이를 통해 활동 정보를 추출하는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또한 추출된 활동 및 활동패턴을 이해하기 위해 활동의 맥락적 정보를 시각화하는 방법 또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재실자의 정보 중 시 공간 데이터 로그만을 활용하여 재실자의 수행 활동을 추출하고 컨텍스트화 된 행동 정보를 공간-활동 지도 (Space-Activity Map)로 시각화한다. 본 연구는 재실자의 일상생활 활동 패턴을 추출하는 데 기반이 되는 연구로서, 향후 고령자를 위한 상시적인 건강 모니터링 기술의 도입에 기여할 수 있다.